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방공단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제1101공병단 · 지상정보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수도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군사경찰단
I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II제12항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III제13항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V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VI제106정보통신단
VII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VIII제12포병단 · 제108정보통신단 · 제1170공병단
1군지사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5군지사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육군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 항공단
동원사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39동원지원단
제50동원지원단 ·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군사경찰단
인사사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근무지원단
3사근무지원단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포병단 | 정보통신단 | 공병단 | 군수지원단 | 항공단 | 방공단 | 경비단 | 특수임무단 | 동원지원단 | 근무지원단 |}}}}}}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제15방공단
第15防空團
15th Air Defense Group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창설일0000년 0월 0일(제515방공대대)
2012년 0월 0일(제15방공단)
상징명칭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5군단
규모
역할5군단 방공지원
단장대령 노유기(학사 27기)
위치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1. 개요
2. 편제
3. 출신 인물
3.2. 장교/부사관
3.3. 병
4. 기타
4.1. 근무환경
4.2. 미디어 출연
4.3. 부대가(군단가)
5. 사건사고
6.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방공을 주 임무로 하는 지상작전사령부 제5군단 소속 직할부대.

전신은 '제515방공대대'로 2000년대 초중반 천마 장비 도입과 함께 부대개편이 이루어지며 현 위치로 부대이전 및 신막사가 건립되었다. 2000년대 중후반에 발칸중대 개편이 이루어졌고, 2012년에 단급으로 부대증편이 이루어져서 10년간 이어졌다.

이후 2022년 말, 6군단 통합으로 인해 기존에 단 예하에 바로 중대를 두던 방식에서, 5군단 지역을 담당하는 515대대를 창설하고 6군단 지역을 담당하는 516대대를 예속 전환받아서 편제가 증편되었다.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해 있고, 방공단이며 부대마크도 군단 마크와 동일하다.[1]


2. 편제[편집]



3. 출신 인물[편집]



3.1. 단장[편집]


볼드체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5방공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2대김규연준장육사 45기제1방공여단장, 육군방공학교
7대박래만대령육사 50기단장
8,9대임강호대령학사 19기단장
10대윤철남대령3사 30기단장
11대노유기대령학사 27기단장


3.2. 장교/부사관[편집]




3.3. 병[편집]




4. 기타[편집]



4.1. 근무환경[편집]


본부 및 작전진지로 구성되며, 전투중대들의 작전 소대들은 소대별로 작전진지 순환 파견을 하고 있다. 전투중대는 천마 3개중대, 발칸2개 중대로 이루어져있다.

본부 및 작전진지 시설은 515방공대대 시절인 2000년대 초중반에 천마 방공무기 도입으로 인한 부대개편 차원에서 신축한 것이다. 건축된 지 10년도 되지 않은 신막사이기에 생활여건이 상당히 우수하다.

생활관당 배정 인원이 8~10명 정도로 소수정예이고 병사들의 잠자리도 2층 침대나 철제 침대도 아닌 사제 매트리스 침대가 제공된다. 그리고 중대별로 세탁기 및 건조기가 다수 구비되어있고, 간부식당과 병사식당 메뉴가 동일하게 조리 제공되는 등 시설 환경 면에서 육군에서 손꼽힐 수준이다. 2017년에는 에어컨이 새로 들어오고 신식 관물대로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4.2. 미디어 출연[편집]




4.3. 부대가(군단가)[편집]


보아라 이 기상 피 끓는 충정

화랑의 후예들이 여기에 있다

나라 위한 길이라면 목숨을 바쳐

내 강토 내 겨레 지켜 나가자

우리는 대한건아 무적의 용사

싸우면 이긴다 승진 5군단

─ 5군단가



5. 사건사고[편집]



6. 여담[편집]


  • 초대 단장이었던 김규연 대령은 515방공대대 시절인 2006년 당시 중령 진급과 동시에 대대장으로 부임된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2012년 부대가 단급으로 증편되면서 대령 진급과 함께 부대장직을 이어가게 되었다. 이후 준장 진급과 함께 제1방공여단장으로 영전하고, 육군방공학교장과 육군 방공 병과장을 겸직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56:38에 나무위키 제15방공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른 직할부대 또한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