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라키현 선거구

덤프버전 :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 중의원 의원 ]
이바라키 1구이바라키 2구이바라키 3구이바라키 4구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누카가 후쿠시로하나시 야스히로가지야마 히로시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이바라키 7구도치기 1구도치기 2구도치기 3구
구니미쓰 아야노나가오카 게이코후나다 하지메후쿠다 아키오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도치기 5구군마 1구군마 2구군마 3구
사토 쓰토무모테기 도시미쓰나카소네 야스타카이노 도시로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군마 5구사이타마 1구사이타마 2구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오부치 유코무라이 히데키신도 요시타카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사이타마 5구사이타마 6구사이타마 7구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에다노 유키오오시마 아쓰시나카노 히데유키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사이타마 10구사이타마 11구사이타마 12구사이타마 13구
오쓰카 다쿠야마구치 스스무고이즈미 류지모리타 도시카즈쓰치야 시나코
사이타마 14구사이타마 15구사이타마 16구
미쓰바야시 히로미다나카 료세이공석1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오미 아사코후지오카 다카오노나카 아쓰시이시이 게이이치마키하라 히데키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무라 기시로사와다 료다도코로 요시노리고미야마 야스코시오카와 데쓰야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이시카와 아키마사고시미즈 게이이치이가라시 기요시사카모토 유노스케나카네 가즈유키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
다카하시 히데아키스즈키 요시히로아오야마 야마토후쿠시게 다카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이바라키현 선거구>
茨城県選挙区
파일:saninsen_Ibaraki.svg
선거인 수2,421,838명 (2021)
구성 행정구역이바라키현
의원정수4인
국회의원



1. 개요[편집]


이바라키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242만 명이다. 정수는 4인이며, 3년 마다 2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하는데, 이는 1947년의 제1회 선거부터 한 번도 바뀌지 않은 것이다.

2000년대 이후 모든 선거에서 자민당 후보가 민주계 후보를 크게 앞서고 있으며, 2013년 23회 선거때는 트리플 스코어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자민당 지지성향이 강한 지역이나, 4인 선거구로 한번 선거에 두 명을 선출하기 때문에 항상 자민당 후보와 함께 민주계 후보가 2위로 같이 당선되고 있다.

2. 현재 국회의원[편집]


2025년 개선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고즈키 료스케(上月良祐)

[[입헌민주당(2020년)|
입헌
]]
오누마 다쿠미(小沼巧)
2028년 개선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가토 아키요시(加藤明良)

[[무소속(정치)|
무소속
]]
도고미 마키코(堂込麻紀子)


3. 역대 국회의원[편집]


연도(회차)의원명소속 정당
1986(14회)이와카미 지로
야타베 오사무
1989(15회)타네다 마코토
가노 아키오
1992(16회)노무라 이쓰오
야타베 오사무
1995(17회)가노 야스
고바야시 모토
1998(18회)군지 아키라
구노 고이치
2001(19회)가노 야스
고바야시 모토
2002(18보)[1]오카다 히로시
2004(20회)오카다 히로시
군지 아키라
2007(21회)후지타 유키히사
하세가와 다몬
2010(22회)오카다 히로시
군지 아키라
2013(23회)고즈키 료스케
후지타 유키히사
2016(24회)오카다 히로시
군지 아키라
2019(25회)고즈키 료스케
오누마 다쿠미
2022(26회)가토 아키요시
도고미 아키고


3.1.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선거구
2인 선출 선거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고즈키 료스케507,260표1위
47.9%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릿켄 포함 하얀색.svg오누마 다쿠미237,614표2위
22.4%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우치 구미코129,151표3위
12.2%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우미노 도루125,542표4위
11.9%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다나카 겐58,978표5위
5.6%낙선
총 투표 수1,248,026표투표율
45.02%
선거인 수2,431,531인

3.2.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편집]


이바라키현 선거구
2인 선출 선거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가토 아키요시[2]544,187표1위
49.9%당선
도고미 마키코[3]197,292표2위
18.1%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사사키 리카159,017표3위
14.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우치 구미코105,735표4위
9.7%낙선
파일:참정당 심볼.svg
기쿠치 마사야48,582표5위
4.5%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무라타 다이치16,966표6위
1.6%낙선
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니와 시게유키14,724표7위
1.3%낙선
나칸다카리 데쓰마사4,866표8위
0.4%낙선
총 투표 수1,137,768표투표율
47.21%
선거인 수2,409,694인



[1] 구노 고이치 의원이 2002년 10월 17일에 급성심부전으로 사망[2] 추천: [3]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