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일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편집]
1년의 61번째(윤년의 경우 62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편집]
- 보통 해마다 거행되는 대한민국의 개학식과 입학식 및 개강은 3월 1일이 삼일절로 공휴일이기 때문에 대부분 이 날에 치러진다. 해마다 일어나는 사건이다.
이 날을 전국 대부분의 학생들이 싫어합니다.[1][2] - 1009년 3월 2일에 고려의 현종이 즉위하였다
- 1946년 - 호치민이 북베트남의 주석으로 뽑혔다.
- 1958년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이 개항했다.
- 1996년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설립되었다.
- 2013년 - 양띵 마인즈 사건: 잘 나가고 있던 한 BJ가 자신의 무개념 팬들에 의해 큰 이미지 손상을 입은 사건. 이로 인해 허위 루머들이 많이 생성되었고, 이게 퍼지게 되면서 한때 이 스트리머에게 국제망신이라는 과도한 비판도 나왔었다.[3]
- 2016년 - 슈퍼셀의 신작 게임 클래시 로얄이 전 세계 동시 출시되었다.
- 2018년 - 대표적인 양성애자 포르노 배우인 빌리 해링턴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2022년
3. 기념일 및 절기[편집]
4. 축일[편집]
5. 생일[편집]
5.1. 실존 인물[편집]
- 1459년 - 하드리아노 6세(~1523년): 218대 가톨릭 교황
- 1622년 - 유형원(~1673년): 조선의 실학자
- 1760년 - 카미유 데물랭(~1794년): 프랑스 혁명 시대의 언론인
- 1810년 - 레오 13세(~1903년): 256대 가톨릭 교황
- 1824년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1884년): 체코의 작곡가
- 1876년 - 비오 12세(~1958년): 260대 가톨릭 교황
- 1886년 - 비토리오 포초(~1968년): 이탈리아의 축구 감독
- 1931년 - 미하일 고르바초프(~2022년): 소련 최고지도자
- 1937년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알제리 대통령
- 1939년 - 시마즈 타카코
- 1942년 - 루 리드(~2013년)
- 1944년 - 이선영: 대한민국의 성우
- 1948년 - 로리 갤러거: 아일랜드의 기타리스트
- 1950년 - 캐런 카펜터(~1983년): 카펜터즈의 멤버
- 1951년 - 송지헌: 한국의 방송인, 前 아나운서
- 1953년
- 1959년 - 함영준: 대한민국의 기업인, 오뚜기 제2대 회장
- 1960년 - 데브라 마셜: 미국의 프로레슬러
- 1968년 - 다니엘 크레이그: 영국의 영화배우, 제 6대 제임스 본드
- 1970년 - 정정아: 대한민국의 가수
- 1971년
- 1972년 - 마우리시오 포체티노: 아르헨티나의 축구감독
- 1975년 - 이선균: 대한민국의 배우
- 1977년 - 크리스 마틴: 영국의 가수, 밴드 콜드플레이의 리더이자 리드보컬
- 1978년 - 이지형: 위퍼로 활동했던, 그리고 토이의 뜨거운 안녕으로도 유명한 인물, 별명 홍대 원빈.
- 1979년
- 1981년 - 손지화: 한국의 아나운서
- 1982년 - 이종범: 대한민국의 만화가
- 1983년
- 1984년
- 1985년 - 정찬민: 한국의 코미디언
- 1988년 - 이성은: 한국의 前 프로게이머
- 1989년 - 토비 알더베이럴트: 벨기에의 현 축구선수.
- 1990년
- 1993년
- 유정호
- Tommy Strate: 한국의 래퍼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카와시리 렌: 일본의 가수, 보이그룹 JO1의 멤버
- 1998년 - 쏘대장: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 1999년 - 권하림: 대한민국의 다이빙 선수
- 2000년 - 일란 멜리에: 프랑스의 축구 선수
- 2002년 - 신지윤: 한국의 가수, 걸그룹 Weeekly의 前 멤버
- 2003년 - 김다연: 한국의 가수, 걸그룹 Kep1er의 멤버
- 2009년 - 나카무라 스미레: 일본 여류 바둑 기사
- 2016년 - 오스카 칼 올로프
5.2. 가상 인물[편집]
- 고도 츠구미 - 도키메키 메모리얼 4
- 녹환 - 천지해
- 나가나미 미야코 - 단간론파26
- 니나 클라인 - 알드노아. 제로
- 마토 사쿠라 - Fate/stay night
- 모모스즈 네네 - 홀로라이브 소속 버츄얼 유튜버
- 무지나 - SSSS.DYNAZENON
- 맥시마 - KOF 시리즈
- 사나다 코지로 - 월화의 검사
- 사이버 가수 CYDA
- 상디, 빈스모크 이치디, 빈스모크 니디, 빈스모크 욘디[7] , 산후안 울프 - 원피스
- 아즈사와 코하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야마나카 코요미 - SSSS.DYNAZENON
- 우리엘 - 백야극광
- 우츠미 카오루 - 탐정 갈릴레오
- 존 워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치이 아루엘 - 소울워커
- 카레니나 -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 코이케 토모야 - Caligula -칼리굴라-
- 쿠 카로아 - 앙상블 걸즈!!
- 클레어 포트란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하세가와 아케미 - 피아캐롯에 어서오세요! 3
- 후지누마 사토루, 히나즈키 카요 - 나만이 없는 거리
- 닥터 M - 변신자동차 또봇
- UNDER NIGHT IN-BIRTH - 미카 리타나
6. 기일[편집]
6.1. 실존 인물[편집]
- 1515년 - 장경왕후음력(1491년~): 조선 11대 국왕 중종의 제 1계비
- 1589년 - 알레산드르 파르네세(1520년~): 이탈리아의 추기경
- 1835년 - 프란츠 2세(1768년~):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
- 1855년 - 니콜라이 1세(1796년~): 러시아의 차르
- 1982년 - 필립 K. 딕(1928년~): 미국의 SF 소설가
- 1996년 - 셀레스탱 델메르(1907년~): 프랑스의 축구 선수
- 2000년 - 리지찬(1915년~): 북한의 정치인.
- 2018년 - 빌리 헤링턴(1969~): 미국의 포르노 배우
6.2. 가상 인물[편집]

[1] 3월 1일이 토요일이면 3월 3일이 되기도 하고, 2, 3일이 토-일요일이면 3월 4일까지 밀려나기도 한다. 이는 2012년 주5일제 완전 시행 기준이며, 그 이전에는 토요일도 학교를 나왔기에 2일이 토요일일 때는 대부분 개학이다. 물론 이 경우 하루만 나가기 때문에 4일에 개학하기도 한다. 참고로 3월 2일이 금요일이면 그냥 2일까지 방학으로 하고 주말을 보낸 후 5일에 개학하는 학교도 있다. 주5일제 이전에는 당연히 2일 개학. 다만, 개학을 하루 미루기도 해서 3월 2일에 할 것을 3월 3일~3월 4일에 입학식을 한 학교도 있다. 2022년부터는 대체공휴일 제도로 인해서 3월 2일이 월요일이면 대체공휴일이 되어서 3일에 개학하게 되고 3월 2일이 일요일이어도 3월 3일이 대체공휴일로 3월 4일에 개학하게 된다.[2] 2020년은 예외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때문에 개학이 3월 9일로 미루어지고, 다시 3월 23일을 거쳐 4월 6일까지 미뤄지고 또 한번 4월 9일/16일/20일의 온라인 개학으로 미뤄짐으로써 이것이 깨지게 되었다. 신학기 개강이 3월 2일로 정해진 이래 58년 만이다(1962년부터 변경됐으며, 이전에는 4월 개학이었다).[3] 하지만 논란을 잘 털어낸 뒤 이후 몇년간 채널 최대의 호황기를 누린다.[4] 3월 1일에 단일화에 대한 공동선언을 하였다.[5] 3월 2일이 주말과 겹치게 되는 년도는 제외된다. 주말이기 때문에 학교를 올 수 없으므로 이 경우 3일이나 4일로 개학이 미뤄진다.[6] 개학 날짜가 3월 1일이 아니라 3월 2일인 이유는 당연하지만 3월 1일이 3·1절로, 공휴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7] 4명 모두 하루만에 태어난 형제이다. 네쌍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