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텀 나이트메어 (r7판)

편집일시 :


유희왕 정발판 부스터 일람/12기
[ 펼치기 · 접기 ]
파일:듀얼리스트 넥서스 일판.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UELIST NEXUS

듀얼리스트 넥서스
(DUNE)
]]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파일: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일판.webp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AGE OF OVERLORD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
(AGOV)
]]

[[팬텀 나이트메어|

파일:팬텀 나이트메어 일판.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PHANTOM NIGHTMARE

팬텀 나이트메어
(PHNI)
]]
12기 덱 빌드 팩}}}


파일:팬텀 나이트메어 일판.jpg

PHANTOM NIGHTMARE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1. 개요
2. 발매 전 정보
3. 지원 카드군
4. 카드 일람


1. 개요[편집]


PHANTOM NIGHTMARE
해방하라! 세상을 감싸는 궁극적인 어둠의 힘을!
초융합!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023년의 12기 세 번째 부스터 팩이다. 발매일은 2023년 10월 28일(일본).

커버 카드는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

2. 발매 전 정보[편집]


12기의 이전 부스터 팩들이 그러했듯 팩 명칭과 연관이 있는 카드가 패키지를 장식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효과명[1] 및 등장 팩 이름[2]에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던 유벨이 팩 이름이 밝혀진 시점부터 가장 유력한 후보로 지목되었으며, 이외에는 어둠의 바쿠라 등 악령, 악몽 등의 키워드와 연관이 있는 테마들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8월 9일 쥬다이와 유벨이 그려진 카드 프로텍터의 발매 소식이 먼저 공개되어 유벨 관련 지원이 팩 메인 테마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다음날인 8월 10일 실제 팩 일러스트 및 카드 공개를 통해 확정되었다.

섀도우 스펙터즈 이후로 10년만에 악마족 몬스터가 커버 카드를 장식했다.

정규 팩 사상 최초로 코믹스판에만 등장한 캐릭터의 카드군이 지원을 받은 팩이기도 하다.

12기 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는 미 ocg화 애니 카드 정규팩 수록은 어둠의 수호신-다크 가디언다크 엘리멘트가 낙점 되었다.

낙인 스토리 관련 카드로 룸펠 토이펠이, 뉴 클리어 월드 스토리 관련 카드로 기성상이 수록되며 죄보 스토리는 고블린라이더가 신규 테마로 등장했다.

유벨의 주 인격을 맡은 성우인 츠루 히로미가 2017년 사망했기 때문에 CM 성우의 방향성이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3]

팬들이 부르는 약칭은 팬나메.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각 단어의 앞 글자만 따서 팬나라고 부르기에는 이미 해당 명칭으로 불리던 테마인 팬텀 나이츠가 있기 때문.

기존 부스터 팩들과 상당히 이질적인 카드 출시 순서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의 추가지원 주기로 보면 밸리언트 스매셔즈 출신 테마들과 월드 프리미어 팩 2023 추가 지원은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부터 나오는 것이 정배로 여겨졌으나, 메멘토와 게이트 가디언, 고티스 지원이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바로 등장했다.

여담으로 수록 카드 공개가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 때만큼이나 꽤 느린 텀으로 진행된다. 10월 21일 기준으로 미공개 카드가 28종이다.


3. 지원 카드군[편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등장인물 유벨이 쓰는 테마이자 그 자신을 모티브로 하는 테마.
ARC-V 코믹스의 등장인물 이 사용한 어류족 싱크로 테마. 위의 유벨처럼 이번 팩에서 지정이 되었다.
고블린 카드군을 강화한 3축 엑시즈 테마.
로가디언을 리메이크하고, 여기에 같은 빛 속성 의식 몬스터인 용희신 사피라고성대 사우라비스까지 엮은 의식 테마.

4. 카드 일람[편집]


부스터 팩
PHANTOM NIGHTMARE
[ 풀 리스트 ]
카드 번호카드명분류레어도
PHNI-JP000결속과 연의 매지션효과 몬스터
[[시크릿 레어#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QCSE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PHNI-JP001스피릿 오브 유벨효과 몬스터
PHNI-JP002가이스토치 골렘효과 몬스터
PHNI-JP003새크리파이스 D 로터스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04
PHNI-JP005
PHNI-JP006화이트 맘보효과 몬스터
PHNI-JP007화이트 사딘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08고블린라이더 특공 더그효과 몬스터
PHNI-JP009고블린라이더 폭음 클러터효과 몬스터
PHNI-JP010고블린라이더 마하 부웅효과 몬스터
PHNI-JP011고블린라이더 냉혈 미안다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12스네이크아이즈 포플러스효과 몬스터
PHNI-JP013어둠의 수호신-다크 가디언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14환마의 소환신효과 몬스터
PHNI-JP015고티스의 흐릿함 키프효과 몬스터
PHNI-JP016고티스의 월야 사이크스효과 몬스터
PHNI-JP017메멘토 우라몬효과 몬스터
PHNI-JP018호루스의 흑염신효과 몬스터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시크릿 레어#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QCSE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PHNI-JP019숙성의 기도하는 손 로효과 몬스터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시크릿 레어#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QCSE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PHNI-JP020숙성의 용현희 사피라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21숙성의 용현성 사우라비스효과 몬스터
PHNI-JP022
PHNI-JP023마제스펙터 포큐파인펜듈럼/효과 몬스터
PHNI-JP024
PHNI-JP025마그마초 드래곤효과 몬스터
PHNI-JP026
PHNI-JP027
PHNI-JP028
PHNI-JP029고블린 강하 부대효과 몬스터
PHNI-JP030
PHNI-JP031
PHNI-JP032이엠:피 그레냐드효과 몬스터
[[레어(유희왕)|
R
레어
]]
PHNI-JP033
PHNI-JP034
PHNI-JP035
PHNI-JP036
PHNI-JP037숙성한 수호자 로가디언의식/효과 몬스터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얼티미트 레어|
UL
얼티미트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시크릿 레어#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QCSE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
PHNI-JP038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융합/효과 몬스터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얼티미트 레어|
UL
얼티미트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PHNI-JP039
PHNI-JP040마스터 오브 HAM융합/효과 몬스터
PHNI-JP041화이트 아우라 포포이즈싱크로/효과 몬스터
PHNI-JP042에니그마스터 팩비트싱크로/효과 몬스터
PHNI-JP043
PHNI-JP044피시램프싱크로/튜너/효과 몬스터
PHNI-JP045
PHNI-JP046
PHNI-JP047고블린라이더 빅헤드 가봉가엑시즈/효과 몬스터
PHNI-JP048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엑시즈/효과 몬스터
PHNI-JP049마제스펙터 드라코엑시즈/펜듈럼/효과 몬스터
PHNI-JP050
PHNI-JP051마제스펙터 오르트링크/효과 몬스터
PHNI-JP052
PHNI-JP053세베크의 마도사링크/효과 몬스터
PHNI-JP054나이트메어 페인지속 마법
PHNI-JP055매추어 크로니클지속 마법
PHNI-JP056
PHNI-JP057
PHNI-JP058화이트 리인카네이션지속 마법
PHNI-JP059기성상속공 마법
PHNI-JP060고블린라이더 대집회지속 마법
PHNI-JP061고블린라이더 대등장일반 마법
PHNI-JP062스네이크아이 추주극속공 마법
PHNI-JP063다크 엘리멘트일반 마법
PHNI-JP064지박융합속공 마법
PHNI-JP065왕묘의 석벽필드 마법
PHNI-JP066숙성한 기도의식 마법
PHNI-JP067숙성한 결계지속 마법
PHNI-JP068
PHNI-JP069마제스펙터 윈드속공 마법
PHNI-JP070백뮤테이션일반 마법
PHNI-JP071
PHNI-JP072
PHNI-JP073이터널 페이버릿지속 함정
PHNI-JP074
PHNI-JP075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지속 함정
PHNI-JP076숙성한 위광지속 함정
PHNI-JP077
PHNI-JP078룸펠 토이펠일반 함정
PHNI-JP079
PHNI-JP080철기의 뇌추카운터 함정
[ 수록 카드 보기 ]
[[결속과 연의 매지션|

PHNI-JP000
결속과 연의 매지션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QCSE
]]
[[|

PHNI-JP001
]]
[[|

PHNI-JP002
]]
[[|

PHNI-JP003
]]
[[|

PHNI-JP004
]]
[[|

PHNI-JP005
]]
[[|

PHNI-JP006
]]
[[|

PHNI-JP007
]]
[[|

PHNI-JP008
]]
[[|

PHNI-JP009
]]
[[|

PHNI-JP010
]]
[[|

PHNI-JP011
]]
[[|

PHNI-JP012
]]
[[|

PHNI-JP013
]]
[[|

PHNI-JP014
]]
[[|

PHNI-JP015
]]
[[|

PHNI-JP016
]]
[[|

PHNI-JP017
]]
[[|

PHNI-JP018
]]
[[|

PHNI-JP019
]]
[[|

PHNI-JP020
]]
[[|

PHNI-JP021
]]
[[|

PHNI-JP022
]]
[[|

PHNI-JP023
]]
[[|

PHNI-JP024
]]
[[|

PHNI-JP025
]]
[[|

PHNI-JP026
]]
[[|

PHNI-JP027
]]
[[|

PHNI-JP028
]]
[[|

PHNI-JP029
]]
[[|

PHNI-JP030
]]
[[|

PHNI-JP031
]]
[[|

PHNI-JP032
]]
[[|

PHNI-JP033
]]
[[|

PHNI-JP034
]]
[[|

PHNI-JP035
]]
[[|

PHNI-JP036
]]
[[|

PHNI-JP037
]]
[[|

PHNI-JP038
]]
[[|

PHNI-JP039
]]
[[|

PHNI-JP040
]]
[[|

PHNI-JP041
]]
[[|

PHNI-JP042
]]
[[|

PHNI-JP043
]]
[[|

PHNI-JP044
]]
[[|

PHNI-JP045
]]
[[|

PHNI-JP046
]]
[[|

PHNI-JP047
]]
[[|

PHNI-JP048
]]
[[|

PHNI-JP049
]]
[[|

PHNI-JP050
]]
[[|

PHNI-JP051
]]
[[|

PHNI-JP052
]]
[[|

PHNI-JP053
]]
[[|

PHNI-JP054
]]
[[|

PHNI-JP055
]]
[[|

PHNI-JP056
]]
[[|

PHNI-JP057
]]
[[|

PHNI-JP058
]]
[[|

PHNI-JP059
]]
[[|

PHNI-JP060
]]
[[|

PHNI-JP061
]]
[[|

PHNI-JP062
]]
[[|

PHNI-JP063
]]
[[|

PHNI-JP064
]]
[[|

PHNI-JP065
]]
[[|

PHNI-JP066
]]
[[|

PHNI-JP067
]]
[[|

PHNI-JP068
]]
[[|

PHNI-JP069
]]
[[|

PHNI-JP070
]]
[[|

PHNI-JP071
]]
[[|

PHNI-JP072
]]
[[|

PHNI-JP073
]]
[[|

PHNI-JP074
]]
[[|

PHNI-JP075
]]
[[|

PHNI-JP076
]]
[[|

PHNI-JP077
]]
[[|

PHNI-JP078
]]
[[|

PHNI-JP079
]]
[[|

PHNI-JP080
]]
N
: 노멀
N
: 노멀 레어>

R
: 레어

SR
: 슈퍼 레어

UR
: 울트라 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9CF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UL : 얼티미트 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9F9F;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SE : 시크릿 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3D3D;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QCSE : 쿼터 센츄리 시크릿 레어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A5C9DC;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HR : 홀로그래픽 레어
[1] 나이트메어 페인(Nightmare pain)[2] 유벨 및 그 진화체들이 출시된 팩의 이름이 환영의 어둠, 즉 팬텀 다크니스(Phantom Darkness)였다.[3] 남성 측 성우인 에가와 히사오를 쓰기엔 작중 비중이 바닥인데다, 3기 이후엔 여성 측이 주로 활약했던터라, 유벨과 초융합한 쥬다이의 성우인 KENN을 부를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