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버스 700

덤프버전 :




파일:포항700_1304.png
파일:포항 700 일렉.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포항시 CI_White.svg 포항시 좌석버스 7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포항 700번 노선도.jpg
기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양덕동(양덕차고지)종점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현내리(기계환승센터)
종점행첫차05:25기점행첫차05:50
막차22:40막차22:30
배차간격27~29분
운수사명코리아와이드 포항인가대수7대
노선양덕차고지 - HCN경북방송 - 창포사거리 - 대동우방아파트 - 나루끝 - 도심환승센터 - 서산사거리 - 롯데시네마 - 농협포항시지부 - 홈플러스[1] - 쌍용사거리 - 포항터미널 - 포항성모병원 - 시청 - 포항건강랜드 - 포항제철유치원 - 삼성그린아파트 - 포항테크노파크 - 학전리 - 다산리 - 달성사거리 - 내단리 - 기계환승센터


2. 개요[편집]



  • 왕복 총 운행거리는 57km이다.


3. 역사[편집]


  • 예전에는 포항-안강-기계 무번호 노선이었다.

  • 2008년 10월 31일 전까지는 차량도 10대였고, 현재 700번 구간 + 기계지선 구간이었다.(포항-안강-기계까지는 공통 구간이나 그 이후 성법, 죽장, 가사, 구지, 기북 등등으로 흩어졌다.)

  • 2008년 11월 1일 차량은 2대 감차되었지만, 원칙 노선은 양덕-기계로 단축되며, 운행간격은 25분 내외로 줄어들었다.

  • 2010년 12월 12일 외곽 주민들의 건의 및 민원으로 양덕차고지 방면만 "쌍용사거리-세명고-경화주유소-구 S포항병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 5월 초순까지는 기계 방면은 농협포항시지부~롯데백화점 포항점을 경유하였고 양덕 방면은 죽도시장~포은도서관을 경유하였다.

  • 2013년 5월 20일부터 130번이 130번과 131번으로 노선이 분할되었고, 130번의 노선이 변경되면서 농협포항시지부~롯데백화점 포항점 구간을 철수하게 되었고, 700번은 양덕 방면에서 경유하던 죽도시장~포은도서관 구간에서 철수하는 대신 농협포항시지부~롯데백화점 포항점을 상시 경유하게 되었다.

  • 2013년 5월 초순까진 농협포항시지부~롯데백화점 포항점 구간을 기계 방면만 경유하던 700번이 해당 구간을 상시로 경유하게 된 이유는, 과거 양덕 방향 영남정형외과 정류장(현 롯데시네마 정류장)과 서산사거리 정류장이 기존에는 유일하게 130번이 다니던 구간이었기 때문이다. 130번이 이 구간을 철수하게 되면서 이 2개의 정류장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700번이 상시 경유로 바뀌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렇게 2013년 5월 20일부터 2020년 7월 23일까지 700번은 서산사거리와 영남정형외과를 상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2014년 3월 3일부터 양덕행 차량은 17~20시 퇴근 시간대에는 홈플러스에 서지 않는다. 사유는 퇴근 시간대의 오거리쪽 교통량 증가로 인해 농협포항시지부 방향으로 좌회전 차선 진입이 어렵기 때문이다. 포항 버스 홈페이지 공지사항

  • 2020년 7월 25일 개편에 따라 700번은 안강읍내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지곡을 거쳐 시외버스터미널로 가도록 노선이 수정되었고, 700번이 맡던 안강읍내 수요는 600번이, 기계와 안강을 잇는 수요는 기계1번 지선이 맡도록 개편되었다. 또한 시외터미널-죽도시장까지 노선이 직선화되었고, 환여동 대신 창포동을 경유하게 되었다.[2]

  • 2020년 8월 4일 시간표가 개정되었으나 배차간격 자체는 27~29분 간격을 유지한다.


4. 특징[편집]


  • 경주시로 들어가는 포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이다.
- 206번: 경주 강동면(위덕대) 경유
- 600번: 경주 안강읍,강동면(단구리, 다산리 제외.) 경유
- 700번: 경주 강동면(단구리, 다산리) 경유[3]
- 800번: 경주 감포읍 경유

  • 기계면, 학전리 지역에서 포항 시내로 나오는 학생들과 노년층들이 주 고객이다. 간혹 지곡 아파트단지나 이동 주민들도 시간이 맞으면 히든카드처럼 이용하기도 한다.


  • 개편에 의해 노선이 짧아지면서 증차된 다른 노선과는 다르게 1대 감차되었다.

  • 기존의 700번 노선은 시외터미널-효자동-유금리-강동-안강을 통해 기계로 갔으나[4] 시외터미널-효자동-유금리-강동-안강방면을 600번이 경유하는 것으로 대체하면서 동시에 700번 노선이 시청-지곡으로 빠지기 때문에 개편 초기에는 혼란이 있었다.

  • 시외버스터미널 외곽 방향 승강장의 경우 900번과 이 노선은 진행방향 뒷쪽에, 600번은 진행방향 앞쪽에 정차하는데, 900번과 이 노선의 경우 과거 '구룡포행', '기계행' 팻말이 있었던 곳에 정차했던 습관 때문이며, 600번의 경우 산대리 방면 전용 승강장의 흔적 때문이다. 2020년 개편 이후 일부 차량은 다른 노선들처럼 정차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과거 습관대로 정차한다.

  • 역사 문단에서 서술했듯이 600번과 더불어 양덕행일때는 17시부터 20시까지 홈플러스 죽도점 정류장을 무정차한다. 오거리의 늘어난 교통량으로 농협포항시지부 방향으로 좌회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4.1. 시간표[편집]


#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포항시 좌석버스 700번
연도일평균 승차인원전년대비 변동폭
2018년869명-
2019년914명△ 45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없음.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경주시 CI.svg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파일:포항시 CI.svg파일:영천시 CI.svg파일:청도군 CI.svg파일:양산시 CI.svg
경주 - 타 시 · 군 간 버스
[ 울산광역시 ]
[ 포항시 ]
포항시환승지경주시
800감포100100-1130
1607001100
600강동200201202
203205206
207208212
2172601200
206위덕대212222260
700기계1기계200
9009000포항경주공항1000
[ 영천시 ]
영천시환승지경주시
753760번대763임포305
753아화300300-1301
302303304
3051300
[ 청도군 ]
청도군환승지경주시
동곡순환동곡지촌2-1산내
동곡: 동곡터미널에서 청도군 농어촌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산내: 산내정류소에서 경주시 시내버스 환승 가능
[ 양산시 ]
양산시환승지경주시
1330003100언양35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4:00:34에 나무위키 포항 버스 7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양덕방면 퇴근시간대 제외[2] 단, 강동면 경유는 2020년 7월 25일 이후 강동면사무소에서 단구리, 다산리로 바뀌었을 뿐 여전히 강동면은 지나간다.[3] 단, 단구리, 다산리에서는 경주행 시내버스 연계가 불가능하며 종점인 기계에서 안강/경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4] 일부 시간대는 안강에서 종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