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유대인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포클랜드 전쟁아르헨티나 연합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아르헨티나 대통령 · 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아르헨티나 공화국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아르헨티나 페소 · G20 · 아우스트랄
국방
아르헨티나군 · 아르헨티나 해군
교통
미니스트로 피스타리니 국제공항 · 부에노스아이레스 지하철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탱고 · 가우초 · 요리 · 축구 국가대표팀 · 포도주 · 스페인어 · 야간어
인물
호세 데 산 마르틴 · 마누엘 벨그라노 · 에바 페론 · 후안 페론 ·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 체 게바라 · 마리오 켐페스 · 디에고 마라도나 ·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 리오넬 메시
지리
부에노스아이레스 · 파타고니아 · 팜파스 · 티에라델푸에고
민족
아르헨티나인(스페인계 아르헨티나인 ·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폴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그리스계 아르헨티나인 · 헝가리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슬로베니아계 아르헨티나인 · 오스트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스위스계 아르헨티나인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아르헨티나 유대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아르헨티나계 미국인




파일:d5.jpg

1. 개요
2. 역사
2.1. 근현대 유대인의 이민
3. 현황
4. 인물



1. 개요[편집]


유대인민족 정체성을 보유하면서, 아르헨티나시민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을 말한다.

2. 역사[편집]


아르헨티나에 유대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한 시점은 아르헨티나가 식민화되던 16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대항해시대 당시 스페인에서는 상당수의 세파르딤과 콘베르소[1] 인구가 박해를 당하고 있는 입장이었고, 유대인들은 가톨릭으로 개종 이후에도 차별과 박해를 받는 경우가 많아서 스페인 해외로 이주하는 경우가 적지는 않았다. 스페인 본토에서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종교재판 및 재산몰수가 활발하게 벌어지는 가운데, 적어도 식민지 내에서는 화형이나 재산몰수 같은 극단적인 제재가 자주 일어나지는 않았고, 일부 유대계 가정들이 아메리카 식민지 각지로 이주하였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대항해시대 당시 아메리카 대륙 이민은 의학 기술의 미발달 그리고 전염병 등의 이유로 상당히 위험한 일이었으며, 스페인 제국에서는 같은 백인이라 하더라도 스페인 유럽 본토에서 출생한 백인을 페닌술라르로 그리고 식민지에서 태어난 백인은 크리오요로 분류하며 차별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당연히 아메리카 식민지로 이주하는 스페인인 대다수는 남성이었고, 여성이나 어린이들을 동반한 일가족이 영구적으로 이주하는 경우는 대개 유대인이 박해를 피해서 이민한 경우였다.

다른 한편으로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 식민지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지역은 오늘날의 멕시코, 콜롬비아 및 쿠바에 해당하는 지역이었고, 아르헨티나에 해당하는 지역은 식민지 내에서도 변두리 정도에 취급되었다. 비교하자면 중근세 스페인 콘베르소들의 문화가 오늘날 멕시코 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던 것과는 반대로[2] 아르헨티나의 문화에서 콘베르소들이 차지하던 비중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2.1. 근현대 유대인의 이민[편집]


아르헨티나는 1816년부로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고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유럽으로부터 대량 이민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유럽 각지의 유대인들도 아르헨티나로 이민하였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리고 러시아 제국아슈케나짐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하였다.

1889년 러시아 제국에서 아슈케나지 유대인 824명이 아르헨티나에 정착촌을 건설하였고, 프로이센의 유대인 부호들이 이들의 농장에 구호자금을 비롯한 원조를 보내주었다. 이를 계기로 아르헨티나 초원 지대에는 유대인들이 운영하는 농장과 마을들이 들어서고 유대인 이민이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19세기까지는 극소수에 불과하던 아르헨티나의 유대인 인구는 1906년부터 1913년 사이에는 매년 13,000여 명 상당의 유대인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한 것을 계기로 상당한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이 외에도 오스만 제국에서 일부 세파르딤이나 미즈라힘들이 아랍계 기독교인들과 함께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였다.

1차 대전 종전 이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러시아 제국 등이 해체되고 폴란드가 독립하면서 오늘날의 폴란드 동부-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서부에 해당하는 지역에 폴란드 제2공화국이 들어섰다. 미국에서 폴란드를 대상으로 이민 제한 쿼터를 시행하자 미국으로 이민 길이 막힌 폴란드 아슈케나짐 상당수가 미국 대신에 아르헨티나로 이민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1차대전 이후 헝가리 왕국(1920~1946)에서 반유대주의 정책으로 유대인들을 크게 차별하고 2차대전 중에는 홀로코스트에까지 가담하는데 이 과정에서 적지않은 헝가리 유대인들이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세계 각지로 망명을 떠나게 되었다.

이를 반영하여 오늘날 아르헨티나 유대인 인구는 80%가 아슈케나짐이며, 세파르딤미즈라힘은 소수이다.

3. 현황[편집]


아르헨티나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은 유대인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수많은 유대인들이 군부의 탄압을 피해 이스라엘, 서유럽(특히 스페인), 북미로 이주했다. 1960년대 초 31만여 명에 달했던 아르헨티나 유대인 인구는 2017년 통계 기준 180,500 명으로 다소 감소한 상황이다.

아르헨티나 유대인 인구는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으며, 미국캐나다 다음으로 아메리카에서 세 번째로 크며, 이스라엘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많다.


4. 인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7:22:16에 나무위키 아르헨티나 유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파르딤이었으나 유대교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한 사람들[2] 멕시코를 대표하는 빵인 토르티야 중에서 밀로 만든 토르티야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유대인들이 먹던 중동식 플렛 브레드를 그 기원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