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스튜어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영국 외무부장관 (1782~1968)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찰스 제임스 폭스토머스 로빈슨찰스 제임스 폭스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프랜시스 오스번윌리엄 그렌빌로버트 젠킨슨더들리 라이더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헨리 핍스찰스 제임스 폭스찰스 그레이조지 캐닝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헨리 배스러스트리처드 웰즐리로버트 스튜어트조지 캐닝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워드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아서 웰즐리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헨리 존 템플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그렌빌 레베슨고어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제임스 해리스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제임스 해리스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에드워드 스탠리조지 빌리어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그렌빌 레베슨고어에드워드 스탠리로버트 개스코인세실그렌빌 레베슨고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아치볼드 프림로드스태퍼드 노스코트로버트 개스코인세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아치볼드 프림로즈존 우드하우스로버트 개스코인세실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에드워드 그레이아서 밸푸어조지 커즌램지 맥도널드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오스틴 체임벌린아서 헨더슨루처스 아이작스존 시먼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새뮤얼 호어앤서니 이든에드워드 우드앤서니 이든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어니스트 베빈허버트 모리슨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셀윈 로이드알렉 더글러스흄랩 벌터패트릭 고든 워커
제65대제66대제67대
마이클 스튜어트조지 브라운마이클 스튜어트
영국 외무·영연방부 장관 (1968~2020)
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마이클 스튜어트알렉 더글러스흄제임스 캘러헌앤서니 크로스랜드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데이비드 오언피터 캐링턴프랜시스 핌제프리 하우
제75대제76대제77대제78대
존 메이저더글러스 허드맬컴 리프킨드로빈 쿡
제79대제80대제81대제82대
잭 스트로마거릿 베케트데이비드 밀리밴드윌리엄 헤이그
제83대제84대제85대제86대
필립 해먼드보리스 존슨제러미 헌트도미닉 랍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장관 (2020~현재)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도미닉 랍리즈 트러스제임스 클레벌리데이비드 캐머런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로버트 스튜어트(Robert Stewart, 1769년 ~ 1822년)는 영국외교관이다. 1812년부터 1822년까지 10년간 영국 외무장관을 지냈다. 빈 회의의 영국 측 대표로 유명하다.


2. 생애[편집]


아일랜드 왕국의 수도인 더블린에서 태어났다. 1812년부터 1822년까지 10년 동안 영국의 외무상을 지내면서 프랑스 제1제국에 맞서 대(對) 프랑스 동맹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후 세계를 재편성하는 빈 회의에 영국 측 대표로 참여해 빈 체제 출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외무장관 재임 중에 자살했다.


3. 기타[편집]


  • 잉글랜드아일랜드 지배 시기 동안 많은 잉글랜드인이 아일랜드로 이주했고, 그에 따라 태어나고 자란 곳은 아일랜드지만 혈통(앵글로색슨)과 종교(개신교) 등의 이유로 잉글랜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 생겨났는데, 이들을 앵글로아일랜드인(Anglo-Irish people)라고 한다. 로버트 스튜어트도 앵글로아일랜드인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0:07:29에 나무위키 로버트 스튜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