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필락토스

덤프버전 :

>
 
{{{#FCE774
[ 펼치기 · 접기 ]
584년~585년585년~589년589년~596년596년~603년
데키우스스마라그두스로마누스칼리니쿠스
603년~608년608년~616년616년~619년625년~643년
스마라그두스요안니스 1세엘레우테리우스이사키오스
643년~645년645년~649년649년~652년653년~666년 무렵
테오도로스 1세 칼리오파스플라톤올림피오스테오도로스 1세 칼리오파스
666년 무렵~678년678년~687년687년~702년702년~710년
그레고리오스테오도로스 2세요안니스 2세 플라티노스테오필락토스
710년~711년713년~723년723년~727년727년~751년
요안니스 3세 리조코포스스콜라스티코스파울로스에우티키오스



이름테오필락토스
(Theophylact )
출생미상
사망미상
직위라벤나 총독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라벤나 총독부의 16대 총독.


2. 생애[편집]


702년경 요안니스 2세 플라티노스의 뒤를 이어 라벤나 총독으로 부임했다. 당시 이탈리아의 정세는 동로마 제국에 지극히 부정적이었다. 심지어 라벤나 군대마저 총독에게 반기를 들어 로마 교황에 충성을 맹세할 정도였다. 하지만 교황 요한 6세가 그를 지지해준 덕분에 반란은 가라앉았고, 그는 겨우 라벤나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후 로마의 부유한 시민들의 재산을 노린 자들이 거짓 고발을 하여 재산을 몰수하려 했지만, 그는 이들이 무고를 하고 있다는 걸 간파하고 가차없이 처벌했다.

709년 동로마 황제 유스티니아노스 2세는 테오도루스에게 함대를 맡겨 라벤나로 파견해 사사건건 제국의 명령에 따르지 않는 자들을 제압하게 했다. 라벤나에 도착한 테오도루스는 황제의 이름으로 연회를 열어 모든 고관들을 초청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고관들은 아무 의심 없이 약속된 날짜에 연회에 참석했다가 체포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압송되었다. 황제는 그들에게 사형선고를 내렸으나 펠릭스 대주교만이 실명형에 처해진 후 폰투스에 유배되었다가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처형된 뒤에야 자기 교구로 돌아갈 수 있었다. 한편 테오도루스의 병사들은 라벤나를 무자비하게 약탈했다. 라벤나 시민들은 당연히 유스티니아노스 2세의 이같은 조치에 분노해 봉기를 일으켰고 라벤나 총독부는 수년간 마비되었다. 그는 이 상황을 수습하지 못했고, 랑고바르드 왕국은 이를 틈타 소라, 아르피노 등을 공략했다.

테오필락토스가 언제 물러났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710년 즈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요안니스 3세 리조코포스가 뒤를 이어 라벤나 총독으로 부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1:12:52에 나무위키 테오필락토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