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인 공무원 출신 공공기관장에 대한 내용은 황규연(공무원) 문서
황규연(공무원)번 문단을
황규연(공무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1대2대3대4대
이만기이만기장지영이만기
5대6대7대8대
이준희이만기이만기이준희
9대10대11대12대
이만기이봉걸이만기이봉걸
13대14대15대16대
이준희이만기이만기이만기
17대18대19대20대
김칠규강호동강호동강호동
21대22대23대24대
황대웅황대웅강호동강호동
25대26대27대28대
임용제김정필김정필백승일
29대30대31대32대
백승일신봉민백승일이태현
33대34대35대36대
김경수김경수신봉민김영현
37대38대39대40대
김영현이태현황규연이태현
41대42대43대44대
최홍만김영현윤정수황규연
45대46대47대48대
이슬기윤정수이슬기정경진
49대50대51대52대
정창조장성복김진박정석
53대54대55대56대
장성우장성우



파일:황규연 천하장사.jpg
이름황규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출생1975년 11월 8일 (48세)
서울특별시
학력동양고등학교 (졸업)
인제대학교[1] (학사)
중앙대학교 (석사)
종목씨름
소속세경진흥 씨름단 (1996~1997)
현대 코끼리 씨름단 (1997~1999)
삼익파이낸스 씨름단 (1999)
신창건설 씨름단 (2000~2005)
현대삼호중공업 코끼리 씨름단 (2006~2012)
신체187cm, 135k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우승 목록
4. 은퇴 이후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씨름 선수.


2. 선수 경력[편집]


1996년 2월 설날장사 대회를 통해 민속씨름에 데뷔했고, 2012년 천하장사 대회를 끝으로 은퇴할 때 까지 17년 동안 모래판에서 활약했다. 천하장사 2회(2001, 2009), 지역장사 2회, 백두장사 7회 등을 포함하여 공식 대회에서 총 16번의 장사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01년에는 천하장사 대회 4강과 결승전에서 각각 이태현과 김영현을 꺾고 천하장사에 등극한데 이어, 민속씨름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되며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현역 시절 별명은 '모래판의 귀공자' 였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모래판의 황태자' 이태현, '골리앗' 김영현, '봉팔이' 신봉민, '들소' 김경수 등 쟁쟁한 선수들에 가려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지는 못했으나, 힘씨름이 대세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백두급 답지 않은 유연성과 다양한 기술을 선보여 호평을 받았다. 씨름판이 몰락의 길을 걷던 2006년을 전후로 동시대에 활약했던 선수들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씨름을 그만두는 와중에, 2006년 7월 유일하게 남아있던 민속씨름단인 현대삼호중공업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지속했다.

2009년 12월에 열린 천하장사 씨름대축제에서, 3년 만에 씨름판으로 복귀한 이태현과 결승전에서 맞붙어 3:1로 승리하고 생애 2번째 천하장사에 올랐다. 이는 당시 기준으로 역대 최고령 천하장사(만 34세 1개월) 기록이었다.[2] 대한씨름협회가 시상하는 2009년 최우수 씨름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2년 10월 추석장사 대회에서 만 36세의 나이에 노익장을 과시하며 백두급 정상에 올라 선수로서 마지막 황소트로피를 들어올렸다. 같은 해 11월 30일 천하장사 씨름대축제 64강에서 정경진에 당한 패배가 현역 마지막 경기가 되었고, 2013년 2월 12일 설날장사 대회가 치러진 군산 월명체육관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

3. 우승 목록[편집]


천하장사(2회)
구분대회날짜장소
139대2001년 12월 16일울산 동천체육관
244대2009년 12월 13일경주 실내체육관

백두장사(7회)
구분대회날짜장소
1104대1999년 6월 19일구미 코오롱우정관
2111대2000년 10월 20일음성체육관
3117대2001년 10월 2일영암 실내체육관
4131대2004년 4월 8일천안 유관순체육관
5139대2006년 9월 20일금산 스포츠센터
62009년 10월 4일진주체육관
72012년 10월 1일상주 실내체육관

지역장사(2회)
구분대회날짜장소
134회 (광양장사)2001년 6월 17일광양 실내체육관
239회 (익산장사)2002년 4월 21일익산 원광대 문화체육관

기타 장사(5회)
구분대회날짜장소
197 올스타전1997년 10월 18일서울 장충체육관
298 올스타전1998년 7월 19일산청 실내체육관
399 설날장사1999년 2월 17일서울 88체육관
42000 백제장사2000년 10월 8일부여 구드래광장
52002 올스타전2002년 8월 22일진안 문예체육회관

4. 은퇴 이후[편집]


2013년부터 현대삼호중공업 씨름단의 코치를 맡았고, 감독 대행(2014~2015년)을 거쳐 2016년에 정식 감독으로 선임됐다. 하지만 감독으로 활동한 지 9개월 만인 2016년 9월에 현대삼호중공업 씨름단이 해체됐다. 그 후 현대삼호중공업의 총무부 과장이 되어 직장인으로서 제2의 삶을 살고 있다.
그리고 유튜브 샅바TV에서 해설을 하고 있다.

[1] 이만기의 제자다.[2] 2016년 천하장사에 등극한 장성복(만 36세 8개월)에 의해 깨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00:24에 나무위키 황규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