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조선)

덤프버전 :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허난설헌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
허씨 5문장 · 동인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오빠 허성 · 동복 오빠 허봉 · 동복 동생 허균

이복 언니의 남편 우성전 · 남편 김성립 · 장남 김희윤

남편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관련 인물
스승 (이달)

작품 내 등장인물 (신선)

주군 (선조)
관련 장소
허난설헌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난설헌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난설헌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작품
난설헌시집 · 규원가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생애 · 창작물
평가
논란
파일:허난설헌 수결.svg





파일:허균 수결.svg
허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이달 · 홍길동)

주군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파일:허균 수결.svg






이달
李達| Lee Dal


파일:손곡 이달의 시비.jpg
이달의 시비[1]
출생
1539년 ?월 ?일
(중종 34년, 음력 1539년 ?월 ?일)
조선
(現 대한민국 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망
1612년 ?월 ?일
(광해군 4년, 음력 1612년 ?월 ?일)
(향년 74세, 73년 ?개월 ?일 / 26663일 추정)
조선 평안도 평양부 여관
(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시 여관 터)
객사 (여관에서 돌연사)
묘소
불명[2]
학력
송나라 시 독학
정사룡의 문하
박순의 문하
중국어, 외교 수학[3]
직업
시인, 관료, 외교관[4]
<-2><bgcolor=#fff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본관
신평(新平)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공훈
없음
최종
관등

접반사 종사관
(接伴使 從事官)

달(達)

익지(益之)

손곡(蓀谷), 서담(西潭), 동리(東里)
종교
유교 (성리학)
붕당
[1]
작품
《손곡집(蓀谷集)》
《서담집(西潭集)》[2]
부모
부: 이수함 (李秀咸, 16세기 - 16세기)
모: 불명 (?, ? - ?)
형제
자매

불명
배우자
이선(李選)의 첩[3]
자녀
사생아: 이재영 (李再榮, 1553 - 1623)[4]
경력
{{{-1
[ 펼치기 · 접기 ]
#!end한리학관
명나라 사신 접반사의 종사관}}}}}} ||}}}}}}}}} ||
1. 개요
2. 가족
3. 생애
4. 작품
5. 기타
6. 대중문화에서
== 개요 ==조선 중기의 시인, 관료, 외교관, 그리고 허균허난설헌, 유형, 그리고 이정의 스승이다.== 가족 ==제자 허균의 <손곡산인전>, <손곡집서>에 의하면 신평이씨 쌍매당 이첨의 서예손이다. == 생애 ==어렸을 때 부터 송나라 시를 배웠으며 이후 스승 정사룡과 박순에게 당나라 시를 배웠다. 정사룡의 문하에서 두보(杜甫)의 시, 박순의 문하에서 이백(李白),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의 시를 배웠다.허엽의 아들 허봉과 친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허봉의 소개로 허난설헌허균을 만나서 시를 가르쳤다. 서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문과에 응시할 수 없었지만 조정이 그의 재능을 높이 사서 "중국어와 이문에 관한 일"을 하는 벼슬인 한리학관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방문했을 때 접빈사의 종사관으로 일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벼슬을 버리고 떠나서 남은 여생을 시인으로서 살았다. 이름 불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허균이 <학산초담>을 쓴 1593년 시점 병에 걸려 죽었다. <학산초담>에는 이달이 아내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쓴 시 <도망(悼亡)>이 남아있다. # #
悼亡  도망
羅幃香盡鏡生塵  깁 방장엔 향내 가시고 거울엔 먼지
門掩桃花寂寞春  닫힌 문엔 복사꽃만 쓸쓸한 봄날
依舊小樓明月在  작은 누각엔 옛날처럼 달은 밝은데

不知誰是捲簾人  발 걷고 달 즐길 이 그 누구런가


허경진의 허균평전 227쪽에 의하면 이달에게 이조판서 이선(李選)의 첩과 정을 통해서 낳은 아이가 있는데, 허균의 친구 이재영(李再榮, 1553 - 1623)이다. 이선의 첩이 위의 1593년 시점 죽은 아내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재영은 사실상 양반 가문의 서자와 다른 양반 가문의 판서의 첩과 정을 통해서 얻은 자식이므로 서자이자 사생아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죽을 때까지 평양부의 여관에서 얹혀살다가 죽었다.

현재 이달의 묘는 전해지지 않으며, 충청남도 홍성군청 앞과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손곡리손곡초등학교 입구에 그의 시비가 있다. #


1. 작품[편집]


작품으로 《손곡집(蓀谷集)》과 《서담집(西潭集)》이 있다. 손곡집은 제자 허균이 간행했으며 서담집은 이달의 제자 유형이 간행했다.


2. 기타[편집]


  • 제자 허균이 스승 이달을 주인공으로 한 한문소설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은 적이 있다. 이달이 작품 내 등장인물로 등장하며, 작가의 시점으로 주인공 이달의 생애를 관찰하며 묘사했다. # #


3. 대중문화에서[편집]


  • 1993년과 1994년 사이 방영된 초롱이의 옛날여행 한국위인전 홍길동전과 허균에서 이달이 서자 출신이라서 양반 대접을 못 받아서 서럽게 우는 모습을 묘사했다. #


  • 2018년 2월 1일 출판된 만화 who? 한국사 신사임당 허난설헌에서 허균과 허난설헌의 동복 형제 허봉의 소개로 허균과 허난설헌에게 시를 가르치는 모습을 묘사했다.




[1] 현재 이달의 무덤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충청남도와 강원도에 이달의 시비가 세워졌다.[2] 이달이 죽은 평안도 평양에 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3] 한리학관과 종사관이 되기 위해서 관련 지식을 공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 한리학관과 명나라 사신을 맞이한 종사관으로 일한 적이 있지만 오래 하진 않았고 이후 나머지 여생을 시인으로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