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신역 (r1판)

편집일시 :


昌信驛 / Changsin Station

창 신
파일:Seoulmetro6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Changsin
한자昌信
중국어
일본어昌信(チャンシン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112 (창신동 20-8번지)
운영 기관
6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6호선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昌信驛 / Changsin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637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 112 (창신동 20-8번지)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28 창신(수정).jpg

역 안내도.

섬식 승강장이며 벽면의 세 가지 패턴, 일반적인 직선, 터널 굴착이 반영된 동그란 벽, 대형으로 뚫은 터널 벽면(녹사평역)이 모두 반영되어 있는 역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한성대학교와도 가깝지만 오르막으로 인해 한성대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통학할 때 한성대입구역을 주로 이용한다. 동망봉터널과 인접해 있는데, 이 터널과 도로개설이 지하철 6호선 건설과 동시에 진행되었다. 6호선이 없던 시절에는 터널도 없었고 종로03의 노선인 낙산공원 정상까지 가는 길로만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인근에 조선시대의 성벽으로 사용되었던 한양도성이 일부 남아 있으며, 종로03 버스를 이용해 산 정상의 낙산공원까지도 갈 수 있다. 하지만 주변 마을버스 정류장 주변 환경이 버스를 오래 기다리기 힘들고 이미 동묘앞역에서 사람들이 많이 타고 오는 관계로 낙산공원,한성대학교 방향으로 갈 때에는 이곳보다는 주로 동묘앞역에서 버스를 탄다. 단, 지봉로의 교통정체 때문에 낙산공원에서 내려올 때에는 창신역을 주로 이용. 정기권을 쓰기 위해 역에서 도보로 통학해야 한다면 엄청난 계단을 오르지 말고 창신쌍용아파트 1단지와 2단지를 잇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자.

이 지역에 창신숭인뉴타운이라는 뉴타운사업을 추진하였으나, 2008년 금융위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어 사업자 선정을 하지 못하여 결국 2012년 뉴타운 계획을 주민투표를 통해 자진 철회하였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창신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 2000년~2009년 ]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2,485명4,331명5,541명6,160명6,319명5,978명5,715명5,753명6,026명6,362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6,372명6,184명6,035명6,015명6,127명6,208명6,329명6,504명6,707명6,865명
2020년
5,128명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위 표를 보면 알겠지만 매우 한산한 역으로 서울시 전체 지하철역 중에서도 이용객 수가 하위권을 달리는 역이다. 6호선 내에서는 35위로 뒤에서 3등이다. 도심지(종로구)에 있고 주택가가 많은 곳이라는 것을 감안하고 보자. 이용객 수 하위권인 다른 역들은 대부분 남태령역처럼 주면에 민가가 드문 시 외곽 역이다. 근처에 동묘앞역, 동대문역, 한성대입구역, 보문역 등이 수요를 분담해서 그렇다.

창신역이 한가한 이유는 창신동(동묘앞역에서 창신역 사이)의 일반 주택가 특징 때문에 그렇다. 겉보기에는 평범한 주택이지만 사실은 동대문시장에 의류를 공급하는 가내 수공업 공장도 꽤 많고,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 또한 동대문시장이나 주변 옷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창신동 내에서 철저히 직주근접 생활을 하는 여건 상 인구밀도, 주택밀도에 비해 지하철을 타고 원거리 출퇴근을 하는 주민들이 많지 않기 때문.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의류 공장 소유주 및 노동자들은 지역 재개발을 원치 않으며 아래에서 언급한 창신숭인뉴타운 철회의 큰 이유가 되었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changsin.jpg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동묘앞
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