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양부대부인

덤프버전 :





조선 전계대원군의 부인 | 조선 철종의 적모
완양부대부인 | 完陽府大夫人


파일:전계대원군묘.jpg

전계대원군 부부묘 전경
출생
1804년 2월 19일
조선 한성부 동부 연지동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
사망
1840년 2월 19일 (향년 36세)
능묘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최씨
부모
부친 최수창(崔秀昌)
모친 광주 이씨
배우자
전계대원군
자녀
슬하 1남
장남 - 회평군(懷平君, 1827 ~ 1844)
봉작
완양부부인(完陽府夫人)
완양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1. 개요
2. 생애
3. 사후
4. 가족과 후손



1. 개요[편집]


전계대원군의 본부인이자 철종의 적모(嫡母)이다. 대원군 부인 자격으로 부대부인 칭호를 받은 사람들 중 유일하게 임금의 생모가 아니다.

본관은 전주로, 고려시대에 상장군을 지낸 최순작과, 조선의 개국원종공신인 평도공 최유경의 후손이다.

2. 생애[편집]


1804년(순조 4년)에 한성부 동부 연지동(蓮池洞)에서 태어났다. 김좌근이 쓴 묘비명에 따르면, 어린 시절 부모질병에 걸리자 식사도 거르고 직접 부모의 간병을 할 정도로 효녀였다고 한다.#

언제 전계대원군과 혼인했는지, 그 전에는 어떻게 살았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은 없다. 1827년(순조 27년)에 장남 이원경을 낳았고, 1830년(순조 30년) 전계대원군이 유배에서 풀리자 가족들과 함께 한성부 경행방으로 돌아와 살았다. 1840년(헌종 6년)에 사망했다. 향년 36세.[1]

3. 사후[편집]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군 하도면 중흥동에 묻혔다가 1856년(철종 7년)에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으로 이장하면서 전계대원군과 합장되었다. 묘비문은 1851년(철종 2년)에 당시 공조판서였던 김좌근이 짓고, 흥인군 이최응이 글씨를 썼다. 현재는 실전되었다.#

1849년(철종 즉위년) 의붓아들 철종이 즉위한 후 완양부부인을 거쳐 완양부대부인에 추증되었고, 더불어 친정 조상들과 형제들도 증직되었다.

4. 가족과 후손[편집]


슬하에 아들 이원경 하나만 두었다. 이원경은 전계대원군의 세 아들 중 장남이다. 1840년(헌종 6년)과 1841년(헌종 7년)에 연달아 부모를 잃었음에도[2] 평정심을 잃지 않고 두 이복동생들을 돌보며 그럭저럭 살다가 1844년(헌종 10년)에 민진용의 옥사에 연루되어 사형당했다.

1849년(철종 즉위년)에 철종이 왕이 된 뒤, 이원경은 복권되었고 회평군(懷平君)으로 추증되었다. 그러나 전계대원군 가문의 제사는 회평군이 아니라 의붓아들 영평군 이욱[3]이 받들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영평군은 완양부대부인의 양자로 입적했다. 그래서 완양부대부인의 제사 역시 전계대원군과 마찬가지로 영평군과 그의 후손들이 모셨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22:43에 나무위키 완양부대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는나이 37세.[2] 1841년에 전계대원군이 사망했다.[3] 전계대원군의 차남이자 서장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