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욱(야구선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강욱(축구선수) 문서
이강욱(축구선수)번 문단을
이강욱(축구선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강욱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LG 트윈스 등번호 57번
오상엽
(2017)
이강욱
(2018~2019)
김윤식
(2020~2022)
LG 트윈스 등번호 108번
함창건
(2020~2021)
이강욱
(2022)
임정균
(2023~)

파일:이강욱 프로필 LG.png
이강욱
Lee Kang-Wook
출생1995년 7월 15일 (28세)
경기도 안산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안산해양초 - 덕수중 - 충암고 - 연세대
신체186cm, 92kg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8년 2차 5라운드 (전체 47번, LG)
소속팀LG 트윈스 (2018~2022)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3. 은퇴 후
4. 연도별 주요 성적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LG 트윈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충암고등학교 시절 1,2학년 때는 주로 투수를 하다가 3학년에는 타자로 많은 경기를 출장했었다.[1]

이후 연세대학교로 진학하여 동기인 김동우와 함께 원투펀치를 이루어 활약했다.# 특히 2017년에 어마어마한 기량 향상이 돋보이며 프로팀 스카우터들에게 눈도장을 찍기도 했다.[2]

2017년 연고전에 구원등판하여 3이닝 무피안타로 틀어막으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3]


2.2. LG 트윈스[편집]


2018 신인드래프트에서 2차 5라운드 전체 47순위로 LG 트윈스에 입단했다.

이후 퓨처스에서만 두 시즌을 보냈고, 2019년 11월 12일 자로 군보류 선수로 공시되면서 사회복무요원으로 군복무를 수행했다. 소집해제된 2021년 8월 20일 이후 팀에 복귀했다.

그러나 1군에는 단 한 경기도 콜업되지 못한 채 2022년 10월 12일 방출되었다. 그리고 그대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은퇴 후[편집]


군 복무 이후 몸을 만들고 있던 쇼케이 스포츠 베이스볼 아카데미에 2022년 12월 말부터 코치로 활동 중이다.


4.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승률ERA피안타피홈런4사구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18LG1군 기록 없음
2019
2020군복무
2021
20221군 기록 없음
KBO 통산1군 기록 없음


5. 여담[편집]


파일:김동우이강욱.jpg
왼쪽이 이강욱, 오른쪽이 김동우.

  • LG 스카우터가 꼽은 LG 지명 선수 중에 가장 잘생긴 선수로 선정되었다.


  • 현재 해양초등학교 출신 인물 중 유일하게 나무위키 문서가 있다. 운동부도 없고 역사도 짧아 현재까지 이렇다 할 운동 선수나 연예인, 과학자를 배출해 내지 못한 해양초등학교의 유일한 유명인이라고 봐도 될 정도.

6. 관련 문서[편집]


[1] KBSA에 남아있는 기록으로 주포지션은 좌익수였으며, 3학년인 2013년 타자 기록으로는 15경기 출장하여 64타석 53타수 14안타(2루타 3) 9타점 11득점 11사사구 3삼진을 남겼다.[2] 2016년 3경기 출장하여 5이닝 3피안타 3탈삼진 1승 ERA 0.00, 2017년 12경기 출장하여 49이닝 31피안타(2피홈런) 24사사구 51탈삼진 14실점(10자책점) 2승 1패 ERA 1.84를 남겼다.[3] 이 해 연고전 야구경기는 4년 만에 연세대가 이겼으며, 나머지 종목도 기세를 몰아 연세대가 싹쓸이하면서 7년 만의 연고전 승리와 사상 최초 연고전 스윕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1:57:13에 나무위키 이강욱(야구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