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국장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이라크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파일:이라크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이라크
관련 문서
<^|1><height=34><color=#fff><bgcolor=#000,#1f2023>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역사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외교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국방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문화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6.1
인물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나디아 무라드
지리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 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민족이라크인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이라크 국장
شعار العراق
파일:이라크 국장.svg
국가
파일:이라크 국기.svg

채택일1965년

1. 개요
2. 역사
3. 특징과 상징



1. 개요[편집]


이라크국장(문장).


2. 역사[편집]


이라크 왕국 때부터 왕실을 상징하는 문장이 있었고, 이후 이라크 제1공화국시기에도 고대 메소포타미아 시대에 쓰인 문장에서 유래된 문장을 반쯤 국장에 준하는 문장으로 쓰기도 했으나 공식적이자 본격적으로 국장이 채택된 시기는 바트당 정권 시기인 1965년에 채택되었으며 이 때는 "살라딘의 수리"에 이라크 국기(적, 백, 흑 + 녹색 별 세 개)가 바탕인 방패가 그려져 있었다. 이후 1991년에도 수정이 된 버전이 있었으며 바트당 정권이 무너지고 새 정권이 나타난 후에도 초기에 잠시 쓰이다가 글씨체만 수정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유지된 버전이 쓰였으며 2008년 1월 별 세 개가 지워지고 문자(알라후 아크바르)만 쓰인 이라크 국기가 채택되면서 국장도 국기에 맞게 방패의 바탕이 수정되어 지금의 모습이 채택되었다.

이라크 과거 국장(바트당 집권 시대)
파일:이라크 옛 국장(1965~1991).png
1965년부터 1991년까지 쓰였던 국장
파일:이라크 옛 국장(1991~2004).png
1991년부터 2004년까지 쓰였던 국장
파일:이라크 옛 국장(2004~2008).png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쓰였던 국장


3. 특징과 상징[편집]


이라크 국기가 그려진 방패를 든 금색 살라딘의 수리가 아랍어로 정식 명칭인 "이라크 공화국"이라고 쓰여진 상록수색에 가까운 초록 두루마리를 들고 있다.

이집트의 국장과도 비슷한데, 그 이유는 당시 시리아와 이집트를 중심으로 정권을 잡은 아랍 연합 공화국과 통합을 모색하려 하다보니 국장 역시 범아랍주의(또는 아랍 민족주의)를 상징하거나, 아랍 민족주의, 아랍 사회주의의 대표적인 나라였던 아랍 연합 공화국과 비슷한 국장을 쓰게 되었다. 물론 현실은 통합이 이뤄지지 못했지만 그럼에도 이라크를 상징하는 국장으로 쓰여 지금도 쓰이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5:56:53에 나무위키 이라크/국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