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 복구를 위한 남북 통신실무접촉

덤프버전 :

2018년 남북회담
[ 펼치기 · 접기 ]
1월9일2018년 남북고위급회담 (경과)
15일평창동계올림픽 예술단파견을 위한 남북실무접촉 (경과)
17일2018년 남북고위급회담 실무회담 (경과)
2월9~11일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계기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 (김영남, 김여정)
25~27일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 계기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 (김영철)
27일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실무회담
3월5~6일대북특사 방북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포함 5명)
20일예술단 평양 공연 관련 남북실무접촉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
29일2018 남북정상회담 준비 남북고위급회담
4월5일제1차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
7일제1차 통신 실무회담
14일제2차 통신 실무회담
18일제2차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
23일제3차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
27일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 ( 반응 / 의의와 한계 )
5월26일2018 제2차 남북정상회담
6월1일2018년 6월 남북고위급회담
14일2018년 6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18일2018년 6월 남북 체육회담
19~20일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보수 작업을 위한 방북
22일2018년 6월 남북 적십자회담
25일2018년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 복구를 위한 남북 통신실무접촉
26일2018년 남북 철도협력 분과회의
27일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보수를 위한 방북
28일2018년 남북 도로협력 분과회의
7월4일2018년 남북 산림협력 분과회의
4~6일남북통일농구대회 출전을 위한 방북
5~6일2018년 7월 남북체육실무회담
31일2018년 7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8월13일2018년 8월 남북고위급회담
9월14일2018년 9월 남북 정상회담 실무대표회담
18~20일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
9월 평양공동선언
10월4~6일2018년 10.4 선언 남북공동기념행사 위한 방북
15일2018년 10월 남북고위급회담
22일2018년 10월 남북 산림협력 분과회의
26일2018년 10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11월2일2018년 11월 남북 체육회담
7일2018년 11월 남북 보건회담
16일2018년 11월 남북 항공회담
23일2018년 11월 남북 통신 실무회담
12월11일남북 산림 실무회의
12일남북 보건의료 실무회의
13일남북 철도 실무회의
14일2018년 12월 남북 체육회담
참고
6월12일북미정상회담
결과 ( 준비 / 개최장소 )
남북미정상회담 (가능성 언급)



파일:36236631_1712694488785511_4163508994293366784_n.jpg

1. 개요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측 대표단
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측 대표단
4. 군사실무회담 합의
5. 의의
6. 한계



1. 개요[편집]


2018년 6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의 실무적인 부분과 판문점 선언 합의문을 이행하기 위해 2018년 6월 25일에 서해지구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열리는 군사실무회담이다.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측 대표단[편집]


  • 조용근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수석대표
외 4명


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측 대표단[편집]


  • 엄창남 육군대좌- 수석대표
외 4명


4. 군사실무회담 합의[편집]


◦ 우선 서해지구 軍통신선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조속히 이행하기로 하였음.

◦ 동해지구 軍통신선은 산불로 인해 완전 소실된 만큼, 공사에 필요한 자재·장비, 소요 기간 등을 추가 협의하여 빠른 시일내 복구하기로 하였음.


5. 의의[편집]


서해 및 동해의 군통신선 복원에 따라 군사적 우발 충돌을 막을 수 있는 제어장치가 하나가 더 생겼다는 점이다.


6. 한계[편집]


차후 남북 장성급 회담 개최 및 남북한 함정 내 통신 설정에 대한 합의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6:30:19에 나무위키 2018년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 복구를 위한 남북 통신실무접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