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럭비 월드컵 호주/예선

덤프버전 :

2003 럭비 월드컵 예선
기간2000.9.23 ~ 2003.4.27
참가국81개국
이전 예선1999 럭비 월드컵 예선
다음 예선2007 럭비 월드컵 예선

1. 개요
2. 지역별 예선
2.1. 유럽
2.2. 아메리카
2.3. 아프리카
2.4. 아시아
2.5. 오세아니아
2.6. 패자부활전
3. 완성된 조편성


1. 개요[편집]


2003 럭비 월드컵 지역별 예선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 문서.

전세계 81개국을 대상으로 치러졌으며 예선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자리는 지난 대회 8강 진출국을 제외한 12자리다. 유럽은 줄긴 했으나 여전히 많은 4장, 아메리카에 2장, 그 다음은 지난번과 같이 오세아니아 2장, 아프리카 1장, 아시아 1장, 그리고 패자부활전에 2장이 배분되었다.


2. 지역별 예선[편집]




2.1. 유럽[편집]


지난 대회보다 2개국이 늘어난 32개국이 참가했으며 2000년 9월 23일부터 2002년 11월 24일까지 진행됐다. 예선 과정은 지난 대회보다 복잡해졌으며 총 5개 라운드로 구성된다.

<1라운드 - 유럽 1차 예선>
18개국이 3개조로 나뉘어 풀리그를 돌리고, 각 조 1위 팀이 2라운드에 진출한다.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5승+20815점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4승1패+7913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3승2패+7811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2승3패+519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1승4패-2227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5패-1945점
2조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4승1패+16613점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3승2패+4511점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3승2패+438점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2승3패-99점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승3패-589점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승4패-1877점
3조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5승+7115점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3승1무1패+4612점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3승2패+2511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2승1무2패+3810점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1승4패-307점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5패-1505점

<2라운드 - 유럽 2차 예선>
시드를 받은 7개국과 1라운드에서 올라온 3개국이 2개조로 나뉘어 풀리그를 하고 1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한다.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4승+6912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승2패+248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승2패+238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승2패+198점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4패-1354점
2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4승+9512점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3승1패+4610점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2승2패-148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승3패-406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4패-874점

<3라운드 - 유럽 3차 예선>
기 진출국 4개와 2라운드 통과 2개국이 2개조로 갈라져 리그전을 펼쳤다. 조 1위가 4라운드 본선 진출전에 갈 수 있다.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승1패+14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1승1패04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1승2패-14점
2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승816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1승1패+234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2패-1042점
1조는 무슨 1점 차이로 희비가 엇갈렸다.

<4라운드 - 유럽 최종 예선>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승+556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1승1패+534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2패-1082점
2조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2승+816점
파일:조지아 국기(1990-2004).svg 조지아1승1패-454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패-362점
아일랜드, 이탈리아, 루마니아, 조지아가 각각 유럽 1부터 4까지 부여를 받았고, 러시아와 스페인은 대륙간 패자부활전 진출권 1장을 두고 마지막 홈&어웨이 대결을 한다.

<5라운드 - 유럽 패자부활전>
경기 결과
2002.10.27마드리드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 : 36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2.10.27크라스노다르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2 : 38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도합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8 : 41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어째서인지 어웨이 팀이 두 경기 모두 승리했다. 합산 점수에서 러시아가 앞섰기 때문에 스페인은 최종 탈락했다.

가 정상적인 절차였겠지만 러시아에서 출전 자격이 없는 남아공 출신 선수를 기용한 것이 밝혀저 실력을 당했고, 스페인이 유럽 5로 패자부활전에 진출했다.


2.2. 아메리카[편집]


지난번보다 5개국이 늘어난 17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이 제법 많아졌기 때문에 북미와 남미를 나누어 예선을 시작했다. 북미, 남미 우승팀이 겨뤄 이긴 쪽이 아메리카 통합 예선에 진출한다.

<1라운드 A - 북미 1차 예선>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의 8개국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우승팀을 가렸다. 장소는 모두 케이맨 제도에서 실시했다.
경기 결과
8강 1조2001.11.20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 세인트루시아(기권)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8강 2조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25 : 18 바하마 파일:바하마 국기.svg
8강 3조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32 : 13 가이아나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8강 4조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51 : 5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4강 1조2001.11.22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18 : 5 바베이도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4강 2조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12 : 8 케이맨 제도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결승2001.11.24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23 : 12 버뮤다 파일:버뮤다 기.svg

<1라운드 B - 2001 남아메리카 럭비 챔피언십 B>
남미 1차 예선은 2001 남아메리카 럭비 챔피언십 2부 대회와 병행했다.
국가득실승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3승+889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2승1패+717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1승2패-485점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3패-1113점

<2라운드 - 북미vs남미 플레이오프>
1라운드의 각 우승팀이 다음 라운드 진출을 걸고 홈&어웨이로 겨룬다.
경기 결과
2001.12.22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10 : 11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2.1.26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9 : 0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도합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0 : 10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3라운드 - 아메리카 1차 예선>
칠레와 파라과이는 미리 3라운드에 진출해 있었다.
국가득실승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2승+926점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1승1패-514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패-412점

<4라운드 - 아메리카 최종 예선>
캐나다미국, 우루과이는 4라운드에 자동으로 진출해 있다. 4팀 중 1위와 2위는 본선 진출, 3위는 패자부활전으로 간다. 승부는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한다.
국가득실승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5승1패+11216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3승3패-2912점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승4패-3210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2승4패-5110점


2.3. 아프리카[편집]


지난 대회보다 3개국이 늘어난 12개국이 참가했다.

<1라운드 - 아프리카 1차 예선>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1승1패+164점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1승1패-84점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1승1패-84점
2조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2승+136점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1승1패+184점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스와질란드2패-152점

<2라운드 - 아프리카 2차 예선>
케냐가 2라운드에 자동 진출했다.
국가득실승점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2승+136점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1승1패+184점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2패-312점

<3라운드 - 아프리카 3차 예선>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2승+66점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승1패+14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2패-72점
2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2승+1246점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1승1패+374점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2패-1612점

<4라운드 - 아프리카 1 결정전>
경기 결과
2002.11.30빈트후크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26 : 19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2.12.6튀니스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24 : 17 나미비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도합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43 : 43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공교롭게도 도합 43:43의 동점 상황이 나왔다. 트라이 개수로 나미비아가 4:3으로 앞섰기 때문에 아프리카 1로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다. 튀니지 입장에선 본선에 진출할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였는데 두고두고 뼈아팠을 듯.


2.4. 아시아[편집]


3개국이 늘어난 11개국이 참가했다.

<1라운드 - 아시아 1차 예선>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1승+543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1승+293점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2패-832점
2조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2승+176점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연맹1승1패+104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패-272점
3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승1패+404점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1승1패-44점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1승1패-364점
1조는 싱가포르가 한 경기만 하고 기권했다.

<2라운드 - 아시아 2차 예선>
1라운드를 통과한 3팀이 모여 3라운드에 진출할 한 팀을 가렸다.
국가득실승점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2승+136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1승1패+224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패-352점

<3라운드 - 아시아 최종 예선>
국가득실승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승+37312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승2패+318점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4패-4044점
늘 그렇듯 일본은 아시아 1위로 본선 진출, 대한민국은 패자부활전으로 가게 되었다.


2.5. 오세아니아[편집]


2개국이 늘어난 9개국이 예선에 참가했다.

<1라운드 - 오세아니아 1차 예선>
국가득실승점
1조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2승+1066점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1승1패+154점
파일:니우에 기.svg 니우에2패-1212점
2조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2승+446점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1승1패-224점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2패-222점

<2라운드 - 오세아니아 3 결정전>
태평양 3강이 중간에 미리 본선 진출국을 정했다. 사실 수준 차이가 넘사벽이라 딱히 상관은 없다. 1위와 2위는 본선에 진출하고, 꼴찌가 1라운드에서 올라온 팀과 패자부활전 진출권을 두고 최종전을 치러야 한다.
국가득실승점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3승1패+4310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3승1패+3810점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4패-814점

<3라운드 - 오세아니아 2차 예선>
여기서 이기는 쪽이 통가와 만난다.
경기 결과
2002.10.19포트모르즈비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29 : 14 쿡 제도 파일:쿡 제도 기.svg
2002.10.26쿡 제도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21 : 13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도합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42 : 35 쿡 제도 파일:쿡 제도 기.svg

<4라운드 - 오세아니아 패자부활전>
경기 결과
2002.11.30포트모르즈비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14 : 47 통가 파일:통가 국기.svg
2002.12.6누쿠알로파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84 : 12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도합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31 : 26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2.6. 패자부활전[편집]


대서양권(미국, 스페인, 튀니지)이 1조, 태평양권(대한민국, 통가)이 2조를 배정받았다. 1조에서 가장 수준이 높았던 미국은 결승전에 자동 진출하고, 스페인과 튀니지가 먼저 중립 구장에서 단판 준결승을 치렀다.

1조
경기 결과
준결승2003.3.15발랑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33 : 16 튀니지 파일:튀니지 국기.svg
결승 1차2003.4.12마드리드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3 : 62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결승 2차2003.4.27플로리다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8 : 13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도합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20 : 26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2조
1차2003.3.15광주광역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0 : 75 통가 파일:통가 국기.svg
2차2003.3.21누쿠알로파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19 : 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도합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94 : 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 완성된 조편성[편집]


A조호주아르헨티나아일랜드
(유럽 1)
나미비아
(아프리카 1)
루마니아
(유럽 3)
B조프랑스스코틀랜드미국
(패자부활전 1)
일본
(아시아 1)
피지
(오세아니아 1)
C조남아공잉글랜드사모아
(오세아니아 2)
조지아
(유럽 4)
우루과이
(아메리카 2)
D조뉴질랜드웨일스이탈리아
(유럽 2)
캐나다
(아메리카 1)
통가
(패자부활전 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5:39:28에 나무위키 2003 럭비 월드컵 호주/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