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반지(가운데땅)

덤프버전 : r20190312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external/s-media-cache-ec0.pinimg.com/b97e26c1e3341a11954745bf97d66225.jpg
실사영화에서의 묘사

테마 곡

1. 개요
2. 설명
3. 형태
4. 능력
5. 여정
6. 소품 및 구매처
7. 지칭과 번역에 대하여
8.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Three Rings for the Elven-kings under the sky,

Seven for the Dwarf-lords in their halls of stone,

Nine for Mortal Men doomed to die,

One for the Dark Lord on his dark throne

In the Land of Mordor where the Shadows lie.

One Ring to rule them all, One Ring to find them,

One Ring to bring them all, and in the darkness bind them,

In the Land of Mordor where the Shadows lie.

하늘 아래 요정왕들을 위한 세 반지

돌의 궁전 속 난쟁이 군주들을 위한 일곱 반지

필멸자 인간들을 위한 아홉 반지

암흑권좌의 암흑군주를 위한 절대 반지

그림자가 드리운 모르도르의 땅에서,

모두를 지배하는 절대 반지, 모두를 찾아낼 절대 반지

모두를 불러낼 절대 반지, 그리고 암흑 속에서 그들을 속박하리니

그림자가 드리운 모르도르의 땅에서.


The (One) Ring. 제2시대에 제작된 힘의 반지 중 하나로, 그들 중 가장 으뜸이자 나머지 반지를 모두 지배하는 유일한 반지.




2. 설명[편집]


J.R.R.톨킨이 쓴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중요한 물건이다. 반지의 제왕을 포함한 톨킨의 레젠다리움 중 태양 제 3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물건으로 꼽힌다. 소설 호빗을 성공적으로 세상에 알린 톨킨이 후속작을 만들기 위해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 요술반지의 정체를 생각하다가 만들어진 것이 반지의 제왕이며, 톨킨의 세계관에서 가장 인상적인 가상의 물건 중 하나이다.

톨킨의 이야기에서, 제 2시대 힘의 반지를 제작한 요정들을 기만하고 가운데땅에 대한 지배력을 확고히하기 위해 사우론이 만든 강력한 반지이다. 나머지 반지와 달리 사우론의 본거지인 운명의 산에서 제조되었다. 나머지 반지의 힘보다 강력할 뿐만 아니라, 그 반지들의 주인의 의지를 꺾고 생각을 읽으며, 그 반지의 지배력 또한 가져갈 수 있도록 제조되었다. 역사적 맥락은 힘의 반지 참고.

요정들이 만든 반지, 즉 힘의 반지 자체가 강력한 것이기 때문에, 절대반지를 제작하기 위해 사우론은 자신의 많은 힘과 의지를 녹여내기에 이르렀다. 어찌나 많은 힘을 쏟아부었는지, 절대반지의 힘과 유혹은 제2시대와 제3시대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것이었다. 동시에 절대반지는 마치 자아를 가진것처럼 행동하며 언제나 자신의 주인 혹은 자신의 일부인 사우론에게 돌아가려고 한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반지를 바다 깊은 곳 같은 오지에 버려도 소용이 없다. 결국 언젠가 어떻게든 사우론에게 돌아올 테니까. 실제로 소설에서 간달프가 직접 반지를 바다에 버려봤자 사우론이 찾아낼 거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나머지 반지와 강력한 연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대반지를 착용하면 나즈굴사우론이 쉽게 그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는 사우론의 약점이 되기도 하는데, 절대반지의 파괴가 곧 사우론의 파멸을 의미했던 것이다. 절대반지의 힘이 완전히 사라져버리면, 사우론은 힘없는 영혼이 되어 떠돌이 신세가 되고 말 것이다. 그렇지 않더라도 절대반지가 손가락에서 빠져나가도 사우론의 힘은 반지를 만들기 이전보다 약해진다.

그렇지만 절대반지는 마이아가 만든 일종의 신물(神物) 같은 것으로, 간달프의 말에 따르면 그 어떤 당대 기술력으로도, 심지어 용 중의 최강의 용인 흑룡 앙칼라곤의 불마저도 절대반지는 손상시키지 못하며 오로지 그것이 만들어진 모르도르운명의 산의 불꽃에 던져 넣어야만 파괴가 가능하다.[1] 어쨌거나 그 시대는 앙칼라곤은 고사하고 불뿜는 용 자체가 없었고 빌보와도 연관된 스마우그의 죽음이 그 마지막이었으니…[2]

왠지 맥거핀이라는 오해가 있는데 당연히 아니다. 이야기의 중심축이며 중요한 동기이긴 하지만, 그 기원과 결말이 명확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영화판으로 일어나는 오해도 아닌게, 1편 도입부에 설명이 나온다.

오히려 소설의 제목(the Lord of the Rings)이 절대반지 그 자체를 가리킨다. 영어의 lord라는 단어의 특성을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인데, 이에 덧붙여 톨킨이 이 소설을 구상한 배경을 합하면 더 그렇다. 톨킨은 이 소설을 구상할 때 그 중심은 "빌보의 요술 반지의 정체"를 알아가는 것이었다. 더군다나 처음 구상 때 톨킨이 생각한 '반지의 제왕'이라는 표현은 소설 전반부, 즉 절대반지의 정체가 밝혀지고 그것의 처분이 정해지는 시절에 대한 제목으로 적절하다고 판단했었다. 이를 모두 고려해보면 반지의 제왕은 모든 반지들의 로드, 즉 절대반지가 되는 것.[3]


3. 형태[편집]


보석이 박혀있는 다른 힘의 반지들[4]과는 달리 절대반지는 아무런 보석도 박혀있지 않고 무늬도 새겨져있지 않은 얼핏보면 투박해보일 정도로 단순한 금반지 형태다. 하지만 손상되지 않는만큼 언제나 광택이 나서 반짝이고 깔끔했던 걸로 보인다. 고온에 노출되면 사우론이 새겨놓은 아래와 같은 무늬가 안과 바깥에 나타난다. 이는 요정문자 텡과르를 기울여쓴 것으로, 일종의 신다린 서법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언어는 암흑어(black speech)로 되어있다.

#
파일:external/www.cs.ubc.ca/one-ring-inscription.jpg

Ash nazg durbatulûk, ash nazg gimbatul,

One Ring to rule them all, One Ring to find them,

모든 반지를 지배하고, 모든 반지를 발견하는 것은 절대반지,

ash nazg thrakatulûk, agh burzum-ishi krimpatul.

One Ring to bring them all, And in the darkness bind them.

모든 반지를 불러모아 암흑에 가두는 것은 절대반지.


이 문구는 반지시(Ring Verse)의 일부인데 이 항목의 가장 위에 있는 싯구를 참고하라.

이 독특한 모양새 때문에 간달프빌보의 요술반지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난롯불에 반지를 던져넣어본다. 이 장면은 반지의 제왕 초반에 등장하여, 절대반지의 모양을 자세히 묘사하게 되었다. 프로도는 불에 집어던져졌음에도 생채기도 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달궈지지도 않은 반지에 놀라게 된다.[5] 프로도가 느끼기에, 불에 들어갔다 나온 반지는 좀 더 두껍고 무거워진 듯했다. 열팽창의 원리 그리고 나서 저 글자들이 반지의 안팎에 아로새겨져 있음을 알게 되는데, 흐르는 듯한 이 글자들은 가장 가는 펜촉보다 더 가늘고, 불꽃의 글자였다고 한다. 즉, 글자가 그냥 새겨지는 것이 아니라 아주 가는 선이 불꽃처럼 빛을 내고 있었던 것. 이 모습은 영화에서도 잘 표현해놓았다.[6][7]


4. 능력[편집]


근본적인 능력은 힘의 반지가 보통 그러하듯이, 세월의 풍화를 견뎌내게 하며 소유자의 힘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절대반지의 묘사나 특성을 고려할 때 이 능력도 다른 힘의 반지보다 우월했다. 동시에 사우론 고유의 기술력에 의해, 강력한 은신의 힘이 있었다.[8] 게다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볼 수 있는 힘[9]이 있었다. 반지가 처음 등장하게 되는 소설 호빗에서는 본격적인 설정이 잡히지 않았던 탓에 반지를 낀 상태라 하더라도 밝은 햇빛 밑에서는 그림자가 드리워진다는 약점이 있었지만 반지의 제왕에서는 그런 약점이 있다는 설명이 없다.[10] 그리고 호빗에서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보는 힘은 묘사되지 않는다. 반지의 제왕에선 프로도가 반지를 끼자 갑자기 세계가 흐릿해지지만 나즈굴들의 실체가 또렷하게 보인다는 묘사가 있지만 호빗에서는 반지를 낀다고 시야가 달라진다는 묘사는 없다. 그리고 소설 2부인 두개의 탑 부분과 호빗에서 나온것으로 보건데 언어능력을 초월하여 모든 생물들의 대화를 이해할 수 있는듯 하다. 프로도가 쉴로브에게 물린 그 날, 반지를 처음 낀 샘 와이즈가 절대반지를 끼고 처음듣는 모르도르어로 하는 오크들의 대화를 단박에 이해할 수 있었으며, 빌보는 반지를 끼고 거미들의 대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세월의 풍파를 막기 때문에 소유자는 늙어 죽지 않는다. 다만, 수명 자체를 늘려주는 게 아니라 정해진 수명을 잡아늘린 것 같은 기형적인 불사라서, 오랜 세월 갖고 있던 골룸 같은 경우에는 추한 모습으로 연명할 뿐이라고 한다. 또한 소유자의 힘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원래 가진 바 힘이 강력한 인물들, 예컨대 간달프라든가 갈라드리엘이 사용하게 되면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힘의 반지와 마찬가지로 예술적 힘이 아닌 마술적 힘이기 때문에, 종국엔 타락의 근원이 된다. 반지의 힘의 효과는 비정상적으로 소유자의 욕망이 상승하는 것. 간달프가 그것을 만지기도 싫어했던 건 다 이유가 있다. 반지의 주인이 휘두르는 권능은 상당히 강력한 것이라서, 해석에 따라서는 프로도의 선언이 이뤄진 것마저 반지의 힘으로 수용되기도 한다.[11]

어떤 식으로 힘을 발휘하고 어떤 식으로 타락하는지는 정확히 묘사된 바가 적지만, 강대한 힘을 소유하게 되며 반드시 타락하게 되는 결말을 맞는 것은 소설에서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12] 그 때문에 간달프는 한사코 반지의 소유를 거부했고, 갈라드리엘 역시 짧은 순간이었지만 엄청난 유혹을 이겨내어 반지의 소유를 거부할 수 있었다.유혹을 이겨내는 묘사 참고로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반지가 유혹해 올때 나오는 음성은 영국 배우 앨런 하워드의 목소리를 변조한 것이다. #

소설의 여러 가지 묘사와 설명을 보면, 절대반지의 유혹은, 그것을 가지고 싶어하는 인물의 욕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절대반지는 자신의 힘을 이용하여 대상의 소망을 이뤄줄 수 있다고 유혹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가장 상세하게 묘사되어있는 예시는 보로미르이다. 그는 섭정의 후계자로서, 무너져가는 곤도르를 지키고 싶은 욕망이 있었고 반지의 힘을 이용하면 곤도르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 욕망은 뿌리치기 힘들었고 결국 보로미르는 반지의 유혹에 굴복하게 된다. 이런 점은 다른 인물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인다. 갈라드리엘[13], 간달프[14], 사루만[15] 등이 모두 각자의 욕망을 가지고 있었고 반지를 이용하면 그 욕망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혹은 그렇게 반지가 유혹했다.) 그 현실이 목전에 있을수록, 반지가 가까이 있을수록 그 욕망은 더 강력해졌음에 틀림없다. 가장 절박했고 가까이서 반지를 지켜봐야했던 보로미르는 강인한 정신의 소유자였음에도 그 유혹을 끝내 이겨내지 못했다.

간달프는 이 점을 역으로 이용한 셈이다. 호빗은 반지전쟁을 통해 절대반지에 놀랍도록 강력한 내성이 있음이 밝혀진다. 호빗은 톨킨이 거듭 강조했듯, 평화롭고 거의 무욕의 삶을 산다. 예를 들어 반지가 샘을 유혹할 때는 위대한 영웅이 되어 바랏두르를 무너트리고 모르도르를 꽃이 만발한 정원[16]으로 만들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샘은 자기가 영웅이 될 인물도 아니고 그런 정원도 굳이 필요하지 않다는 걸 스스로 잘 알고 있었기에 반지를 원하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샘이 반지를 오래 가지지 않아서였음은 고려해야할 것이다. 나머지 호빗들도 기본적으로 대단한 것을 바라지 않기 때문에 반지의 유혹 역시 대단한 것이 아니게 된다.[17] 이것이 사실상 호빗이 절대반지에 강한 내성을 갖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추측된다. 프로도가 점점 반지에 휘둘리는 건, 무욕의 삶을 살아가던 그에게 짊어지어지는 고통과 책무가 강해지고 그의 여행이 위험해지며 목숨이 위협받게 되면서, 빨리 모든 것을 끝내고 평화롭게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욕망이 강해져갔기 때문일 것이다.[18]

작중에서 나즈굴들이나 사우론은 이 반지와 매우 깊은 관계가 있기에 다른 존재들이 이 반지를 착용하면 그것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몇 가지 제한이 붙는 것으로 묘사된다. 일단 어느 정도 거리가 가깝지 않으면 느끼지 못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실제로 원정대가 리븐델을 떠난 후 프로도와 샘이 위기를 모면하려고 반지를 낀 장면이 몇 개 있는데 정작 사우론은 프로도가 운명의 산에서 반지를 낀 순간에야 비로소 반응하는 모습을 보인다.[19] 그리고 또 하나 조건이 있는데, 사우론이 반지를 느낄 수 있지만, 그가 다른데 집중하지 않을 때라는 가능하다는 것. 그런데 하필이면 운이 좋게도 샘과 프로도가 꼈다 뺐다 할 때마다 팔란티르로 아라고른과 대면하거나 곤도르 쌈질 구경하는 바람에 그만...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에도 등장. 1편인 뜻밖의 여정에서 빌보가 골룸으로부터 반지를 획득하는 과정이 나왔다. 이후, 2편 스마우그의 폐허에서 반지의 힘을 요긴하게 써먹어서 위기를 넘겼다. 단, 스마우그와 첫대면했을 때는 주변을 메운 보물 탓에 소리가 나서 스마우그로부터 완벽하게 숨겨주지는 못했다. 게다가 스마우그는 자신이 반지의 존재를 알고 있다는 것을 대화 도중 직접 암시한다.


5. 여정[편집]


사우론이 제 2시대에 이 반지를 만들고 나서 반지들을 통제하려고 했으나, 힘의 반지를 가진 요정들은 바보가 아니었다. 사우론이 그들에게 간섭하고 생각을 읽으려 하자, 요정들은 힘의 반지를 집어던졌다. 그리고 가장 강력하고 사우론의 마수에서 독립했던 세 반지를 현자들에게 맡겨 사우론으로부터 숨겨버렸다. 사우론은 반지를 탈취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다. 그 과정에서 켈레브림보르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고 에레기온은 폐허가 되었다. 다만, 제2시대에 막강했던 누메노르에 의해 사우론이 패배하면서 누메노르는 사우론을 포로로 잡아갔는데, 사우론은 절대반지를 자신의 요새인 모르도르에 숨겨뒀다. 사우론은 세 치 혀로 누메노르를 그대로 바다 속으로 수장시켜버렸는데, 이 때 자신의 아름다운 육신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후로 사우론의 영혼은 절대반지에 더 강하게 귀속되었으며 절대반지에 의존적인 존재가 되어버렸다. 사우론은 모르도르로 돌아가 다시 반지를 착용하고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반기를 든 요정과 인간은 최후의 동맹(the Last Alliance)을 결성하여 모란논 내외에서 수 년간 전쟁을 치르게 된다. 바랏두르 공성전에서 사우론은 직접 전쟁에 참여하게 되지만, 이실두르에게 손가락을 잘리고 절대반지를 빼앗기게 된다.

이후, 절대반지는 여러 인물들의 손을 거치게 된다. 절대반지의 소유권 변천사. 이실두르는 반지의 유혹에 굴복하여 반지를 파괴할 결정적인 기회를 날려버리고 그것을 국보로 삼을 생각을 하게 된다. 결국 이실두르는 잔존 오크 세력의 기습을 받아 목숨을 잃게 되고, 이 때 반지는 안두인 강의 지류 어딘가에 떨어지고 만다. 그런데 훗날(약 2500년 후!) 이 반지는 그 지역에 살고 있던 한 호빗(데아골)이 낚시를 하다가 발견하게 된다. 그런데 발견되자마자, 그 반지를 강하게 탐했던 바로 옆의 친구로 소유자를 갈아치운다.[20] 스메아골은 자신이 원하던 것을 절대반지를 통해 이루는데, 그것은 남들이 하는 소리를 염탐하는 것. 결국 주민들과 어울리지 못한 스메아골은 쫓겨나 동굴로 기어들어가게 된다. 이후, 기묘한 기침 소리를 내는 골룸이라는 새로운 인격을 얻게 된다.

먼 훗날(469년 후) 빌보 배긴스가 간달프와의 여행을 하면서 우연히 스메아골을 만나게 되고, 또 우연히 반지를 갖게 된다. 이 반지는 60년 동안 빌보의 손에 있었으나, 프로도 배긴스에게 양도되고, 간달프가 그것이 절대반지임을 간파하게 된다. 프로도는 반지의 사자가 되어 운명의 산으로의 길을 걷는다. 우여곡절 끝에 프로도는 절대반지를 운명의 산 속 열극 사이로 가지고 가지만, 강력한 유혹을 끝내 이겨내지 못하고[21] 반지의 소유권을 주장함과 동시에 반지를 착용하게 된다.[22] 이에 골룸은 기어이 프로도의 손가락을 물어뜯어 반지를 빼앗지만, 격분한 프로도의 반격에 엎치락 뒤치락 하다 반지와 함께 용암 속으로 빠져버리고, 반지는 골룸과 함께 파괴된다. 이후 절대반지의 힘 아래 놓여있던 모르도르의 요새는 완파되며 사우론은 힘을 잃고 몰락하게 된다.

이 여정 중 반지의 유혹을 제일 잘 이겨낸 존재는 마이아도, 요정도 아닌, 평범한 호빗 빌보다. 물론, 간달프의 을러대기로 간신히 포기한 거지만 애초에 요정여왕조차 거부하는데 탈진할 정도로 힘을 쓰는 반지의 유혹을, 그것도 여러번 반지를 사용한 존재가 떨쳐낸 것은 대단한 일이다. 간달프도 그 점에 대해 빌보를 칭송한다.

감지네 샘와이즈는 프로도 배긴스가 쉴로브에 의해 쓰러졌을 때 잠시동안 반지를 소유하고 있다가 프로도에게 군말 없이 반지를 돌려주었다. 다른 경우와 반대로 샘은 아주 잠시 동안만 반지를 사용하기는 했으나, 골룸이 처음 본 지 몇 분도 안 된 반지를 손에 넣기 위해 살인을 저질렀다는 점을 고려하면 샘 역시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빌보와 반지의 인연이 골룸을 살려준 인자함으로 시작하였다는 사실과 골룸과 반지의 인연은 살인으로 시작했다는 점을 대조하여 빌보에게 존재하는 반지의 유혹에 대한 내성을 설명하려는 의견도 있다.

영화의 스토리만 가지고 본다면, 본래 골룸이 소지하고 있었다가 호빗에서 빌보 배긴스의 소유가 되며, 이후 반지의 제왕에서는 프로도 배긴스를 거쳐서 막판에 다시 골룸이 빼앗아 서로 싸우다가 결국 골룸과 함께 소멸된다.


6. 소품 및 구매처[편집]


파일:external/static.megashara.com/1040752__01_41_50.jpg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에 나오는 절대반지 소품은 덴마크 출신 반지 제작자(Ring-maker)인 Jens Hansen이 디자인하였다.[23] 그의 온라인 매장에서 영화에 사용된 소품과 동일한 절대반지를 구매할 수 있다. 반지의 경우 재질은 9, 14, 18, 22ct이 있고, 반지에 요정 문자와 상표를 새길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 백금, 로즈골드 등 다양한 재질의 절대반지나 두께가 절반인 미니 절대반지, 아라고른 2세의 바라히르의 반지 또한 판매한다. 해외배송이 가능하다. 영화에서 사용된것과 완벽히 동일한 제품은 가격이 무려 $2159, 한화 약 220만원이다!

위의 제품들은 실제 소품과 동일하고 아름답지만, 비싸다. 가난한 톨키니스트들을 위해 웨타 디지털 온라인 샵에서 공식 레플리카를 판매한다. 링크 재질은 탄화텅스텐 반지에 금을 도금한 것. 가격은 99달러로, 위의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또한 탄화텅스텐의 특성상 원작처럼 반지의 무거움을 살림과 동시에 단단해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가 적다. 마찬가지로 해외배송이 가능하며, 반지가 들어있는 원통형 나무상자는 덤. 또한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가 개봉하면서 겉표면에 요정 문자가 적혀있지 않은 절대반지도 판매하고 있다. 링크

두 반지 모두 외형은 Jens Hansen이 디자인한 영화 소품과 동일하지만, 반지 안쪽에 웨타 디지털과 Jens Hansen의 상표가 레이저로 새겨져 있어 완벽히 같지는 않다. 또한, 도금된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도금이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 외에도 웨타 디지털에선 18K짜리 금으로 된 절대반지의 주문제작이 가능하다. 링크 또한 은이나 # 10K짜리 금으로 만들어진 # 절대반지, 그리고 반지의 제왕 및 호빗 실사영화 시리즈에 등장하는 다양한 장신구들이나 소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 관심있는 톨키니스트들은 한번 들어가 보자. 사우론의 유혹을 이겨내보자. 지갑을 지배하는 절대 반지, 지갑을 찾아낼 절대 반지, 지갑을 불러낼 절대 반지, 그리고 고지서의 암흑 속에서 그들을 속박하리니

만약 반지를 구매하게 될 경우, 반지 사이즈 선택에 유의할 것. 국가별로 반지 사이즈를 표시하는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의 반지 사이즈를 반지 사이즈 환산표로 환산해서 온라인 샵에서 표기하는 사이즈에 알맞게 주문할 것을 추천한다.


7. 지칭과 번역에 대하여[편집]


원문에서, 반지의 싯구에 따라 가장 대표적인 이름은 the One Ring이다. 지배하는 하나의 반지라는 뜻에서 the Ruling Ring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보통 대문자를 활용하여 the Ring이라고 말한다.

다만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영어명이 저렇게 생긴지라[24] 여러 의견이 있다. 원래 해적판이나 초기 번역, 씨앗을 뿌리는 사람에서는 절대반지라고 번역해왔으나(정확히는 예문판 "반지전쟁" 및 초기 황금가지판에서는 절대반지였다. 유일반지라는 명칭도 황금가지판에서 나온다.) '한반지'라는 명칭은 옛날 한 판본에서 나왔던 명칭이며, 나중에 영화의 첫 개봉 즈음 반지의 제왕 연구소를 포함한 몇몇의 팬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온라인에 본격적으로 퍼졌다. 초자연적인 힘이 있다는 뉘앙스의 'the One'을 옮긴 '한'이라는 말은 하나(1)의 의미에 더하여 '크다'라는 순우리말이기도 하다. 당시 부드러운 순우리말 조어에 대한 관심으로 생겨나 유행하였다.[25]

각각의 번역된 표현들에 대한 선호도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절대반지가 지지도가 가장 높고 널리 알려져 있다.[26] 팬이 아닌 일반 대중들에게도 영화를 통해 절대반지라는 번역어가 유행하고 잘 알려져있다. 이에는 기본적으로 대중들이 해당 번역어를 먼저 접했다는 점에 더해 절대반지가 초월번역에 가깝게 뜻을 잘 전달하고 임팩트가 크다는 점도 작용했다.

앞서 얘기했듯 the One Ring의 번역은 쉽지 않아서 여러 번역어들이 존재해왔는데, 각기 장단점이 있다. 임팩트 하나로 다 씹어먹는 '절대반지'에 비해, '한반지'나 '유일반지'처럼 'One'이라는 수량에 중심을 둔 번역은 원문의 수량적 표현이 전달하는 대비나 대구를 잘 전달해준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원작의 싯구에서 the One Ring은, 절대적인 힘을 가진 반지라는 의미 외에 the Nine Rings, the Seven Rings, the Three Rings의 숫자들에 대응되는 대구이다. 즉, one이라는 수식어는 존재하는 개수별로 종류가 나뉘는 반지들을 구분해주는 대비이자, 시적 대구를 담고 있는 수식어이다. 따라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하려는 입장에선 수량의 개념에 충실한 번역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한반지' 번역에 대해, 영어 해석을 잘못한 틀린 번역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한반지'가 반지 한 개 라는 뜻에 불과하고 특정성이 없기 때문에[27] 때문에 '절대성'이나 '우월성'의 느낌이 사라진 번역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반지라는 단어의 뜻은 the One Ring에서 the를 뺀 one ring의 의미밖에는 없으며, 이렇게 the가 빠진 의미를 가짐으로써 '아무데나 굴러다니는 싸구려 반지'에 대응하는 번역이라는 것이다. 마치 백악관의 영어단어인 the white house를 번역하면서, the는 떼어놓고 white house만 번역하여 백악관을 하얀집(소위, 정신병원)으로 부르는 격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윗 문단의 지적에 대한 반박도 있다. 위에서 말하는 특정성 없는 일반적인 '한'이라는 관형사를 받는 단어는 예외없이 그 뒤에 단위나 지역을 지칭하는 명사, 대명사가 들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한 마리, 한 명, 한 묶음, 한 나라, 한 마을, 한 바구니, 한 곳, 한 강, 한 도시 등으로 쓰지, 한 귤, 한 가방, 한 차, 한 의자, 한 냉장고 등으로 쓰지 않으며, 한 반지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한반지라는 번역어는 윗 문단에서와 같이 특정성 없는 일반명사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 '한반지'라는 번역어는 수량을 나타내는 '한'[28]에서 뜻을 따온 고유명사가 되는 것이다.[29]

의미상 '한'반지로 번역할 경우 혼동없이 정확한 의미전달을 하는데 문제가 심각하다. '한' 이라는 말 자체가 동음이의어가 많아 같은 발음인데 뜻이 다른 말들이 일상생활에서 여럿인지라(...) 듣는 사람에게 혼동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개봉했던 영화나 대중매체에서 톨킨의 작품을 모르고 가볍게 접한 상당수 대중들도 많다는 점을 전혀 배려하지 않은, 그들만의 리그 수준의 불친절한 번역이 된다. 원작을 모르는 사람이 한반지란 말을 들으면 누군가의 '(원)한'이 서린 반지인지, 고대 '(중국)한'나라 사람의 반지인지, '(차가운)한'기가 도는 반지인지, '(인명)한'이란 성씨나 이름을 가진 사람의 반지인지, '(무뢰)한'의 반지인지, '(절대적인 힘을 가지고 유일한)한'반지인지 어떻게 알겠는가?

반면에 '절대'반지란 말을 들으면 그 순간 이건 강하고 무언가 배경이 있는 것이구나. 하는 느낌이 톨킨을 모르는 사람이라도 바로 어감을 이해할 수 있어서 원작을 이해하거나 흥미를 가지는데 도움이 된다. 번역의 최종적인 목적은 정확한 의미전달과 함께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것이란 것을 감안해 보면 '한'반지의 혼동을 유발하는 부분은 좋지 않은 부분이다.절충해서 절대한반지


8. 이야깃거리[편집]


영화 반지의 제왕을 만든 제작팀은 절대반지의 중요성을 더 살리고, 소설에서의 묘사를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해 절대반지도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서 묘사했다. 영화에서 '그'는 자신만의 배경음을 가지고 있었고, 속삭이는 목소리가 있었다. 무엇보다 반지가 주어가 되어 일을 꾸미는 것처럼 말하는 장면이 상당히 많다.

소설에서 보면, 결국 절대반지라는 건 인격을 가진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기본적으로는 수동적이라고 믿어지는 사물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절대반지는 소설의 가장 핵심을 이루는 사물이기 때문에, 작가의 메시지가 있다면 절대반지를 통해서 많은 것이 드러날 것이다. 지나가는 묘사를 통해서도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예컨대, 프로도가 처음으로 반지를 받아본 뒤, 간달프가 반지를 잠깐 달라고 부탁하는 장면이 있다. 그런데 순간적으로 프로도는 반지가 무척 무거워진 것 같다고 느낀다. 마치 반지가 간달프의 손에 닿는 것이 싫은 것처럼. 그 반지가 무거워짐은 프로도 본인이 싫어서 (반지의 무게는 그대론데) 무거워졌다고 느낀 것인지, 아니면 정말 반지가 가기 싫어서 무거워진 것인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다. 이 '꺼림' 혹은 소설 설정을 고려할 때 "악한 것"이 내적인 것인지 외적인 것인지를 판단하는 건 독자들을 위해 유보되는 것이다.

이런 연출은 영화상에서도 표현되는데, 간달프의 앞에서 빌보가 반지를 포기하려는 장면을 보면 소유할 당시에는 손가락으로도 가볍게 튕겨지던 반지가 손에서 내버리려고 할 때에는 마치 무거워지기라도 한 것처럼 땅에 달라붙듯이 묵직하게 떨어진다. 빌보의 반지에 대한 집착과 절대반지가 평범한 반지가 아님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영화 제작자들은 반지가 가진 힘을 나타내도록, 더 무겁게 떨어지는 모습을 연출해내기 위해 바닥에 자석을 부착시킨 뒤 촬영했다고 한다.[30] 비슷한 내용으로, 프로도가 눈산을 오르다가 넘어져서 반지를 떨어뜨리고 이를 보로미르가 줍는 장면에선 일부러 실제보다 더 큰 반지 소품을 만들어서 무게감이 더 크도록 하고, 카메라의 원근감을 이용해서 크기를 조정했다고.

아무튼 이거 하나 부수자고 원정대가 개고생을 하기 때문에, 김리도끼 한방에 파괴한다거나[31] 독수리를 타고 운명의 산에 투하한다던가[32] 하는 식으로 사실 더 쉽게 부술 수 있다는 농담을 하기도 한다.


9.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모르도르 /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힘의 반지 문서의 r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힘의 반지 문서의 r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스핀오프격인 미들 어스 게임 세계관에선 사우론이 절대반지를 만들고 마무리 작업과 반지시를 새기는 과정을 켈레브림보르를 절대반지로 세뇌해서 시켰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때문에 반지는 사우론 뿐만 아니라 켈레브림보르 역시 어느정도 주인으로 인정하고 있다. 일명 빛의 군주(Bright Lord). 또한 원작 세계관에서 없는 오크나 나즈굴 등을 세뇌해서 자신의 편으로 만들 수 있는 강력한 지배의 권능을 선보인다.

켈레브림보르는 반지를 완성시키며 바로 자신이 착용, 도주했고 모르도르에서 빛의 군주와 어둠의 군주의 내전이 발발한다. 이 싸움은 켈레브림보르가 승리했지만 결국 반지는 켈레브림보르가 아닌 진정한 주인인 사우론의 손을 들어줬고 스스로 켈레브림보르의 손가락에서 빠져나와 사우론에게 돌아간다. 이후 이 절대반지의 행적은 본편과 같다.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워에서 탈리온의 몸을 빌려 다시 현세로 나타난 켈레브림보르는 탈리온과 함께 운명의 산에서 새로운 절대반지를 만든다. 기존 절대반지와 다르게 문양이 청색으로 빛나며 사우론과 켈레브림보르의 말에 따르면 소유주를 타락시키는 부작용도 없다는듯 하다. 사우론의 기술이 들어가지 않아 사우론과 별 연관이 없는 유일한 힘의 반지인듯. 반지가 탄생하면서 켈레브림보르의 혼은 탈리온에 직접 빙의되는게 아니라 절대반지에 사우론처럼 예속된다.

이 반지는 탈리온이 착용하다가 켈레브림보르가 배신함에 따라 엘프 엘타니엘의 손에 돌아간다. DLC인 갈라드리엘의 검 엔딩이 프로도에 의해 오리지널 절대반지가 파괴된 순간인데 엘타니엘이 그때까지도 소유중이었으며 별다른 부작용 역시 보이지 않는다. 부작용이 없다는 말은 정말이었던 듯. 하지만 켈레브림보르의 혼도 사우론이 파멸한 순간 떠나버렸을테니 힘을 잃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1] 번역본에는 이것이 오역되었다. 번역본에서 간달프는 "용 중의 최강의 용인 흑룡 앙칼라곤의 불이라면 손상을 줄 수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지만 원문은 전혀 다른 뜻이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 "It has been said that dragon-fire could melt and consume the Rings of Power, but there is not now any dragon left on earth in which the old fire is hot enough; nor was there ever any dragon, not even Ancalagon the Black, who could have harmed the One Ring, the Ruling Ring, for that was made by Sauron himself." (용의 불꽃이 힘의 반지를 녹이고 파괴할 수 있을 것이라고들 하지만, 불꽃이 충분히 뜨거운 용은 이 땅에 더 이상 남지 않았지. 게다가 절대반지, 혹은 '지배하는 반지'를 손상시킬 수 있었을 용은, 흑룡 앙칼라곤도 마찬가지로, 지금껏 있었던 적이 없네. 이 반지를 사우론이 직접 만들었기 때문이야.) 즉, 옛 화룡의 불꽃은 비록 다른 힘의 반지는 손상시킬 수 있지만, 절대반지는 (마이아인 사우론이 직접 만들었기에) 앙칼라곤일지라도 흠을 내지 못한다는 뜻이다.[2] 게다가 가운데땅의 용들은 전부 모르고스가 만들어 낸 용의 후손이니 모르고스의 오른팔격인 사우론을 쓰러트리기 위해 힘을 빌려줄리도 없다. 다만 난쟁이들의 반지도 용들이 삼켜버린 만큼 절대반지도 그런 식으로 용에게 넘겨줬다면...[3] 물론, 사우론일 가능성도 없는 건 아니나, 반지의 운명은 사우론조차 쥐고 흔들었다. 제2시대를 끝낸 것은 사우론의 죽음이나 소멸이 아니라 반지의 탈취였고, 제3시대를 끝낸 것도 빌보나 아라고른이 사우론의 목을 벤게 아니라 반지의 소멸 그 자체가 가져온 것이었다. 제2~제3시대를 통틀어 그 세상의 운명을 쥐고 있었던 것이 절대반지라는 것을 생각해 보자.[4] 대표적으로 요정의 세 반지는 각각 사파이어, 다이아몬드 그리고 루비가 박혀있다.[5] 그런데 이실두르가 처음 만졌을때는 석탄처럼 뜨거워서 손이 시커멓게 눌어붙었다고 한다. 원래 주인인 사우론의 뜨거운 손에 있을때는 예외적으로 달궈지는듯 하다.[6] 영화 반지의 제왕 반지원정대에서는 간달프가 미나스 티리스에서 살펴보는 문서에 저 글자들 중에 모음이 하나 빠져있다.[7] 호빗 스마우그의 폐허에서는 베오른의 집에서 잠이 오지 않던 빌보가 반지를 꺼내들었는데 반지가 클로즈업되면서 모르도르어로 위의 문구가 읽혀지고 돌 굴두르 씬이 나오면서 오크들이 등장한다.[8] 정작 이 힘을 가장 유용하게 써먹은 인물은 사우론이 아니라 빌보였다. 사실 사우론 본인은 반지를 껴도 투명해졌다는 묘사가 없다.[9] 이 때문에 프로도가 절대반지를 착용하자, 나즈굴의 보이지 않는 모습이 훤히 보이고, 저 너머의 땅이 눈앞에 보이듯 펼쳐지게 된다. 물론, 인간들을 위한 아홉 반지 역시 보이지 않는 세계를 꿰뚫어보는 힘이 있기 때문에, 나즈굴에게는 은신한 프로도가 그대로 보이게 된다![10] 물론 사우론의 힘이 강해지면서 은신의 힘도 강해졌다고 설명할 순 있겠지만...[11] 운명의 산에서 프로도가 반지에 걸고 골룸의 운명을 선언한다. "썩 꺼져라! 날 더 이상 괴롭히지 마라! 다시 날 건드린다면 넌 운명의 불길 속에 던져질 게다!" 이는 결국 반지 스스로가 파괴되는 형태로 이뤄졌는데, 이 귀결이 힘의 반지가 스스로의 권능에 의해 파멸되는 장면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12] 이 때문에 누군가가 반지의 힘을 이용해 사우론을 물리치더라도 곧 그 자신이 사우론의 자리에 오를 것이며, 따라서 반지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고 한다.[13] 그녀는 언제나 군주가 되고 싶어했다.[14] 가운데땅의 악을 종식시키고 의무를 다 완수하는 것.[15] 인간과 요정을 계도하고 사우론을 견제하고 통제하는 것.[16] 샘은 정원사였다.[17] 하지만 빌보의 경우, 이 이유와 더불어, 빌보가 한참 여행을 즐길 때는 사우론이 백색의회를 피해 조용히 힘을 숨기고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반지를 가지고 있는 기간에 따라 유혹은 더 강해지고, 그것도 한번 이상의 힘을 사용한 자였지만 호빗의 특유의 성질과 빌보의 정신력이 겹쳐 여러모로 운이 좋았던 셈이다.[18] 다만, 최후의 순간에 가해진 반지의 유혹은 너무나도 강력한 것이어서, 톨킨은 불가항력적인 것이라 말한다. 그는 오로드루인 화산 앞에서 절대반지의 힘은 그 누가 짊어졌더라도 이겨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프로도의 잘못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이실두르 또한 비록 위대한 전사였지만 운명의 산 앞에서 반지의 유혹에서 자유롭지는 못했을 것이다.[19] 이 이유 중 하나는 샘은 그냥 반지를 낀 것이고, 프로도는 "이 반지는 내 것이다."라고 선언하고 반지를 꼈기 때문에 반지의 권능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나서 그게 사우론과 그의 부하들에게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20] 데아골의 친구 스메아골은 데아골이 반지를 발견한 것을 알고는 그 반지의 아름다움에 반하여 생일선물로 달라고 떼를 쓴다. 그러나 데아골도 이 반지가 퍽 마음에 들어 양보하지 않자, 힘이 셌던 스메아골은 기어이 데아골을 교살하고 반지를 갖게 된다.[21] 운명의 산에서의 절대반지의 유혹은 절대반지의 발악 때문인지 그 누구도 당해낼 수 없는 모양이다. 톨킨은 편지를 통해 그 누구도 최후의 순간에서 반지의 유혹은 이겨낼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님을 설명했다.[22] 이 때 사우론과 나즈굴은 반지의 파괴 혹은 반지의 사용을 막고 회수하러 전장을 이탈한다. 나즈굴이 돌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프로도와 골룸이 화산 절벽 끝에서 다투고 있어, 소설 클라이막스의 긴장감은 극에 달한다.[23] 현재는 뉴질랜드에서 그의 아들인 Halfdan Hansen이 반지 제작자로 활동하고 있다.[24] 한국어로 저 영어의 뜻을 함축하는 게 쉬운일이 절대 아니다.[25] '하나반지'로 옮기는 사람도 있었으나 사장되었다.[26] 구글 검색 Hit수 차이와 각 키워드의 검색된 내용을 보면 차이가 매우 크다.[27] a ring처럼 indefinite하다는 주장.[28] 덤으로 크다는 뜻의 '한'.[29] 한편 같은 이유로 한반지라는 번역어가 어색하다는 주장도 있다.[30] 출처 : LOTR The Appendices DVDs[31] 원래는 1편에서 반지 때문에 회의가 열렸을 때, 반지를 파괴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자 김리가 "그럼 그냥 후딱 부수고 말지 뭘 그리 기다리냐"며 냅다 도끼를 휘두르는 장면. 하지만 오히려 김리의 도끼만 부서지며 다들 반지의 힘을 확인하게 된다. 직후 엘론드가 우리가 가진 기술로 반지를 파괴하는 건 절대 불가능하며, 오로지 운명의 산의 화염에 넣어야만 없앨 수 있다고 설명한다.[32] 이것도 반지가 독수리를 유혹하지만 않는다면 그럴 듯하기는 하다. 기본적으로 독수리가 나즈굴보다 강하니... 물론 마술사왕이 살아있는 경우는 독수리가 질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