소울워커/메이즈/시즌2/일반 메이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소울워커/메이즈/시즌2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아르카디아 렐름
2.1. EPISODE 1 Road to East
2.1.1. 워밍 플라워 팜
2.1.2. 스타라이트 가든
2.1.3. 자이언트 피어
2.1.4. 특수 작전 메이즈
2.1.4.1. 습격의 들판
2.1.4.2. 풍요의 화원
2.1.4.3. 고독의 고원
2.2. EPISODE 2 Nowhere to Hide
2.2.1. 뮤티드 헤이븐
2.2.2. 체임버 어스트레이
2.2.3. 테인티드 아스퍼레이션
2.2.4. 특수 작전 메이즈
2.2.4.1. 끝없는 황무지
2.2.4.2. 비극의 연구소
2.2.4.3. 진화의 마천루
2.3. EPISODE 2.5 RECAPTURE:ETHELDREDA


1. 개요[편집]


소울워커의 시즌2, 동부 클라우드림 지역에 있는 일반적인 메이즈들을 설명한 문서이다.


2. 아르카디아 렐름[편집]


파일:아르카디아 렐름.png
BGM[1]

2022년 3월 23일 소울워커 시즌 2 로드 투 이스트 업데이트로 추가된 동부의 첫 번째 마을.

배경으로는 고층빌딩이 보이는 등 어느정도 규모가 있어보이는 도시이며, 기본적으로는 유럽식 광장의 형태를 띠고있어 탁 트인 전경에 노을진 하늘 풍경을 지니고 있다. 몇몇 건물의 지붕이 기와로 되어있거나 게이트의 벽과 기둥이 한옥 양식을 띠고 있고, 카페간판이 달려있는 등[2] 약간의 한국 색채가 녹아들어있는 것도 특징.

맵의 디자인을 보면 크게 공군 본부[3], 시청 광장, 그리고 광장 앞의 작은 상가 이렇게 세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점이나 은행 같은 기능성 NPC는 모두 상가에 모여있고 메이즈 입구는 공군 본부 앞에 있어서 유저들이 다 여기에 몰려있다. 장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중앙의 광활한 광장은 커다란 시청 건물을 배경으로 제법 괜찮은 뷰를 가지고 있음에도, 비주얼만 좋다뿐이지 1~2채널 정도가 아니면 여기엔 사람이 없다.

여기서부터는 던전의 구성이 조금 달라진다. 큰 에피소드 안에 지역이 있고 그 안에 던전이 있는 식. 이전의 던전 자체가 에피소드 였던 것과는 조금 다르다.

기존에는 메이즈 끝에 반드시 보스가 배치되었던것과 대조적으로, 대부분의 메이즈가 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스토리상 특정 구간에 보스가 존재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메인 필드에서는 이제 더이상 아이템이 드롭되지 않는다.

여담으로, 지역명의 '렐름'이라는 발음이 한국인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데, realm이라는 단어가 불어에 어원을 두고 있는 어휘인데다 사전에서 제공하는 정식 발음도 [렘]에 가깝게 발음된다. '레'와 받침 'ㅁ' 사이에 아주 희미하게 ㄹ이 들어가는데 한국인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발음.

[스포일러]
인게임에서 보이는 아르카디아 렐름은 사실 공중도시로, 기존에 존재하던 도시 위에 새로운 도시 하나를 더 지은 것이다. 도시의 경제 대부분을 손에 쥐고 있는 소수의 대부호들이 일반 시민들을 업신여기며, 그들과 같은 땅 위에 서있기 싫어서 그들을 내려다보기 위해 바로 위에 새로 지은 도시가 아르카디아 렐름이라는 것이 인게임에서의 설명. 또한 이 과정에도 네드 컴퍼니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래에 있는 기존의 도시는 '언더타운'이라 불리며 하수처리장이나 쓰레기 매립지 같은 혐오시설을 이곳에 짓고[1], 언더타운 주민들은 그곳에서 일하며 사는듯하다. 작중 묘사가 시종일관 부정적인 것을 보면 거의 빈민촌과 비슷한 이미지인듯. NPC 소피나가 언더타운 출신이다.


2.1. EPISODE 1 Road to East[편집]


소울워커 시즌 2 동부지역 대망의 첫번째 에피소드 및 동부의 시작을 알리는 에피소드

2.1.1. 워밍 플라워 팜[편집]


[따뜻한 꽃밭]

배드키드 일파들이 기후를 조작하면서 점거한 농장. 스토리 메이즈 보스는 엘더 키드.


2.1.2. 스타라이트 가든[편집]


[별빛의 정원]

배드키드의 병참기지. 체리블라썸 일족의 주식인 달바라기꽃이 자라는 곳이며 이 곳을 급습하여 배드키드의 보급을 끊는 작전을 실행한다. 하지만 그 와중에 굿키드의 수호자인 자이언트 원이 폭주하여 라일라를 공격하고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하여 자이언트 원을 추격하는 스토리로 변경된다. 보스는 자이언트 원.


2.1.3. 자이언트 피어[편집]


[두려워하는 거인]

산간지방의 철로. 이전 사건으로 부상을 입은 자이언트 원을 추격하는 스토리. 보스는 죽어가는 자이언트 원.


2.1.4. 특수 작전 메이즈[편집]


일명 파밍용 메이즈들로서, 습격의 들판은 신규 레이드 장비 재료 중 하나인 융화된 타락의 결정을 만들기 위한 녹아내린 타락의 티끌 파밍 및 BP, 에텔 수급처, 풍요의 화원은 데이드림 시리즈를 잇는 제니 수급처, 고독의 고원은 소울 메이트의 아티펙트를 파밍할 수 있는 장소로 설계되었다.

이 중 습격의 들판, 고독의 고원은 파티 플레이로 입장이 가능하다.

2.1.4.1. 습격의 들판[편집]

지속적으로 젠되는 몬스터 웨이브를 상대하며, 일정 웨이브 이상 처치시 보스가 출연하고 쓰러뜨리면 종료. 젠되는 몬스터로 소가 있는 것도 그렇고 카우레벨을 패러디한 메이즈.

입장횟수 제한은 없고, 에텔, 웨폰/기어 코어, 웨폰/기어 익스텐션, 제작 재료, B.P 700상자등을 얻을 수 있다. 신규 레이드 장비 제작에 필요한 '녹아버린 타락의 티끌'이 드랍되는 메이즈라서 유저들의 수요가 높다.

참고로 웨이브 젠 조건은 이전 웨이브 섬멸이 아니다. 웨이브별로 리젠 트리거가 되는 몹의 종류와 위치가 완전히 정해져 있으며, 해당 몹만 잡으면 나머지 몹을 잡았는지와 아무 상관 없이 다음 웨이브가 젠된다. 극단적으로는 젠트리거 몹만 단타기로 쏙쏙 골라먹고 나머지 모든 몹을 방치해도 보스 나오는 타이밍은 똑같다. 이 때문에 젠트리거몹의 위치와 타이밍을 파악해 빠르게 잡아주는 것이 습들 클리어 타임 단축의 지름길. 다만 정말로 신들린 실력으로 젠트리거 몹만 쏙쏙 골라먹을 경우, 나머지 몹이 쌓이면서 렉을 유발하므로 트리거몹을 잡을 때 광역기로 웨이브몹도 싸잡아서 잡아줘야 렉이 줄어든다.

2022년 4월에 유저들의 요구로 파티 메이즈가 추가되었는데, 단일맵 구조에 혼자서도 클리어가 가능한 수준이라는 것이 드러나면서 팟이 생겼는데, 4인팟에서 세 명이 잠수타는 동안 나머지 한 명이 몹들을 정리하고, 대가로 주요 드랍템인 타락의 티끌 일부를 몹들을 정리한 유저에게 지불하는 것. 티끌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모자라는 재화였고, 이에 유저들은 부캐들까지 돌려가며 쩔팟을 이용했고 심지어 일부 유저들의 경우 매크로까지 동원해가며 쩔팟에 참가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4] 결국 한 달도 되지 않아 5월 1차패치로 삭제되었다.[5]

2022년 10월 19일 패치로 파티 메이즈가 재오픈되었다. 잠수유저를 막기 위해 F랭크의 점수를 받은 유저는 보상을 일절 받을 수 없게 변경되었다.

참고로 시즌2의 메이즈중에서는 여기에서만 유일하게 그루톤이 출현한다.


2.1.4.2. 풍요의 화원[편집]

일정시간동안 움직이지 않는 거대 그루톤을 공격하는 메이즈로, 쓰러뜨릴 때마다 브론즈 그루톤 -> 실버 그루톤-> 실버 그루톤-> 골드 그루톤으로 바뀐다.

입장횟수는 계정당 7회로 데이드림과 입장횟수를 공유한다. 소울 스피릿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며, 보상으로 제니와 그루톤 코인을 얻을 수 있다. 제니의 양은 그루톤 처치 횟수와 상관없이 한 마리만 쓰러뜨려도 동일하나, 많이 쓰러뜨릴 수록 다른 보상의 양이 증가한다.

그루톤이 움직이지도 않을 뿐더러 공격조차 전혀 하지 않기 때문에, 진 세이파츠는 카운터를 강제 발동시켜야 한다.


2.1.4.3. 고독의 고원[편집]

일반 몹 젠 없이 바로 보스와 전투하는 메이즈이다. 출현하는 보스는 자이언트 원, 죽어가는 자이언트 원이다. 소울 메이트 장비 아이템과 B.P 1,000상자를 드랍한다. 입장 횟수는 계정당 2회이며, 소울 플러스 구매 시 1회 추가된다.
보스의 패턴이 상당히 악랄하기로 악명이 높은데, 1페이즈에서는 체력이 10줄 이하가 되면 수시로 점프->낙하 공격을 하면서 딜 누수 타임을 유발하고(낙하 공격 자체의 데미지도 제법 강하다.), 2페이즈에서는 기절 판정이 달린 매우 큰 데미지를 주는 장판을 펼치면서 에너지탄을 마구 흩뿌리고, 일정 체력 이하가 되면 광역 침묵을 걸기 때문에[6] 엔드 스펙 유저들마저 방심하면 죽기 마련이다. 2페이즈부터는 중간마다 페어리 리더를 소환하기도 한다.
스토리 상 자이언트 원은 토마스의 어머니이다 보니, 이 메이즈를 엄마런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2.2. EPISODE 2 Nowhere to Hide[편집]



2.2.1. 뮤티드 헤이븐[편집]


[침묵한 안식처]

여기서부터 잡몹들의 레벨이 85가 된다.

서퍼러 - 캔더스에서 나왔던 좀비형 몹의 팔레트 스왑, 느려터져서 몰이기로 다 사냥하고 나면 한두마리가 뒤에서 꿈지럭거리고 있어서 순간 혈압을 높인다.

보이드 레스컬 - 하얀 몸체에 여기저기 돌기가 돋아 있는 몹, 슈아가 달려 있으며, 무려 다나의 최주력기 램페이지 스펙터와 비슷한 공격을 한다. 그림자가 아니라 본체가 돌격하는 형식이지만 데미지는 엄청나며, 두서너 마리가 동시에 달려들면 실피가 되거나 부활을 각오해야 한다.

2.2.2. 체임버 어스트레이[편집]


[복잡한 연구실]

80렙이 되어서야 진입할 수 있다.

셀베이션 휴먼 - 빵봉지 같은 걸 뒤집어쓰고 구속복을 입고 있다. 공격 방식은 다가와서 자폭(!!) 하는 것이며 퀘스트 상에서도 언급한다. 노스텔지어 풀셋 기준 데미지가 2만이나 하는 공격이다.

런 프리벤션 - 네모난 모양의 포대, 배경인 연구소와 비슷한 색상, 고정형, 맵에 널려 있는 오브젝트 상자와 유사하게 생긴 생김새 덕에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리플레이서 Type-B - 하얀 털을 가진 여성형 수인 형태의 몹, 대놓고 말해서 비스타와 똑같이 생겼다. 움직임이 날렵하고 슈퍼아머를 가지고 있다.

AH 21 - 이 곳에서 등장하는 로봇 중 유일한 여성형 로봇. 레이저 캐논을 들고 있으며, 일정 간격 이상 벌어지면 약간의 차징 후 레이저포를 발사한다. 단타 공격에 1~2만 정도의 데미지.

2.2.3. 테인티드 아스퍼레이션[편집]


[오염된 열망]

2022.11.30 2차 패치에서 업데이트.

전 맵인 체임버 아스트레이와는 달리 클리어하기 쾌적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법 좁고, 원거리 몹이나 고정몹도 없어서 별 피로도 없이 돌 수 있다.

2.2.4. 특수 작전 메이즈[편집]



2.2.4.1. 끝없는 황무지[편집]

습격의 들판처럼 몰려있는 몹들을 처리하고 이후에 보스가 있는 곳으로 가서 보스를 처치하면 되는 메이즈. 보스는 오비탈 워쳐.

습격의 들판과는 달리 짧은 시간에 대량의 몹들이 단숨에 몰려오며 4페이즈 형식으로 되어있어서 한 페이즈의 몹들을 다 잡지 못한 채로 다음 페이즈가 시작되면 몹들이 강화된다. 그 덕에 대미지가 좀 세서 방심하면 순식간에 죽거나 아니면 HP가 확 날아가는 경우가 있다.

입장횟수 제한은 없고, 에텔, 태그 전송기, 제작 재료, 블루라이트 더스트 등을 얻을 수 있다. 습들처럼 녹아버린 타락의 티끝도 나오며 트리거 몹도 없고 맵도 습들에 비하면 작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쾌적하고 빠르게 끝내버릴 수 있다. 빨리 하면 1분도 안 되어서 클리어 가능.[7]

습격의 들판처럼 일일퀘스트도 있지만, 3번인 습들에 비해 한 번만 돌면 끝이라서 간편하다.


2.2.4.2. 비극의 연구소[편집]

연구소에서 중앙에 배치된 장치를 1분동안 지키는 메이즈. 입장횟수는 계정당 하루 1회로 제한되어 있다. 소울워커 플러스 결제시 1회 더 추가.

황무지처럼 몹이 대량으로 쏟아지지만 황무지보다는 일정 간격[8]을 두고 리젠된다.

원거리 몹도 있어서 장치를 지키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 비슷한 컨셉이 있는 캔더스 캐주얼 레이드와는 달리 액티브 아카식을 쓸 수 없어서 장치의 체력을 채우는 게 불가능하다.

성공시 연구에 성공한 보급상자, 실패시는 연구에 실패한 보급상자가 나온다.

보상으로 프로토 에너지 필라멘트(성공시 한정), 기어 혹은 웨폰 익스텐션이 2개씩 나온다.


2.2.4.3. 진화의 마천루[편집]

고독의 고원과 같이 일반 몹 젠 없이 바로 보스와 전투하는 메이즈이다. 출현하는 보스는 게일이다.

드랍하는 아이템 또한 고독의 고원과 같지만 그 중에 빛바랜 등급이 하나 정도는 나와서 고독의 고원보다는 보상이 조금 더 좋다.

고독의 고원보다는 보스의 패턴이 느리고, 강하지도 않다. 다만, 꼬리 휘두르는 패턴은 큰 데미지가 들어오니 꼬리 휘두르기만 조심하면서 보스를 잡으면 된다.

속칭 '홍길동'이라 부르는 아크쉽의 퍼니셔 오메가처럼 일직선 이동기를 가지고 있고 맵 또한 일자로 긴 형태라 잘못하면 딜누수와 이동에 시간이 소모돼서 클리어 시간은 고독의 고원에 비해 긴 편.

몹 레벨도 78인 고원과는 달리 85라서 제법 단단하다.


2.3. EPISODE 2.5 RECAPTURE:ETHELDREDA[편집]


[에셀드레다 탈환]

[1] 소울워커 음악으로서는 이례적으로 밴드곡이며, 도시라는 이미지에 맞게 판타지스러운 세계관보다는 좀 더 현대적인 스타일로 편곡되었다. 또 특이하게도 가사가 있는 보컬곡인데, 인게임에서도 보컬이 들어간 버전으로 나온다.[2] 그 중에 BLISS COFFEE라는 간판이 있는데, 이건 딱 봐도 할리스 커피(HOLLYS COFFEE)의 패러디.[3] 하이츠의 사무실이 있다.[4] 이대로 가다간 게임이 정말 망할 것 같다며 경각심을 퍼뜨리기 위해 스스로 매크로를 공개한 유저도 있었다.[5] 한편 습들과 비슷한 구조인 스카이클락 팰리스가 쩔팟의 가능성이 발견되어 이쪽으로 이직한 버스기사들도 있다. 물론 스카이클락 쪽은 원래부터 고인물 컨텐츠로 여겨지는데다 그다지 인기있는 곳이 아니기에 습들과는 전혀 성격이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유저들의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메이즈가 앞으로도 다시 출시된다면 그때도 예외일거라 단정할 수 없다.[6] 체력이 9줄 이하가 되면 잠시 기를 모으다가 1페이즈는 공격력 강화 버프, 2페이즈는 광역 침묵, 공격력 강화, 방어력 강화 버프를 걸며. 2페이즈의 침묵은 진의 퓨전 아머, 각성 등으로 무시할 수 있다. 1페이즈의 경우 하드 아머를 두르고 있어서 버프를 막을 방법이 없지만, 2페이즈는 슈퍼아머 판정이라 9줄 전까지 보스의 슈퍼아머 게이지를 잘 유지하며 때리다가 기를 모을 때 슈퍼아머를 깨뜨리면 침묵, 공방 버프를 걸지 않는다![7] 녹아버린 타락의 티끝을 제외하면 해당 메이즈의 보상은 스카이클락 팰리스의 보상과 거의 비슷하다.[8] 60초를 시작으로 매 15초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5:32:43에 나무위키 소울워커/메이즈/시즌2/일반 메이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