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 시내버스

덤프버전 :

1. 개요
2. 운임과 사용가능한 교통카드
3. 노선 정보
4. 김제시 경유 노선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김제버스.jpg
김제 버스 24

파일:김제101.jpg
김제 버스 100, 101

전라북도 김제시시내버스. 안전여객에서 운영하고 있다.


2. 운임과 사용가능한 교통카드[편집]


2018년 10월 1일에 단일요금제가 시행되었다. #

단일요금제 시행 이후 운임은 아래와 같다.
종류성인청소년어린이
현금1,000원500원500원
교통카드950원450원450원

단일요금제 시행 이전에는 아래와 같았다.
종류성인청소년어린이
10km까지(현금)1,400원1,100원700원
10km까지(교통카드)1,350원1,050원650원
10~13km(현금)1,750원1,400원850원
10~13km(교통카드)1,700원1,350원800원
13km초과(현금)2,000원1,600원1000원
13km초과(교통카드)1,950원1,550원950원

남원시, 정읍시 시내버스와 경상남도 밀양시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시 단위이면서도 시계내 구간요금을 징수하는 곳이었다.[1] 다만 시계내에서는 상한 요금을 수수하는 것으로 하고, 시계를 벗어나면 그 경계부터 km당 116원 14전씩 추가요금을 붙였다. 요금이 단일화된 현재도 김제-도청 2700원 등의 구간요금이 있다.

또한 정읍시 시내버스와 밀양시 시내버스처럼 일반시임에도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지 않는 몇 안되는 곳이다.[2]

선불 교통카드로는 캐시비, 마이비, 하나로카드,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이용이 가능하며, 후불 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NH농협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3], JB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과거 삼원FA 1세대 단말기를 썼으나 현재는 삼원FA 신형 단말기를 사용한다.

3. 노선 정보[편집]


>
김제시
[ 펼치기 · 접기 ]
금구ㆍ금산15-17-19
3335
봉남ㆍ황산84950
시내 · 순환1036100101
부량ㆍ죽산1113, 141617-1
223945
광활ㆍ진봉15번대1819-148
성덕ㆍ백산20번대313240
45-1
공덕ㆍ백구ㆍ용지 · 전주24, 252627-147
만경ㆍ청하21233037, 38



4. 김제시 경유 노선[편집]


이 문단은 김제시를 경유하나, 다른 지역의 면허인 노선을 나열하는 문서이다. 김제시는 전주시, 익산시, 군산시에 둘러싸인 지역 특성상 이들 지역 시내버스들이 관내에 자주 드나든다.

  • 군산시 시내버스
    • 군산 버스 98 : 진봉면 새만금 방조제 경유[실질적으로는]
    • 군산 버스 36, 37 : 청하면 경유
  • 부안군 농어촌버스 840번
    • 부안터미널 출발 화호행[정읍시](현재 폐지됨)
  • 익산시 시내버스
    • 익산 버스 1 : 유강리, 백구, 난산, 성덕 및 그 연장, 지선 노선들[4]
    • 익산 버스 2 : 유강리, 백구, 난산
    • 익산 버스 10 : 유강리, 백구, 용지, 불노리
    • 익산 버스 11 : 유강리, 백구, 용지, 마다리
    • 익산 버스 12 : 유강리, 공덕파출소, 소음방
    • 익산 버스 13 : 유강리, 공덕파출소, 공덕면사무소, 과덕, 대청리, 관상
    • 익산 버스 15 : 유강리, 공덕파출소, 상정, 백산사거리, 대동리, 장산리, 만경
    • 익산 버스 16 : 유강리, 공덕파출소, 상정, 백산사거리, 조종리, 월현리
    • 익산 버스 17 : 유강리, 공덕파출소, 공덕면사무소, 과덕, 대청리
    • 익산 버스 18 : 유강검문소 삼거리, 동계리, 동지산리, 청하(신창)
    • 익산 버스 19 : 유강검문소 삼거리, 동계리, 회룡리
  • 전주시 시내버스
  • 정읍시 시내버스
    • 정읍 버스 231 : 신태인, 감곡 경유
    • 정읍 버스 241-1 : 북면, 태인 경유


5. 둘러보기[편집]


시 단위 환승할인 불가 지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1:15:19에 나무위키 김제시 시내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시 단위이면서 시계내 구간요금(상한요금 포함)을 징수하는 곳은 경기도 일반시내버스, 광역급행버스, 경기순환버스와 인천광역시 광역버스뿐이다.[2] 반대로 농어촌버스 중에 무료환승제도를 실시하는 곳은 양구군, 양양군을 제외한 강원도 전 지역, 금산군과 태안군을 제외한 충청남도 전 지역, 전라남도 무안군, 보성군, 경상북도 예천군, 의성군, 칠곡군이다.[3] 롯데카드, 현대카드는 M형 아니면 MT형만 사용 가능.[실질적으로는] 진봉면 내에 버스정류장이 없으므로 승하차가 불가능하다[정읍시] 관내인 화호삼거리를 거쳐 간다.[4] 해당 노선 및 지선들의 종점은 전주시 관할 구역이지만 김제시 백구면을 거쳐 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