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소드걸스의 5번째 멤버에 대한 내용은 소드걸스/무소속 문서
소드걸스/무소속번 문단을
소드걸스/무소속#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일반적 의미
2. 정치권 용어
2.1. 대한민국에서의 무소속
2.1.1.1. 선거권자의 후보자 추천
2.1.1.2. 후보자 등록
2.1.1.3. 등록무효
2.1.1.4. 무소속후보자의 정당표방제한
2.1.1.5. 투표용지의 게재순위 등
2.1.2. 역대 선거에서의 무소속
2.1.2.1. 대통령 선거
2.1.2.2. 국회의원 선거
2.1.2.3. 지방선거
2.1.3. 무소속 정치인
2.1.3.2. 국회의원
2.1.3.4. 민선 광역자치단체장[1]
2.2. 외국에서의 무소속
3. 체육계
4. 종교계
5. 가요계



1. 일반적 의미[편집]


/ Independent, Not affiliated

문자 그대로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뜻이지만,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살아가는 이상 가져다 붙일 만한 것은 많다. 당장 자기자신만 해도 가족이라는 집단에 속하며, 가족뿐만 아니라 학교를 다니고 있다면 학교,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직장, 그리고 어느 한 나라에 소속되어 있다면 국가 등등 여러가지에 속한다. 설령 무국적자백수라도 지구라는 행성에 속해 있으며, 지구를 벗어난다 해도 우주 어딘가에는 소속되어 있다. 설령 탈우주급의 인간이라도 살아있는 사람이면 생존자, 죽은 사람이면 사망자에 소속되기 때문에 완전히 무소속인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어디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는 사람이라도 생각해 보면 무소속이라는 소속에 속하기 때문에 그럴 수가 없다는 주장은 러셀의 역설과 다름없다. 또한 이런 방법의 접근은 범주를 구분하는 인식적 행위에 의해 덧씌워지는 것이므로, 인간 의식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적 속성이라고 볼수는 없다. 즉 애초부터 소속/무소속의 구분이 주관적인 셈이다.

비슷한 의미의 단어로 무적(無籍)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 쪽은 국적이나 호적, 학적 등이 기록되어 있지 않거나 없다는 뜻으로, 무소속과는 뉘앙스가 조금 다르다. 주로 스포츠에서 소속팀이 없는 선수들을 일컬을 때 쓰인다.

무소속이라는 단어는 아래의 정치권 용어로 대부분 쓰이기 때문에, 다른 분야에서는 무소속이라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그냥 '없음' 혹은 '프리랜서', '개인' 등으로 적어두거나, 공란으로 비워둔다.


2. 정치권 용어[편집]


무소속
무소속을 뜻하는 회색 (#808080)

선거에서 말하는 무소속이란, 그 어느 정당에도 가입하지 않은 정치인[2][3]을 가리킨다. 쉽게 말하자면 정치판 프리랜서. 당연하지만, 정당이 하나도 없거나 금지된 국가의 정치인들은 모두 무소속이다. 물론 사적인 라인이나 파벌은 있다.

공직선거법에 의하면, 정당의 공천장으로 등록하는 정당추천후보자와는 달리 무소속 후보자는 선관위로부터 추천장을 교부받아 선거구민으로부터 일정 수 이상의 추천을 받아야 등록할 수 있다. 정당의 당원은 후보자 등록 전날까지 소속정당을 탈당하여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후보등록이 무효 처리된다.

무소속 정치인도 그 입지가 천차만별이다. 국가의전서열 2위인 국회의장부터, 군소후보로 분류되는 후보까지... 이러한 무소속 정치인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국회의장은 원내 다수당 의원 중에서 선출하는 것이 관행이나, 현행법상 국회의장은 공정성, 중립성을 위하여 당적을 가질 수 없으므로 취임 다음 날 탈당하여 무소속이 된다. 이 규정이 적용된 첫 번째 국회의장은 제16대 국회의 전반기 국회의장이었던 이만섭 의장이다[4][5]. 물론 이 때는 법에 그렇게 되어 있으니 형식상 탈당할 뿐이고, 임기가 종료되면 원래 소속되었던 정당으로 복귀하는 게 일반적. 부의장의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아 당적을 가질 수 있다. 탈당시 의원직을 잃는 비례대표 국회의원도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탈당해야 하는 경우에는 의원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이만섭 의원이 이런 경우이다.[6]

국회의장이 각 교섭단체 대표의원과의 협의를 거친 후 본회의 가결로 임명하는 공무원으로 당직을 가질 수 없어 취임 날부터 탈당하여 무소속이 된다.

어떤 특정 당에 속해 있다가 모종의 사유로 탈당한 무소속 의원들도 많다[7]. 인지도가 높은 데도, 당 내부의 경선에서 밀려서 공천받지 못했을 때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도전하는데, 이때 무소속 출마자는 당선되면 자신을 내친 그 당으로 바로 복귀할 것을 선언하고, 당은 당의 결정에 반기를 들었으니 설사 당선돼도 받아주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다만, 보통 세 대결이라거나 모종의 이유로 당선자가 다시 필요해질 때쯤 복당을 받아주는 흐름으로 나갈 때가 많다. 낙선하면 정치 생명은 끝이지만, 당선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 바로 복귀하여 활발히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 20대 총선새누리당 탈당 후 무소속 당선자 7명은 당에 일괄 복귀[8]했고, 더불어민주당 탈당 후 무소속 당선자 2명인 이해찬홍의락 모두 복당하였다. 조금 다른 경우로 원래 있던 정당에서 공천을 받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탈당하여 무소속 출마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원소속 정당에 대해 지역 내 여론이 좋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데[9], 아무래도 유권자들이 지역 여론에 반하는 정당에 표를 던지기에는 부담스러워하는 심리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무소속은 그런 점에서는 어느 정도는 자유롭고, 거기에 양당 혐오자 일부의 표도 흡수가 가능하니 당선 가능성만 따지면 경우에 따라서는 합리적일 수 있다[10]. 이런 케이스는 애초에 원소속 정당과 척 지고 떠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당선 후 복당하는 데에도 큰 지장은 없다. 오히려 당선 가능성 때문에 (행보는 원소속 정당과 같이 하더라도) 당적 자체는 무소속으로 계속 남아있는 경우도 있는 편.

교육감 피선거권 조항 자체에 1년 이상 당적을 가져선 안 된다는 내용이 있다. 이는 교육의원[11]도 마찬가지. 또한 이런 특성 때문인지 선거 기호가 없으며[12], 투표용지에 적히는 이름 순서도 선거구에 따라 각자 다르다.

행정시와 일반구는 기초자치단체가 아닌 특별자치도청/도 자치시청의 하위기관에 불과하며[13] 행정시장과 일반구청장은 특별자치도지사/시장이 임명하는 일반직/정무직 공무원이므로 당적을 가질 수 없다.

  • 기타
정치 신인 등 정당 공천을 받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정당을 만들 능력도 없는 사람들이다. 이렇게만 보면 정당에도 못 들어간 무명 정치인들이 혼자 활동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무소속이라 함은 어느 정도 입지를 갖추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나갈 만한 능력이 되니까 나오는 것. 사실 지역구 국회의원에 무소속으로 당선될 정도라면, 역으로 정당 타이틀이 없어도 의석을 따올 정도로 지지 기반이나 인지도가 굳건하다는 뜻이므로[14] 어느 정당이나 탐내지 않을 수가 없다. 이들은 앞에 있는 번호만 뽑지 말라는 말과 당보다 인물이 중요하다는, 소위 "인물론"을 자주 얘기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경우 결과는 처참하기 그지 없다.[15] 정당에 소속하여 출마한 다른 후보에 비해 지명도도 적을 뿐더러 당의 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당적을 가졌다 탈당한 경우를 빼면 "그런 사람도 있었어?"라고 할 정도로 낮은 지명도를 가진 경우도 많다. 그러나 무소속으로 성공한 사람이 없는 것도 아니고[16], 그래서인지 각 정당은 의외로 무소속 출신 인물을 포섭하는 데에 애를 쓰고 있다. 타 정당에서 포섭해 오는 것도 가능하긴 하지만, 그런 철새 같은 인물에 대한 시선이 좋을 리도 없고, 신뢰도도 약간 떨어진다. 또한 타 정당에서 영입한 인물의 경우 정당의 이념과 다소 간 맞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일부 유권자들이 "왜 저런 사람을 데려왔느냐" 면서 비토하는 경향이 생기기도 한다.

그 유명한 2008년 재보궐선거고성군수 1표차 당선자와 낙선자도 모두 무소속이었고,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무소속으로 7선에 성공한 지방의회의원들이 주목받기도 한다. 기사.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무소속 정치인들이 다 이럴 수 있는 건 아니다. 똑같이 방송 출연하는 연예인이라고 해도 누구는 아침마당이나 6시 내고향 같은 프로그램이나 출연하는 무명 혹은 한물간 리포터이고, 누구는 주말 예능 프로그램 출연하는 네임드 연예인이듯이 대부분의 무소속 정치인들은 잘 알려지지 않고 잊혀지는 게 보통이다. 이 때문에 실제 정치적 이념은 다소 달라도 유명 정당의 인지도를 이용해서 일단 정계에 진출해 나중을 도모하는 진출자들도 있는데, 상기한 대로 유명 정당에 입당할 수 있을 정도면 인지도는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니 이래저래 복잡미묘하다. 2016년 미국 대선 주자인 버니 샌더스는 무소속임에도 힐러리 클린턴, 젭 부시, 도널드 트럼프, 벤 카슨과 같은 유력 주자들에 뒤지지 않는 지지율을 얻었다. 정치 세력이 공화당민주당으로 양분되어 있고, 무소속 후보는 (로스 페로의 예처럼) 이 두 개 당 중 한 쪽으로부터 표를 빼앗아서 다른 쪽 당을 유리하게 하는 들러리 수준으로 취급되던 것에 비하면 확실히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끝내 힐러리 클린턴과 통합한 이후 클린턴을 싫어하면서 샌더스를 지지하던 다수의 젊은 층을 잃었고, 결국 트럼프가 최종적으로 당선자가 되었다.

선거방송 등에서 무소속 후보의 정당 표시 부분은 대개 흰 배경에 검은색 글자로 "무소속"이라고 쓰는데, 일부 정치 무관심/저관심층들의 경우 이것을 잘못 알아서 "정말 무소속이란 정당이 존재하나 보다."라고 착각하는 사례도 있다. 실제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무소속전국연합이라는 이름의 정당 등록을 신청했으나, 단순 무소속 후보들과 혼동될 우려가 있음을 이유로 거절 당한 적이 있다. 이후 이름을 약간 바꾸어 무당파국민연합이라는 이름으로 총선에 참가하였으나 결국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며 이후 당시의 정당법[17]에 따라 해산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 외에 무정파전국연합이라는 정당도 있었는데, 무정파전국연합은 신민당자유민주연합과 흡수될 때, 이에 반대한 임춘원 의원이 독자적으로 재창당한 신민당에서 이름을 바꾼 것으로 무당파국민연합과 달리 아예 총선에 불참하였다. 일본에는 '지지정당없음(支持政党なし)'이라는 이름의 장난 정당도 있는데 2016년 참의원 선거에서 64만 표를 득표했고 이후로도 10만 표 정도가 꾸준히 나와 일본의 정치적 무관심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2.1. 대한민국에서의 무소속[편집]



2.1.1. 공직선거법 규정[편집]



2.1.1.1. 선거권자의 후보자 추천[편집]

관할선거구 안에 주민등록이 된 선거권자는 각 선거(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 및 비례대표지방의회의원선거 제외)별로 정당의 당원이 아닌 자를 당해 선거구의 후보자("무소속 후보자")로 추천할 수 있다(공직선거법 제48조 제1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이는 정당추천후보자의 공천에 대응한다.

무소속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관할선거구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전 5일(대통령의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에서는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 30일, 대통령의 궐위로 인한 선거 등에서는 그 사유가 확정된 후 3일)부터 검인하여 교부하는 추천장을 사용하여 다음 각호에 의하여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공직선거법 제48조 제2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 대통령선거 : 3,500인~6,000인(광역자치단체별로 700인 이상)
  • 지역구국회의원선거 및 자치구·시·군의 장 선거 : 300인~500인
  • 지역구시·도의원선거 : 100인 이상 200인 이하
  • 시·도지사선거, 교육감선거 : 1,000인~2,000인(기초자치단체별로 50인 이상)
  • 지역구자치구·시·군의원선거 : 50인~100인(다만, 인구 1천인 미만의 선거구는 30인~50인)
이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공직선거법 제48조 제3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 검인되지 아니한 추천장에 의하여 추천을 받는 행위
  • 추천선거권자수의 상한수를 넘어 추천을 받는 행위
  • 추천선거권자의 서명이나 인영을 위조·변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허위의 추천을 받는 행위
이를 위반하여, 검인되지 아니한 추천장에 의하여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거나 받게 한 사람, 선거운동을 위하여 추천선거권자수의 상한수를 넘어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거나 받게 한 사람, 허위의 추천을 받거나 받게 한 사람은 처벌을 받는다(공직선거법 제256조 제5항 제1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추천장 검인·교부신청은 공휴일에도 불구하고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할 수 있다(공직선거법 제48조 제2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선거권자의 추천장의 서식·교부신청 및 교부 기타 필요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규칙으로 정한다(공직선거법 제48조 제5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2.1.1.2. 후보자 등록[편집]

무소속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위와 같이 선거권자가 기명하고 날인(무인을 허용하지 아니한다)하거나 서명한 추천장(단기單記 또는 연기連記로 하며 간인間印을 요하지 아니한다)을 등록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한다(공직선거법 제49조 제1항,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이는 정당추천후보자의 경우에 추천정당의 추천서를 첨부하여야 하는 것에 대응한다.

정당의 당원인 자는 무소속후보자로 등록할 수 없으며, 후보자등록기간중(후보자등록신청시 포함) 당적을 이탈·변경하거나 2 이상의 당적을 가지고 있는 때에는 당해 선거에 후보자로 등록될 수 없다(공직선거법 제49조 제6항 전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소속정당의 해산이나 그 등록의 취소 또는 중앙당의 시·도당창당승인취소로 인하여 당원자격이 상실된 경우에도 또한 같다(공직선거법 제49조 제6항 후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2.1.1.3. 등록무효[편집]

무소속후보 특유의 등록무효 사유로서, 후보자등록 후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는 때에는 그 후보자의 등록은 무효로 한다(공직선거법 제52조 제1항 제4호, 제7호,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18].
  • 무소속 후보자로 등록할 수 없는 자가 무소속으로 등록된 것이 발견된 때
  • 무소속 후보자가 정당의 당원이 된 때


2.1.1.4. 무소속후보자의 정당표방제한[편집]

무소속후보자는 특정 정당으로부터의 지지 또는 추천받음을 표방할 수 없다(공직선거법 제84조 본문).[19]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같은 조 단서).
  • 정당의 당원경력을 표시하는 행위
  • 해당 선거구에 후보자를 추천하지 아니한 정당이 무소속후보자를 지지하거나 지원하는 경우 그 사실을 표방하는 행위


2.1.1.5. 투표용지의 게재순위 등[편집]

투표용지에는 무소속 후보자는 후보자의 정당추천후보자의 소속정당명의 란에 "무소속"으로 표시하여야 한다(공직선거법 제150조 제1항 단서 전단).[20]

후보자의 게재순위를 정함에 있어서는 후보자등록 마감일 현재 국회에서 의석을 갖고 있는 정당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 국회에서 의석을 갖고 있지 아니한 정당의 추천을 받은 후보자, 무소속 후보자의 순으로 한다(같은 조 제3항 전단)[21].

이에 따라 무소속 후보자의 게재순위를 정함에는 관할 선거구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추첨하여 결정하는 순에 따른다(같은 조 제5항 제3호).


2.1.2. 역대 선거에서의 무소속[편집]


파일:대한민국 정당별 득표율.png

파일:대한민국국회정당별의석20180716.png

파일:대한민국지방선거정당별당선직20180716.png


2.1.2.1. 대통령 선거[편집]

후보자
기호
연도
대수
득표수
득표율
결과
안재홍
-
1948년
1대[22]
2
1.02%
3위
조봉암
1
1952년
2대
764,715
11.35%
2위
이시영
4
219,696
10.89%
3위
신흥우
4
219,696
3.12%
4위
조봉암
1
1956년
3대
2,163,808
30.01%
2위
최규하
1
1979년
10대[A]
2,465
96.29%
당선
전두환
1
1980년
11대[A]
2,524
99.37%
당선
백기완
8
1987년
13대
-
-
사퇴
김옥선
7
1992년
14대
86,292
0.36%
6위
백기완
8
238,648
1.00%
5위
장세동
7
2002년
16대
-
-
사퇴
이회창
12
2007년
17대
3,559,963
15.07%
3위
박종선
4
2012년
18대
12,854
0.04%
6위
김소연
5
16,687
0.05%
5위
강지원
6
53,303
0.17%
3위
김순자
7
46,017
0.15%
4위
김민찬
15
2017년
19대
33,990
0.1%
7위


2.1.2.2. 국회의원 선거[편집]

연도
국회
총 의석
1948년
제헌
85 / 200
1950년
제2대
126 / 210
1954년
제3대
67 / 210
1958년
제4대
26 / 233
1960년
제5대 참의원
20 / 58
제5대 민의원
49 / 233
1973년
제9대
19 / 219[23]
1978년
제10대
22 / 231[24]
1981년
제11대
11 / 276
1985년
제12대
4 / 276
1988년
제13대
9 / 299
1992년
제14대
21 / 299
1996년
제15대
16 / 299
2000년
제16대
5 / 273
2004년
제17대
2 / 299
2008년
제18대
25 / 299
2012년
제19대
3 / 300
2016년
제20대
11 / 300
2020년
제21대
5 / 300

참고로,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무소속의 출마가 금지되고 정당공천제가 의무였다.


2.1.2.3. 지방선거[편집]

연도
횟수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의회의원
기초자치단체의회의원
1952년
1952년
-[25]
85 / 306
7469 / 17544
1956년
1956년
-[26]
267 / 580
83 / 437
4852 / 16954
1960년
1960년
1 / 10
1110 / 1467
216 / 486
13688 / 16851
1991년
1991년
-[27]
115 / 866
-[28]
1995년
1회
2 / 15
53 / 230
152 / 875
1998년
2회
0 / 16
44 / 232
39 / 616
2002년
3회
0 / 16
30 / 232
26 / 682
2006년
4회
1 / 16
29 / 230
14 / 733
228 / 2888
2010년
5회
2 / 16
36 / 228
36 / 761
305 / 2888
2014년
6회
0 / 17
29 / 226
20 / 789
277 / 2898
2018년
7회
1 / 17
17 / 226
16 / 824
171 / 2927
2022년
8회
0 / 17
17 / 226
5 / 872
144 / 2988


2.1.3. 무소속 정치인[편집]



2.1.3.1. 대통령[편집]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

임기
선출 방법
취임일
퇴임일
4
파일:최규하대통령초상화.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최규하
(1919 ~ 2006)

10
1979년 12월 6일[29]
1980년 8월 16일
1979년 대선
간선 96.3%
5
파일:전두환대통령초상화.pn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전두환
(1931 ~ 2021)

11
1980년 8월 27일[30]
1981년 2월 25일
1980년 대선
간선 99.4%
  • 직선제 적용 상황에서 무소속 신분으로 대통령으로 당선된 사람은 없다.
  • 임기 중 소속 정당을 탈당해서 무소속 상태로 재임했던 대통령은 총 5명이다.
    • 윤보선 (1960. 8. 13 ~ 1962. 3. 24)[31]
    • 노태우 (1992. 10. 5 ~ 1993. 2. 24[B])
    • 김영삼 (1997. 11. 7 ~ 1998. 2. 24[B])
    • 김대중 (2002. 5. 6 ~ 2003. 2. 24[B])
    • 노무현 (2003. 9. 29 ~ 2004. 3. 12[32], 2007. 2. 28 ~ 2008. 2. 24[B])

2.1.3.2. 국회의원[편집]







무소속 제17대 총선 당선인
[ 펼치기 · 접기 ]



무소속 제19대 총선 당선인
[ 펼치기 · 접기 ]







2.1.3.3. 제21대 국회[편집]



  • 2023년 6월 19일 기준 (11명).
이름
지역구
탈당/제명 사유
탈당/제명 전
소속 정당

김남국
경기 안산시 단원구 을
가상화폐 보유 논란으로 인한 탈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진표
경기 수원시 무
국회의장 선출에 따른 당적 상실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홍걸
비례대표[33]
재산 신고 누락 의혹으로 인한 제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완주
충남 천안시 을
보좌진의 성추행 관련 사건사고 및 논란으로 인한 제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양정숙
비례대표[34]
후보자 개인에 대한 논란으로 인한 제명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양향자
광주 서구 을
보좌진의 성추행 관련 사건사고 및 논란으로 인한 탈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관석
인천 남동구 을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으로 인한 탈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미향
비례대표[35]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으로 인한 제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성만
인천 부평구 갑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으로 인한 탈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하영제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정치자금법 및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인한 탈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황보승희
부산 중구·영도구
탈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무소속 국회의원은 인천광역시 동구·미추홀구 을의 윤상현 의원, 강원도 강릉시권성동 의원, 전라북도 남원시·임실군·순창군이용호 의원,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홍준표 의원, 경상남도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김태호 의원 등 5명이 당선되었다. 이들은 2021년 12월 현재 모두 총선 당시 미래통합당의 후신인 국민의힘에 입당(이용호) 및 복당(나머지)한 상태다.

2020년 4월 29일, 양정숙 당선인이 더불어시민당에서 출당되어 무소속이 되었다.

2020년 5월 12일, 용혜인, 조정훈 당선인이 더불어시민당에서 출당되었다. 이들은 다음 날 각각 기본소득당시대전환으로 복당했다.

2020년 6월 5일, 박병석 의원이 국회의장에 선출되면서 민주당에서 자동 탈당이 되어 무소속이 되었다.

2020년 9월 17일, 권성동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0년 9월 18일, 김홍걸 의원의 재산 신고 누락 의혹으로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제명 결정을 내렸다. # 9월 24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제명이 최종 확정되었다. 이로써 무소속이 되었다. #

2020년 9월 23일, 박덕흠 의원이 피감기관 공사수주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

2020년 9월 24일, 이상직 의원이 이스타항공 대량해고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

2020년 12월 22일, 전봉민 의원이 편법 증여 논란, 청탁금지법 위반 및 관련 사건사고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

2021년 1월 7일, 김태호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지만 같은 날 김병욱 의원이 비서 성폭행 의혹 관련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1년 4월 14일, 송언석 의원이 국민의힘에서 당직자 폭행 관련 사건사고 및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1년 5월 21일, 김병욱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1년 6월 8일 부동산 관련 의혹이 제기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12명 중 당 지도부의 탈당 권유 결정을 수용한 윤재갑, 임종성, 김주영, 서영석, 문진석 등 5인[36]이 차례로 탈당계를 제출하였다. 중앙당에서는 탈당을 거부한 나머지 의원 7인을 설득하여 이들 12인의 탈당 및 출당을 일괄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탈당계를 제출했던 국회의원 5인은 당분간 당적을 유지하게 되었다. 6월 22일 비례대표 국회의원인 양이원영, 윤미향 의원이 제명되었다.

2021년 6월 24일, 홍준표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1년 8월 5일, 윤상현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1년 8월 27일, 송언석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1년 9월 26일, 곽상도 의원이 아들의 화천대유 취직 및 퇴직금 세후 50억 수령 논란으로 인한 사건사고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1년 10월 8일, 양이원영 의원은 농지법 관련 의혹이 무혐의 처분을 받아 더불어민주당 당적을 회복해 복당했다.

2021년 11월 11일, 곽상도 의원의 사직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었다.

2021년 12월 2일, 전봉민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다만 언론에는 5일 뒤인 12월 7일에 보도되었다.

2021년 12월 7일, 이용호 의원이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이로써 21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의원들은 모두 국민의힘 당적을 보유하게 되었다.

2021년 12월 30일, 박덕흠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했다.

2022년 3월 10일, 임병헌 후보가 2022년 3월 재보궐선거에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2022년 4월 20일, 민형배 의원이 검수완박 법안 조기 의결을 위해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2년 5월 12일, 이상직 의원이 대법원 판결에 따라 의원직을 상실하였다.

2022년 5월 12일, 박완주 의원이 보좌관의 성추행 논란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제명 결정이 내려졌고, 5월 16일 의원총회에서 제명이 확정되었다.

또한 이들 가운데 양정숙, 김홍걸 의원은 모두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어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고, 윤미향, 양향자 의원 역시 해당 의혹에 대한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라 박병석 국회의장, 임병헌 의원을 제외한 모두가 수사 및 재판 결과에 따라 의원직을 상실할 수도 있는 상태이다.

만일 지역구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하면 재보궐선거를 시행하게 되고, 비례대표로 당선된 양정숙, 김홍걸, 윤미향 의원 등이 의원직을 상실하면 당시 더불어시민당으로 출마했던 낙선자들 중 가장 높은 순번(19번)이었던 정종숙 후보자부터 차례대로 의원직을 승계받게 된다[37]. 단, 지역구 의원이 임기를 1년 이내로 남긴 상태에서 의원직을 상실한다면 재보궐선거를 실시하지 않는다.

2022년 5월 30일, 박병석 국회의장이 퇴임 후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22년 6월 13일, 임병헌 의원이 국민의힘에 복당하였다.

2022년 7월 4일, 김진표 의원이 국회의장에 선출되면서 민주당에서 자동 탈당이 되어 무소속이 되었다.

2023년 4월 26일, 민형배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23년 5월 3일, 윤관석, 이성만 의원이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3년 5월 14일, 김남국 의원이 가상화폐 보유 논란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023년 5월 24일, 하영제 의원이 정치자금법 및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이후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2.1.3.4. 민선 광역자치단체장[38][편집]

대수
이름
임기
비고
35대
박원순 (朴元淳)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
[a]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1대
문희갑 (文熹甲)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39]

대수
이름
임기
비고
34대
김두관 (金斗官)
2010년 7월 1일 ~ 2012년 7월 6일
[a]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1대
강성익 (康性益)
1960년 12월 31일 ~1961년 5월 24일

31대
신구범 (愼久範)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40]
35대
김태환 (金泰煥)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36대
우근민 (禹瑾敏)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41]
38대
원희룡 (元喜龍)
2018년 7월 1일 ~ 2021년 8월 11일
[42]

2.2. 외국에서의 무소속[편집]


몇몇 국가에서는 고위공직자가 당적을 보유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당선시 탈당하기도 한다.

2.2.1. 우크라이나[편집]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법적으로 당적을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당선 시 탈당해야 한다. 그래서 공식적으로는 '여당'이라는 개념이 없지만 탈당을 했다고 해서 그 정당이랑 관계가 끊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사실상의 여당으로서 함께한다.
대수
이름
임기
대통령 당선 이전 정당
비고
6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Володимир Зеленський)
2019년 5월 20일 ~ 현직
인민의 종


2.2.2. 러시아[편집]


우크라이나와 다르게 헌법상 대통령의 당적 보유를 금지하고 있는 건 아니지만 관례상 대통령이 되면 탈당한다. 무소속이었다가 통합 러시아에 입당한 제3대 대통령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를 빼면 초대부터 현재까지 무소속이거나 당원이었다가 대통령이 된 직후 탈당하여 무소속이 되었다.

3. 체육계[편집]


스포츠 분야에서는 보통 "자유계약선수(Free Agent)"라고 한다. 보통 특정 구단과의 계약이 만료되거나 강제로 계약이 해지되는 경우 발생하며, 이전 소속팀의 간섭 없이 다른 구단으로 자유롭게 이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방출에 의한 경우 무적(無籍)이란 용어를 쓰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대표팀 경기를 뛰면 중계 자막에 소속팀 대신 무소속(free agent)라고 뜬다.[43]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의 단체 스포츠에서는 개인만으로 경기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은퇴하지 않는 이상 당연히 새로운 구단에 입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무소속으로 장기간 있을 경우 선수의 몸 상태나 경기 감각 등에 이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라도 가급적이면 빠른 시일 내에 새로운 구단에 들어가게 된다.

스타크래프트의 경우에는 무소속으로 활동했던 프로게이머가 꽤 있었고 이들이 개인리그에 출전하는 데 제약이 없었지만, 프로리그 체제가 정립된 이후인 2008년 한국e스포츠협회가 협회 소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의 무소속을 인정하지 않고 반드시 게임단에 들어가야 하도록 종목 규약을 개정, 소속이 없는 선수는 프로게이머 자격이 박탈되어 개인리그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2011~2012년 경 몇몇 게임단이 해체되어 졸지에 무소속이 된 선수들이 생겼다.[44][45] 진에어 스타리그 2011의 프로-암 예선인 마이 스타리그가 개최되면서 주최측이 허용한 무소속 선수가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이 소폭 개정되었으나, 여기에 해당하는 사례는 진에어 스타리그 2011의 시드를 받은 구성훈tving 스타리그 2012 스타리그 듀얼에 출전한 것이 유일하다. 이는 무소속 금지 규정이 생긴 이후 무소속 선수가 방송 경기에 나온 유일한 사례이다.

스타크래프트 2 리그의 경우에는 오픈 대회로 펼쳐지기 때문에 특정 조건만 갖춰진다면 무소속으로 출전 가능하다. 프로게이머 변현우는 무소속으로 결승 무대를 밟은 엄청난 일을 해내기도 했다. 그리고 끝내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2016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폐지되면서 진에어 그린윙스[46]를 제외한 모든 팀들이 해체된 관계로 많은 스타크래프트 2 선수들이 2017년부터는 무소속으로 대회를 참여하게 되었다.


4. 종교계[편집]


개신교계에서도 비슷한 개념이 있다. 어느 교단과도 인준하지 않은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기독교대학신학대학원협의회'라는 교단이 아닌 신학대학원 협의체에서 목사 안수를 받으면 무소속 목사가 될 수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 개신교계에서 교단이 없으면 여러 제약이 많기 때문에 원하는 교단에 편목고시를 쳐서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5. 가요계[편집]


가요계에서는 특정한 연예 기획사에 소속되지 않은 뮤지션을 인디 뮤지션이라고 칭하며, 이들이 만든 음악을 인디 음악이라고 한다.[47]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31:40에 나무위키 무소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선 당시 무소속이었던 경우만 서술하도록 한다.[2] 국회의장, 장관, 국회의원 등등.[3] 교육감의 경우 정당공천이 아니므로 당적이 없기에 모든 후보가 정당 기준에서는 무소속이다.[4] 14대 전반기 박준규 의장도 잠시 무당적이었으나, 이는 정치적 중립을 지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YS의 외압으로 탈당한 케이스였다.[5] 정확히 말하자면, 국회의장으로 선출되고 나서도 한동안은 새천년민주당 소속이었다. 2002년 3월에 국회의장의 당적 보유를 금지하는 국회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한 것이다. 이만섭 첫 당적없는 국회의장…'의장 당적금지' 각의 통과, 이의장 내일 민주 탈당, [정가귓속말] 이만섭의장 민주당 공식탈당… 당적보유 금지 개정 국회법따라[6] 현재는 비례대표가 국회의장이 되는건 거의 불가하다 봐야한다. 국회의원제도가 실시된지 꽤 오래지나 이제는 초선 국회의원 특히 그 초선이 비례대표였다면 어디가서 명함도 못 내밀 정도가 되어버렸을 만큼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즉 지역구 당선도 안된 사람이 의장을 한다는것을 의원들이 못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물론 정운천 의원이 20대 총선에서 초선으로 지역구 의원에 당선된 후 21대 총선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배정되어 재선한 사례가 있긴 하지만 21대 비례대표들 중 기존에 의원을 했던 사람이 정운천 본인뿐이며 정운천이 전북에서 유일하게 영향력이 있는 보수 정치인으로서 20대 총선에서 당선된 지역구가 새누리당에게는 사지인 전북이라는 특성상 정운천 없이는 미래통합당의 호남 정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지 당선 경력에 대한 일종의 보상이자 보수당의 전북 정치인 배려를 위해서 비례대표가 된 특수한 케이스이므로 일반적인 비례 초선과 단순 비교는 곤란하다. 전남의 이정현이 이때 왜 없냐면 이정현은 최순실 사태 때 새누리당 대표로서 책임을 지고 탈당해 있던 상황이라 당에서 부르고 싶어도 부를 수 없기 때문이었다.[7] 다만 지역구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의원 선거에서 후보자를 내지 않은 정당은 무소속 후보자가 그 정당에서 지지받고 있음을 표명할 수 있다.[8] 새누리당이 원내 1당이 되고, 유승민을 통해 친박을 견제하기 위한 비박계의 전격적인 제스처. 예외로 이 때 복귀했던 의원 중 한 명인 윤상현은 당시 친박이었다.[9] 소위 험지라고 불리우는 지역들. 예를 들어 대경권에서 민주당계 정당 당적으로 나가는 것이나 호남권에서 보수정당 소속으로 선거에 나가는 것을 들 수 있다. 진보정당 역시 같은 후보라도 당적 없이 출마할 때에 득표율이 더 나오는 경우가 있다.[10] 대신 이렇게 당선되는 경우 아무래도 후보자 입장에서 (당을 달고 당선되는 것 보다는) 당선의 가치가 조금 떨어져보일 수는 있다. 어느 정도는 현실과 타협한 결과물이기 때문.[11] 현재는 모두 폐지되었다. 과거에는 다른 시도들에도 있었으나, 5회와 8회(제주도 한정) 지방선거 이후 모두 폐지되었다.[12] 초창기에는 기호가 있었는데, 유권자들에게 교육감 선거가 정당과 관련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얼마 안 가 기호가 폐지되었다.[13] 다만 행정시는 일반구보다 권한이 많긴 하다.[14] 대표적인 케이스가 정몽준이다. 총 7번의 국회의원 당선 이력 중에서 5번은 울산 동구에서 당선됐고, 그 중 3번(13·15·16대)이나 무소속으로 당선됐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는 아버지 정주영이 이끌던 통일국민당 당적으로 당선됐고,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통합21의 당적으로 당선됐는데, 국민통합21은 사실상 정몽준만의 1인 정당이어서 무소속 당선 때와 다름없다고도 볼 수 있다. 참고로 울산 동구는 정몽준이 대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의 본사가 있는 곳이다.[15] 실제로 18대 대선에서 4명의 군소후보는 모두 무소속이었는데, 이들이 얻은 득표율은 고작 0.41%.[16] 이 분야의 전문가가 대표적으로 박주선이다. 16대부터 21대까지 총선을 총 6번 출마하면서, 4선 의원을 바라보면서 당적을 가지고 출마한 적은 18, 20, 21 딱 세 번이다. 의외로 철새의 대명사로 취급받는 이인제는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선거라고는 18대 총선 단 한 번밖에 없다.[17] 당시는 총선에서 2% 이상의 득표율을 얻지 못한 정당을 강제 해산할 수 있는 정당법 조항이 있었다.[18] 만약 등록 무효가 되었을 때가 등록기간 이내라면 재등록을 하면 되지만, 만약 등록기간이 지난 상태에서 등록 무효가 되었다면, 해당 선거에서는 더 이상 출마가 불가능하다.[19]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은 이 규정은 준용하고 있지 아니하다.[20]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은 이 규정은 준용하고 있지 아니하다.[21] 본래는 무소속 후보자가 한 선거구에 복수 출마할 경우 가나다순으로 기호를 배정했으나 2010년 법 개정으로 현재는 무작위 추첨을 통해 기호를 배정한다.[22] 국회 간선제[A] A B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선제[23] 유신정우회를 포함한 숫자다[24] 유신정우회를 포함한 숫자다[25] 광역자치단체장/기초자치단체장 선거를 시행하지 않았다.[26] 광역자치단체장 선거를 시행하지 않았다.[27] 광역자치단체장/기초자치단체장 선거를 시행하지 않았다.[28] 3회 지선까지의 기초자치단체의회는 정당공천이 실시되지 않았다. 즉, 전원 무소속.[29] 취임식은 1979년 12월 21일.[30] 취임식은 1980년 9월 1일.[31] 대한민국 제2공화국은 의원내각제 형태였고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원수였다. 아울러 당시 헌법은 대통령의 당적 보유를 금하고 있어서 취임 직전 원 소속 정당이던 민주당을 탈당했다.[B] A B C D 임기 말 탈당[32] 새천년민주당 구주류와의 갈등 끝에 탈당 후 무소속 상태에서 재임했다. 탄핵 소추 사태가 일단락된 2004년 5월 열린우리당에 입당했다.[33] 더불어시민당 14번[34] 더불어시민당 15번[35] 더불어시민당 7번[36] 중앙당이 출당을 결정한 양이원영, 윤미향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제명 절차를 밟아야 하며, 김수흥 의원은 당 결정 수용 입장을 번복하였다.[37] 18번이었던 이경수 후보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임명되어 당을 탈당함과 동시에 비례순번을 반납하였다. 그래서 차순번인 정종숙 후보자부터 승계받게 되는 것이다.[38] 당선 당시 무소속이었던 경우만 서술하도록 한다.[a] A B 임기 중 민주통합당 입당.[39] 임기 중 한나라당 복당.[40] 임기 중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했으나 경선에서 우근민에게 패배한 후 탈당.[41] 임기 중 새누리당 복당.[42] 임기 중 미래통합당 복당.[43] 코파 아메리카 2021에서는 소속팀 자막이 뜨지 않아 리오넬 메시의 무소속 자막을 볼 수는 없었으나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떴기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에 무소속이라는 자막이 붙어서 축구팬들한테 큰 웃음을 주기도 했다.[44] 앞서 해체된 eSTRO는 남은 선수 전원이 일찌감치 다른 팀으로 드래프트 이적하였고, 하이트 스파키즈는 모기업의 합병으로 인해 CJ 엔투스로 넘어갔다.[45] KeSPA가 이 무렵에 해체된 화승 오즈, 위메이드 폭스, MBC GAME HERO에 있던 몇몇 선수들을 모아서 제8게임단을 만들었고, 이후 진에어의 후원을 받으면서 진에어 그린윙스가 되었다.[46] 진에어 그린윙스도 2020년을 끝으로 해체되었다.[47]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것과는 달리 인디 음악의 정의는 이게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