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41px-Logo_JRFU.svg.png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Japan national rugby union team
ラグビー日本代表
별칭
브레이브 블라썸스 (Brave Blossoms)[1]
소속단체
일본 럭비 풋볼 협회
감독
파일:호주 국기.svg 에디 존스 (Eddie Jones)
주장
마이클 리치 (Michael Leitch)[2]
최다 출전
오노 히토시 (大野 均) 98회
최다 득점
고로마루 아유무 (五郎丸 歩) 708점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大畑 大介) 69회
홈 구장
도쿄 신국립 경기장 (68,000석)
첫 국제경기
VS 캐나다 (9:8 승), 1932년 1월 31일
최다 점수차 승
VS 대만 (155:3 승), 2002년 7월 1일
최다 점수차 패
VS 뉴질랜드 (17:145 패), 1995년 6월 4일
럭비 월드컵
10회 출전, 최고 기록 8강(2019)
월드 럭비 랭킹
최고 7위(2019) / 최저 20위(2006)
역대 전적
375전 159승 11무 205패 (42.4%)[3]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역대 감독
3. 역대 전적
3.1. 주요 대회 성적
3.2.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
5. 유니폼
6. 외국인 선수 기용 관련
7. 선수단



1. 개요[편집]


일본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대표팀으로 2011 럭비 월드컵 무렵까지만 해도 승점 자판기에다 세계 무대에서 동네북 취급을 받았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전력이 급상승하여 마침내 월드 럭비는 2023년 4월 11일 디렉터 회의를 통해 일본을 1티어 국가로 격상했다. 지금은 정상급 강팀과 붙어도 예전처럼 일방적으로 당하지 않고, 어중간한 강팀들과는 반반 구도를 간다.

아시아 최고의 럭비 인프라와 시설, 전력을 갖고 있어 2019 럭비 월드컵이 최초로 아시아에서, 바로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을 홈 이점을 살려 8강에 진출하였다.

한국인으로 럭비 월드컵에 본선에 출전한 김철원, 구지원도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2024년부터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정식으로 편입됨에 따라 마땅한 정기전이 없었던 문제가 해결되었다. 2026년 이후 럭비 챔피언십 참가를 목표로 문을 두드리고 있는데, 그 전까지 공백을 매울 수 있게 되었다.


2. 역대 감독[편집]


아쉽게도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아마추어 시대
[ 펼치기 · 접기 ]
이름
기간
카야마 시게루
1930~1934
키타지마 추지
1936, 1956
오쿠무라 타케노스케
1952~1953
니시노 코조
1958
치바 토무
1959
와다 마사오
1959
카사이 샤스지로
1963
오시니 테츠노스케
1966~1971
오카 히토시
1972
요코이 히사시
1972
사이토 료
1974
오카 히토시
1975
요코이 히사시
1976
히비노 히로시
1976
사이토 료
1976~1978
미야지 카츠미
1978
요코이 히사시
1978~1979
이마자토 료조
1979
야마모토 이와오
1980
사이토 료
1980~1981
야마모토 이와오
1982
히비노 히로시
1982~1984
미야지 카츠미
1984
오카 히토시
1985~1986
미야지 카츠미
1987
히비노 히로시
1987~1988
슈쿠자와 히로아키
1989~1991
코야부 오사무
1992~1995


프로 시대
이름
기간
야마모토 이와오
1996
히라오 세이지
1997~2000
무카이 쇼고
2001~2003
하기모토 미츠타케
2004~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엘리살드
2005~2006
오타 오사무 (임시)
200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커완
2007~2011
파일:호주 국기.svg 에디 존스
2012~2015
파일:호주 국기.svg 스콧 와이스맨틀 (임시)
2013
나카타케 류지 (임시)
2016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마크 해멋 (임시)
2016
제이미 조셉[4]
2016~2023


3. 역대 전적[편집]


2023 럭비 월드컵 조별리그 종료일 이후를 기준으로 함.


3.1. 주요 대회 성적[편집]


럭비 월드컵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4위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3위[5]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조별리그
조 4위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4위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조별리그
조 4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4위[6]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5위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조별리그
조 3위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남아공(3:26)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럭비 월드컵의 첫 대회인 1987년 대회부터 진출하고 있지만 동네북으로 착실하게 임무를 다하는데(...) 2015년까지 단 1번도 토너먼트를 넘어본 적이 없다. 2011년 대회 조예선에서는 통가에게도 졌으며 캐나다와도 비기며 1무를 기록한 것에 만족[7]하며 조 꼴찌로 일본은 탈락했다. 그러나...

2015년 9월 19일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34-32로 꺾는 초거대 이변을 연출했다. 전세계가 진짜 충격을 먹은 일이었는데, 남아공 럭비 대표팀, 즉 스프링복스올 블랙스 다음 가는 최강의 팀 지위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런 팀이 최강의 승점 자판기에게 졌다. FIFA 월드컵으로 치면 "일본이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이나 이탈리아 등 유럽 우승팀이나 아르헨티나브라질같은 남미 우승팀을 잡은 정도이다. 카잔의 기적?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스코틀랜드에게 10-45로 패배하여 순위가 추락했다. 그나마 이후 상대인 미국사모아를 이겼는데 문제는 남아공, 스코틀랜드, 일본이 서로 3승 1패씩 한 것이다. 토너먼트에 진출하려면 한 조의 상위 2팀만이 갈 수 있는데 여기서 럭비 월드컵만의 특별한 승점 방식인 4트라이 이상시 승점 1점, 7점차 이하의 패배시 승점 1점을 얻는 승점으로 남아공이 16점으로 1위, 스코틀랜드가 14점으로 2위, 일본이 12점으로 조 3위를 차지했다. 지금까지 럭비 월드컵에서 3승을 하고도 토너먼트에 진출을 하지 못한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고 한다. 이때까지 승점 자판기 수준의 일본이 많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만약 일본이 트라이를 조금만 더 했더라면 그리고 스코틀랜드에게 대패만 하지않았더라면 일본이 처음이자 첫 원정 8강을 달성할 수도 있었다.

이로부터 4년뒤 일본이 개최국으로 럭비 월드컵을 하게 되었다. 지난번에 이어서 이번엔 같은 조에 속해있던 아일랜드를 잡는 이변을 보여주었다. 아일랜드는 일본과의 경기 직전 세계 랭킹 1위였다. 러시아, 사모아, 스코틀랜드를 모두 격파하고 일본의 첫 8강을 달성했다. 8강에 진출하는 순간을 일본에서 5500만명이 지켜봤다고 한다. 참고로 이때 아일랜드를 제외하고 모두 트라이를 4개씩 해서 승점 4점을 얻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대회에서 트라이가 적어서 8강을 떨어진 걸 의식했는지 아주 열심히 트라이를 만들려했다. 그렇지만 이렇게 공격만해서 수비가 무너졌는지 8강에서 남아공에게 패배해 일본이 4강에 진출하는 일은 없었다.

이제 조 3위정도는 가볍기때문에 굳이 수준에도 맞지 않는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에 참가할 필요가 없어졌다. 결국 대회에서 이탈했고 현재 고정적으로 참가하는 국제 대회는 없다[8].

아시안 럭비 챔피언십 (1969 ~ 2007)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5회
67전
61승

6패
9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5회
70전
48승
1무
21패
68.6%
이하 생략
아시안 파이브 네이션스 (2008 ~ 2014)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7회
28전
28승


10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8전
15승

13패
5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4전[9]
13승

11패
54.2%
이하 생략
아시아 럭비 챔피언십 (2015 ~ 2017)[10]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회
12전
11승
1무[11]

91.7%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2전
5승
1무
6패
4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전
1승

11패
8.3%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06 ~ 2023)
주요 참가국
우승
준우승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6회
5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12]
4회
4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회[13]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3회
일본은 과거부터 아시아를 넘어 자국 럭비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일환으로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2006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총 15승 25패 승률 37.5%로 약해 보이지만 그건 잘 못하던 2000년대 시절 얘기고 2011, 2014, 2019년에 우승을 차지한다. 우승을 3번이나 했을 정도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15년까지 매년 참가하다가 2016~18년, 2022년엔 불참.


3.2. 국가별 상대전적[편집]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6전


6패
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5전


5패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4전


4패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전


1패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7전

1무
6패
0%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0전
1승

9패
10%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전
1승

9패
1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9전
1승

8패
11.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7전
1승

6패
14.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9전
4승

15패
2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8전
2승

7패
22.2%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18전
6승

12패
33.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전
1승

2패
33.3%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4전
10승
1무
13패
41.7%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19전
10승

9패
52.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5전
15승
2무
8패
6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5전
4승

1패
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6전
29승
1무
6패
80.6%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29전
24승
1무
4패
82.8%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6전
5승

1패
83.3%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6전
5승

1패
83.3%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7전
6승

1패
85.7%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1전


1패
0%
그외[14]
24전
24승


100%


4. 개인 기록[편집]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오노 히토시

98회
2004~2016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미우치 타쿠로
No.8
45회
2002~2008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69회
1996~2006
경기당 1.19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
알리시 투푸아일레이
센터
경기당 1.61개
2009~2011
총 21회
최다 득점
고로마루 아유무
풀백
708점
2005~2015
경기당 12.64점
한 경기 최다 득점
구리하라 토오루

60점
2002.7.21
vs 대만
한 경기 최다 트라이
오하타 다이스케

8개
2002.7.7
vs 대만


5. 유니폼[편집]


흰 바탕에 빨간 줄이 그려진 셔츠를 주로 채용한다. 어웨이는 어두운 무채색, 남색, 흰색, 붉은색 등 아무렇게나 만든다.


6. 외국인 선수 기용 관련[편집]


일본은 홍콩과 더불어 아시아 럭비 대표팀들 중에서도 귀화 선수나 외국인 선수가 많이 거치는 대표팀 중 하나인데, 위키백과를 확인해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이 링크는 일본이 남아공을 격파한 경기의 스쿼드인데, 이 가운데 루크 톰슨[15], 마이클 브로드허스트[16], 저스틴 이브스, 마이클 리치[17], 헨드릭 투이, 말레 사우[18], 칸 헤스케스는 뉴질랜드 태생 일본 귀화 선수, 류 콜리니아시 홀라니, 아마나키 렐레이 마피[19]는 통가 태생 일본 귀화 선수, 크레이그 윙은 호주 태생 일본 귀화 선수, 마쓰시마 코타로(松島 幸太朗)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생[20]이다.

이는 월드 럭비의 규정상 해당 국가에서 출생해서 해당 국가의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거나, 부모 또는 조부모 중 한 명이 해당 국가 출신이거나, 대표팀 선발 직전 연속으로 5년 이상을 해당 국가에서 거주하거나, 누적 10년을 해당 국가에서 거주한다면 해당 국가의 국적을 취득하지 않아도 해당 국가의 대표팀으로 출전할 수 있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도 적용된다.[21][22]


7. 선수단[편집]


재팬 럭비 리그 원이라는 큰 프로 리그가 있고, 선수를 해외로 수출하기보단 수입(?)해오는 경우가 많다보니 대표팀은 전원 일본 리그에서 뛰고 있는 인원들이고, 상당수가 일본 혈통이 아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41px-Logo_JRFU.svg.png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펼치기 · 접기 ]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 일본 대표팀 선수 명단
소속팀
포지션
한글 성명
원어명
비고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후커
호리에 쇼타
堀江翔太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후커
사카테 아츠시
坂手淳史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후커
호리코시 코스케
堀越康介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프롭
이나가키 케이타
稲垣啓太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프롭
크레이그 밀러
Craig Millar
뉴질랜드인[1]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
프롭
구지원
具智元
서울 출생[2]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프롭
카키나가 신노스케
垣永 真之介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프롭
아사엘리 아이 발루
Asaeli Ai Valu
통가 출생[3]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
프롭
시오네 할라실리
Sione Halasili
첫 선발
통가 출신[4]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로고.png

워너 디언스
Warner Dearns
뉴질랜드인[5]
파일:블랙 램스 도쿄 로고.jpg

아마토 파카타바
Amato Fakatava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

아마나키 사우마키
Amanaki Saumaki
통가 출신[6]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잭 코널슨
Jack Cornelsen
호주인[7]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플랭커
후쿠이 쇼타
福井翔大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플랭커
벤 건터
Ben Gunter
태국인[8]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플랭커
시모카와 칸지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로고.png
플랭커
라피스 라부샤너
Lappies Labuschagné
남아공인[9]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
넘버 8
히메노 카즈키
姫野和樹
주장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로고.png
넘버 8
마이클 리치
Michael Leitch
뉴질랜드 출신[10]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
스크럼하프
후쿠다 켄타
福田健太
첫 선발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스크럼하프
사이토 나오토
齋藤直人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스크럼하프
나가레 유타카
流大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플라이하프
마쓰다 리키야
松田力也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
플라이하프
이승신
李承信
재일교포 3세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센터
나카무라 료토
中村亮土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센터
오사다 토모키
長田智希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로고.gif
센터
딜런 릴리
Dylan Riley
호주인[11]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
센터
야마나카 료헤이
山中 亮平
세미시 마시레와 대체
파일: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로고.png

시오사이아 피피타
Siosaia Fifita
통가인[12]
파일:NEC 그린 로켓츠 토가츠 로고.png

로마노 레메키
Lomano Lemeki
뉴질랜드 출신[13]
파일: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로고.png

세미시 마시레와
Semisi Masirewa
피지인[14]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로고.png

조네 나이카불라
Jone Naikabula
피지인[15]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
풀백
오구라 준페이
小倉純平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풀백
마쓰시마 코타로
松島幸太朗

구단 정보
감독: 제이미 조셉 (Jamie Joseph)
[1] 출전 자격 : 일본 거주[2] 2019년 일본 귀화[3] 2017년 일본 귀화[4] 출전 자격 : 일본 거주[5] 출전 자격 : 일본 거주[6] 귀화 년도 확인 필요[7] 출전 자격 : 일본 거주[8] 출전 자격 : 일본 거주[9]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0] 2013년 일본 귀화[11]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2]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3] 2014년 일본 귀화[14] 출전 자격 : 일본 거주[15] 출전 자격 : 일본 거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3:55:53에 나무위키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3년을 기점으로 기존 Cherry Blossoms를 대체하는 중[2] 뉴질랜드 출신으로 15살 때부터 일본에서 거주했고 24세에 일본 국적을 취득하면서 이름도 바꿨다. 일본 이름은 리치 마이케루(リーチ マイケル)[3] 2023년 10월 8일 기준, 출처[4] 뉴질랜드인이나 일본 국적 취득[5] 4위는 짐바브웨[6] 5위는 캐나다[7] 2007, 2011년 연속으로 캐나다랑 비겼다.[8] 여름 투어와 가을 평가전이 있지만 그건 어느 팀이나 한다[9] 2011시즌 강등[10] 2017시즌 이후 이탈, 말레이시아로 대체[11] 경기 취소[12] 2014년 일본과 공동 우승[13] 2014년 사모아와 공동 우승[14] 포르투갈, 스페인, 아랍연맹, 카자흐스탄, 필리핀, 싱가폴, 스리랑카, 태국, UAE, 짐바브웨 칠레[15] 2007년 일본 귀화.[16] 뉴질랜드 청소년 대표 출신이다.[17] 2013년 일본 귀화. 어머니가 피지 혈통이다.[18] 뉴질랜드 태생이나 사모아 혈통이다.[19] 통가 청소년 대표 출신.[20] 모친이 일본인으로 5세부터 일본 국적이 있었다.[21] 세 가지 규정 중 한 가지만 충족해도 타국 대표팀으로 출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족 중에 남아공 사람이 없는 순수 중국인이 남아공에 5년 연속 혹은 10년을 누적으로 거주하고, 럭비를 엄청 잘한다고 하면 이 사람은 국적을 불문하고 남아공 대표로 럭비 월드컵의 선수로 등록이 가능하다.[22] 해당 국가에서 출생을 한 경우에는 외국인이 아닌 국내 선수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