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덤프버전 :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오스카리 토코이카를로 유호 스톨베리쿨레르보 만네르요하네스 룬드손
제6대제7대제6대²제8대제9대
라우리 잉그만에르네스트 에반린나라우리 잉그만파보 비르쿠넨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제10대제11대제10대²제11대²제8대²
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파보 비르쿠넨
제10대³제11대³제8대³제10대⁴제8대⁴
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파보 비르쿠넨퀴외스티 칼리오파보 비르쿠넨
제10대⁵제8대⁵제12대제10대⁶제13대
퀴외스티 칼리오파보 비르쿠넨유호 수닐라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하킬라
제14대제15대제14대²제16대제14대³
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우르호 케코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제16대²제14대⁴제17대제14대⁵제18대
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카우노 클레몰라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라파엘 파시오
제19대제16대³제18대²제16대⁴제20대
요하네스 비롤라이넨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라파엘 파시오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베이코 헬레
제21대제19대²제22대제23대제24대
아티 페칼라요하네스 비롤라이넨에르키 피스티넨일카 수오미넨마티 아데
제25대제26대제23대²제27대제28대
칼레비 소르사에스코 아호일카 수오미넨리타 우오수카이넨파보 리포넨
제27대²제29대제27대³제30대제28대²
리타 우오수카이넨유카 미콜라리타 우오수카이넨안넬리 얘텐매키파보 리포넨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티모 칼리사울리 니니스퇴벤 지스코비츠에로 헤이내루오마유하 시필래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마리아 로헬라파울라 리시코안티 린네마티 반하넨아누 베빌래이넨
제39대²제41대제42대
마티 반하넨페테리 오르포유시 할라아호





핀란드 제2대 대통령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Lauri Kristian Relander
파일:Lauri_Kristian_Relander.jpg
출생1883년 5월 31일
러시아 제국 핀란드 대공국 쿠르키요키[1]
사망1942년 2월 9일 (향년 58세)
우시마 헬싱키
재임기간제2대 대통령
1925년 3월 2일 ~ 1931년 3월 2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시그네 렐란데르[1]
자녀2명
학력알렉산드르 제국대학 (철학 / 학사)
알렉산드르 제국대학 (농업경제학 / 박사)
종교개신교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최종 당적


[1] 혼전성은 외스테르만(Österman).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핀란드의 제2대 대통령.


2. 생애[편집]


대통령 당선 당시 42세로, 어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동세대 원로 정치인들인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헤임,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퀴외스티 칼리오 등에 비해 적어도 10살, 많게는 20살이 어렸다. 그만큼 미숙했고, 국정운영에 난맥이 잇따랐다. 재임 중 자생적 파시스트 집단인 라푸아 운동의 준동이 있었으며, 라푸아 운동의 압박을 못 이기고 그들의 지지를 받는 스빈후부드를 총리로 지명했다. 이후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스빈후부드가 대통령이 되면서 전간기 핀란드 민주주의 최악의 위기를 초래했다.

치적이 없다 보니 핀란드의 여러 능력자 대통령들 가운데 유독 무능해 보인다. 심지어 핀란드어 위키백과에서 보통 정치인의 업적을 소개하는 초록 부분에서 "재임 중 최초의 여성 각료인 미나 실란패가 배출되는 등..." 을 거론하고 있지만, 미나 실란패는 사회민주당 여성운동의 대모였고, 배이뇌 탄네르의 사민당 내각에서 장관보로 입각한 것이라 이것은 탄네르와 실란패, 그리고 사회민주당의 업적이지 렐란데르의 업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오죽 써줄 말이 없었으면...

렐란데르는 내치에서 죽을 쑨 만큼 그 스트레스를 해외순방에서 푼 것 같은데,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 많이도 다녔다. 잦은 해외순방 때문에 "여행하는 라섹시(Reissu-Lasseksi)"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까지 얻었다. 전임자 스톨베리가 내성적인 성격 탓에 해외순방은커녕 관저에서 두문불출하며 공무에만 힘썼던 것 때문에 대조되어 더욱 욕을 먹었다. 요새는 신생 독립국 핀란드가 이웃나라들과 관계를 돈독히 할 필요가 있었다고 변호해 주는 의견도 있지만 다수설은 아니며, 1920년대 당대에는 전혀 그런 쪽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대통령 임기 끝이 가까워오자 재선은 글러 보였고, 실제로 경선 결과 칼리오가 대선 후보로 선출되자 당권이라도 확보하겠다고 자당 후보인 칼리오를 흔드는 해당행위를 저질렀다. 그래서인지 어째서인지 3대 대선에서 스빈후부드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후 당권투쟁에서 칼리오에게 패배한 뒤 정치적으로 거세되어 상호화재보험사 이사로 여생을 보내다가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사망. 향년 58세로 환갑도 못 채우고 죽었다. 가장 젊은 나이에 대통령이 되어 가장 젊은 나이에 죽은 셈.

여러모로 미국의 워런 하딩과 비슷한 유형의 대통령. 당시 핀란드에 필요했던 것은 난세를 해쳐나갈 인재였으나 그는 너무 부족했다.
[1]러시아 카렐리야 공화국 쿠르키에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0:26:39에 나무위키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