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하/V시리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야마하/전자악기 목록

파일:야마하 로고.svg
신디사이저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color:#fff; font-size: .9em" 플래그십 시리즈
파일:Ycs80.jpg파일:YcsLogo.jpg>
1975 – 1983

파일:Ydx7.jpg파일:YdxLogo.jpg
1983 – 1989

파일:Ysy99.jpg파일:YsyLogo.jpg
1989 – 1998

파일:Yex5.jpg파일:YexLogo.jpg
1998 – 2001

파일:Ymotifxs.jpg파일:YmotifLogo.jpg
2001 – 2016

파일:Ymontage8.jpg파일:YmontageLogo.jpg
2016 – 현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2em; width:15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color:#fff; font-size: .9em" 파생형 시리즈
파일:Yv50.jpg파일:YvLogo.jpg
1987 – 1989

파일:Yeosb200.jpg파일:YeosLogo.jpg
1988 – 2007

파일:YMoxfLogo.jpg파일:YmoLogo.jpg
2005 – 현재

파일:Ymodx.jpg파일:YMODXLogo.jpg
2018 – 현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2em; width:15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color:#fff; font-size: .9em" 그외 시리즈
파일:YVL1.jpg파일:YVLLogo.jpg
1993 – 2011

파일:Ys90es.jpg파일:YsLogo.jpg
1999 – 201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height:5em; width:14em"
파일:Yreface.jpg
2015 – 현재



1. 시리즈 목록
1.1. V2
1.1.1. TX81Z
1.2. V50
2. 사용 뮤지션


1. 시리즈 목록[편집]



1.1. V2[편집]


파일:야마하 V2.jpg
1987년 출시. 해외에서는 DX11이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오퍼레이터는 4개이지만 DX21과 달리 건반에 벨로시티가 있고 8개의 오실레이터 파형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YM2414 Waveforms.jpg
V2의 선택 가능한 파형

1.1.1. TX81Z[편집]


파일:야마하 TX81Z.jpg
1986년 출시. V2의 렉 버전이다.


1.2. V50[편집]


파일:야마하 V50.jpg
1989년 출시.
"야마하 최초의 워크스테이션 신디사이저"어? SY77 아니었어?[1]

DX100을 베이스로 만들어져서 그런지 FM 신디사이저다.[2]
  • 참고 : V50이 망한(?) 이유[3]

서태지서태지와 아이들 1집타이틀곡<난 알아요>를 만들 때 썼던 신디사이저가 V50이라고 한다. 동영상 댓글 참조.


2. 사용 뮤지션[편집]


※ ㄱ-ㅎ/A-Z 순서로 작성
파일:external/www.pinkytrick.com/akiyama12.jpg
  • 마라카스왕자 아키야마 카츠히코[4] - P-MODEL(해동 P-MODEL 시기 : 1991~93)[5] - V50
  • 코무로 테츠야(TM NETWORK) - 1988~89년 CAROL "A DAY IN A GIRL'S LIFE 1991" 라이브 투어에서 V50을 3대나 사용했다고 한다. 다만 라이브 영상에서는 안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0:44:32에 나무위키 야마하/V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해에 발매된 SY77이 최초이긴하다. 왜냐하면 이 모델의 인기와 판매량이 좋지 않은 점도 있고, 일본 내에서는 EOS 때문에 묻히기도 하기도 했고, 그리고 이 모델이 좀 홍보가 덜 되었다. 출시 당시 기준 포지션 상으로도 DX7S와 EOS B200의 중간에 있다보니 상당히 애매한 물건.[2] SY77은 FM주파수와 WM음원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이다.[3] 정리하자면 "DX100과 다를 바 없는 소리+내장된 리버브 이펙터가 FM 신디사이저의 특징을 깎아먹음"이라 할 수 있다.[4] 케이온!아키야마 미오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기도 하다.[5] 주인 잘못 만나서 발로 걷어 차인 적 있다(…).(3분 56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