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 ||
[ 펼치기 · 접기 ]

[ 기타 대회 펼치기 · 접기 ]
기타 대회
연도대회명출전 한국팀
2011. 122011 WCGEDG
2012. 1온게임넷 LoL InvitationalMiG, EDG, StarTale, Team OP
2012. 4나이스게임TV 배틀로얄NaJin e-mFire 외 9팀
2012. 8MLG 2012 Summer ArenaAzubu Blaze
2012. 8GIGABYTE StarsWar LeagueNaJin Shield, Xenics Storm
2012. 10나이스게임TV 용쟁호투IM, CJ Entus, RoMg, kt Rolster A, kt Rolster B
2012. 10World e-Sports Masters 2012IM
2012. 11IEF 2012MVP White, MVP Blue
2012. 11MLG 2012 Fall ChampionshipAzubu Blaze, NaJin Sword
2012. 11IPL 5Azubu Blaze
2012. 12IEM Season VII - CologneSKT T1 #1, CJ Entus
2013. 1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NaJin Sword, NaJin Shield, MVP White, SKT T1 #1
2013. 1IEM Season VII - KatowiceAzubu Blaze, Azubu Frost
2013. 1IEM Season VII - Sao PauloIM
2013. 3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CJ Blaze, CJ Frost, SKT T1 #1, IM
2013. 3MLG 2013 Winter Championshipkt Rolster B
2013. 62013 인천 실내 무도 아시안 게임kt Bullets
2013. 10IEF 2013Xenics Storm, SoNiC
2013. 11IEM Season VIII - SingaporeCJ Frost
2013. 112013 WCGCJ Blaze
2014. 3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kt Bullets
2014. 12IEF 2014Xenics Storm, HUYA Tigers, IM, Prime Clan
2015. 3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GE Tigers, CJ Entus
2015. 11IEM Season X - San JoseJin Air Greenwings
2015. 12IEM Season X - CologneESC Ever
2016. 3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SKT T1, ESC Ever
2016. 11IEM Season XI - OaklandLongzhu Gaming
2016. 12IEM Season XI - GyeonggiSamsung Galaxy, KONGDOO Monster
2017. 2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ROX Tigers, KONGDOO Monster
2018. 8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지역예선,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0. 52020 Mid-Season CupT1, Gen.G, DragonX, DAMWON Gaming
2021. 9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2. 92022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Challengers, DK Challengers, T1 Challengers, Korean Streamer
2022. 112022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3 아시아 스타 챌린저스 인비테이셔널NS Esports Academy, DK Challengers, DRX Challengers, HLE Challengers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평가전대한민국 대표팀
2023. 9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본선대한민국 대표팀
2023. 122023 한중일 e스포츠 대회대한민국 대표팀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 경기 일람
파일:league-of-legends.png파일:PUBG: BATTLEGROUNDS 아이콘.svg파일:clashroyale_onlycrown.png파일:logo_pes2021_shadow.png파일:던전 앤 파이터 로고.png


1. 개요
2. 진행 방식
2.1. 대한민국 대표팀
3. 예선
3.1. 1경기: 대한민국 vs 일본
3.2. 2경기: 일본 vs 중국
3.3. 3경기: 중국 vs 대한민국
3.4. 4경기: 중국 vs 일본
3.5. 5경기: 대한민국 vs 중국
3.6. 6경기: 일본 vs 대한민국
4. 결승
4.1. 1세트
4.2. 2세트
4.3. 3세트
4.4. 4세트


1. 개요[편집]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경기를 기록한 문서이다.


2. 진행 방식[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는 5인 1팀으로 구성되며 프로팀 유망주 대상으로 차출한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LCK Challengers League, 중국은 LoL Development League, 일본은 LJL Academy League 현역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더블 라운드 로빈 형식(풀리그)으로 총 6경기를 진행하여 상위 2개국이 결승에 진출하며, 결승에서는 5판 3선승제를 진행한다.


2.1. 대한민국 대표팀[편집]




3. 예선[편집]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예선 순위
순위비고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40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2
3파일:일본 국기.svg일본04

3.1. 1경기: 대한민국 vs 일본[편집]


예선 1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1승결과1패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대한민국, redteam=일본
, d_blueban1=이렐리아, d_blueban2=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레넥톤, d_blueban4=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아지르
, p_blueban1=irelia, p_blueban2=varus, p_blueban3=renekton, p_blueban4=orianna, p_blueban5=azir
, d_redban1=니달리, d_redban2=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이즈리얼
, p_redban1=nidalee, p_redban2=jayce, p_redban3=leblanc, p_redban4=jinx, p_redban5=ezreal
, d_bluepic1=케넨, d_bluepic2=리 신,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카이사,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ennen, p_bluepic2=leeSin, p_bluepic3=ryze, p_bluepic4=kaisa, p_bluepic5=leona
, d_redpic1=탐 켄치, d_redpic2=자르반 4세, d_redpic3=아칼리,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tahmKench, p_redpic2=jarvanIV, p_redpic3=akali, p_redpic4=aphelios, p_redpic5=thresh)]




3.2. 2경기: 일본 vs 중국[편집]


예선 2경기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2패결과1승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일본, redteam=중국
, d_blueban1=니달리, d_blueban2=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쓰레쉬, d_blueban5=브라움
, p_blueban1=nidalee, p_blueban2=jayce, p_blueban3=leblanc, p_blueban4=thresh, p_blueban5=braum
, d_redban1=레넥톤, d_redban2=자르반 4세, d_redban3=아무무, d_red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renekton, p_redban2=jarvanIV, p_redban3=amumu, p_redban4=rakan, p_redban5=leona
, d_bluepic1=카밀, d_bluepic2=리 신, d_bluepic3=갈리오,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유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camille, p_bluepic2=leeSin, p_bluepic3=galio, p_bluepic4=ezreal, p_bluepic5=yuumi
, d_redpic1=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라이즈, d_redpic4=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트런들
, p_redpic1=lillia, p_redpic2=xinZhao, p_redpic3=ryze, p_redpic4=vayne, p_redpic5=trundle)]




3.3. 3경기: 중국 vs 대한민국[편집]


예선 3경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승결과1승 1패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중국, redteam=대한민국
, d_blueban1=레넥톤, d_blueban2=케넨, d_blue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카밀, d_blueban5=트위스티드 페이트
, p_blueban1=renekton, p_blueban2=kennen, p_blueban3=jayce, p_blueban4=camille, p_blueban5=twistedFate
, d_redban1=리 신, d_redban2=트런들, d_redban3=라이즈, d_redban4=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직스
, p_redban1=leeSin, p_redban2=trundle, p_redban3=ryze, p_redban4=varus, p_redban5=ziggs
, d_bluepic1=그레이브즈, d_bluepic2=신 짜오, d_blue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신드라,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graves, p_bluepic2=xinZhao, p_bluepic3=leblanc, p_bluepic4=syndra, p_bluepic5=leona
, d_redpic1=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올라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아펠리오스, d_redpic5=브라움(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nar, p_redpic2=olaf, p_redpic3=sylas, p_redpic4=aphelios, p_redpic5=braum)]




3.4. 4경기: 중국 vs 일본[편집]


예선 3경기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3승결과3패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중국, redteam=일본
, d_blueban1=, d_blueban2=, d_blueban3=, d_blueban4=, d_blueban5=
, p_blueban1=, p_blueban2=, p_blueban3=, p_blueban4=, p_blueban5=
, d_redban1=, d_redban2=, d_redban3=, d_redban4=, d_redban5=
, p_redban1=, p_redban2=, p_redban3=, p_redban4=, p_redban5=
, d_bluepic1=, d_bluepic2=, d_bluepic3=, d_bluepic4=, d_bluepic5=
, p_bluepic1=, p_bluepic2=, p_bluepic3=, p_bluepic4=, p_bluepic5=
, d_redpic1=, d_redpic2=, d_redpic3=, d_redpic4=, d_redpic5=
, p_redpic1=, p_redpic2=, p_redpic3=, p_redpic4=, p_redpic5=)]




3.5. 5경기: 대한민국 vs 중국[편집]


예선 5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1승 2패결과4승
결승전 진출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대한민국, redteam=중국
, d_blueban1=, d_blueban2=, d_blueban3=, d_blueban4=, d_blueban5=
, p_blueban1=, p_blueban2=, p_blueban3=, p_blueban4=, p_blueban5=
, d_redban1=, d_redban2=, d_redban3=, d_redban4=, d_redban5=
, p_redban1=, p_redban2=, p_redban3=, p_redban4=, p_redban5=
, d_bluepic1=, d_bluepic2=, d_bluepic3=, d_bluepic4=, d_bluepic5=
, p_bluepic1=, p_bluepic2=, p_bluepic3=, p_bluepic4=, p_bluepic5=
, d_redpic1=, d_redpic2=, d_redpic3=, d_redpic4=, d_redpic5=
, p_redpic1=, p_redpic2=, p_redpic3=, p_redpic4=, p_redpic5=)]




3.6. 6경기: 일본 vs 대한민국[편집]


예선 3경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2승 2패결과4패
결승전 진출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일본, redteam=대한민국
, d_blueban1=, d_blueban2=, d_blueban3=, d_blueban4=, d_blueban5=
, p_blueban1=, p_blueban2=, p_blueban3=, p_blueban4=, p_blueban5=
, d_redban1=, d_redban2=, d_redban3=, d_redban4=, d_redban5=
, p_redban1=, p_redban2=, p_redban3=, p_redban4=, p_redban5=
, d_bluepic1=, d_bluepic2=, d_bluepic3=, d_bluepic4=, d_bluepic5=
, p_bluepic1=, p_bluepic2=, p_bluepic3=, p_bluepic4=, p_bluepic5=
, d_redpic1=, d_redpic2=, d_redpic3=, d_redpic4=, d_redpic5=
, p_redpic1=, p_redpic2=, p_redpic3=, p_redpic4=, p_redpic5=)]




4. 결승[편집]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결승
중국13
파일:중국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준우승결과우승

4.1. 1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대한민국, redteam=중국
, d_blueban1=리 신, d_blueban2=케넨, d_blueban3=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아지르
, p_blueban1=leeSin, p_blueban2=kennen, p_blueban3=leona, p_blueban4=jayce, p_blueban5=azir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이렐리아, d_redban4=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thresh, p_redban2=leblanc, p_redban3=irelia, p_redban4=nautilus, p_redban5=vayne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니달리,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사미라, d_bluepic5=아무무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nidalee, p_bluepic3=ryze, p_bluepic4=samira, p_bluepic5=amumu
, d_redpic1=그레이브즈,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신드라, d_redpic4=직스, d_redpic5=트런들
, p_redpic1=graves, p_redpic2=xinZhao, p_redpic3=syndra, p_redpic4=ziggs, p_redpic5=trundle)]




서폿 아무무가 나오고, 중국은 또 한 번 탑 그레이브즈를 꺼냈다.

예선과는 다르게 한국이 리드하며 경기를 풀어나갔지만, 아무무가 그야말로 무지성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이니시로 하드 쓰로잉을 무려 3번이나 하고 그때마다 핵심 딜러인 사미라가 빨려들어가 죽으면서 게임이 계속 비벼졌고 결국 원딜이 펜타킬을 먹고도 게임을 지고 말았다. 바텀 듀오에 가려져서 그렇지 라이즈도 한타에서 엄청난 이득을 거두고도 생각 없이 미드로 돌아갔다가 죽는다든지 궁, 텔 위치를 무슨 레넥톤마냥 너무 깊숙히 잡았다가 죽는 등 패배에 큰 지분을 차지했다.

4.2. 2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대한민국, redteam=중국
, d_blueban1=리 신, d_blueban2=케넨, d_blueban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레넥톤, d_blueban5=그레이브즈
, p_blueban1=leeSin, p_blueban2=kennen, p_blueban3=leblanc, p_blueban4=renekton, p_blueban5=graves
, d_redban1=아무무, d_redban2=니달리, d_redban3=이렐리아, d_redban4=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amumu, p_redban2=nidalee, p_redban3=irelia, p_redban4=vayne, p_redban5=nautilus
, d_bluepic1=카밀, d_bluepic2=자르반 4세,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제라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camille, p_bluepic2=jarvanIV, p_bluepic3=ryze, p_bluepic4=xerath, p_bluepic5=pyke
, d_redpic1=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직스, d_redpic5=트런들
, p_redpic1=lillia, p_redpic2=xinZhao, p_redpic3=lucian, p_redpic4=ziggs, p_redpic5=trundle)]




한국이 이번에는 중국의 직스-트런들 바텀 듀오에 제라스-파이크 듀오로 대항했다.

1세트처럼 한국이 전체적으로 게임을 주도하다가도 괜한 플레이, 실수로 흐름을 내주고 조합의 차이가 갈수록 드러나서 은근슬쩍 불리해지는 그림이 그려졌다. 특히 투자를 많이 받았던 카밀이 종종 던졌고, 자르반도 어설프게 시야를 잡으려다 손해를 자초하는 안 좋은 모습이 계속 나왔다. 그러나 장로 앞의 한타에서 중국의 핵심 딜러인 루시안이 순간적으로 스킬을 너무 많이 맞아서 뭘 해보지도 못하고 죽었고, 진퇴양난의 진영에 몰린 중국을 한국이 싹 쓸어먹고 게임을 끝내며 대 중국전 첫 승을 신고했다.

4.3. 3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중국, redteam=대한민국
, d_blueban1=니달리, d_blueban2=이렐리아, d_blueban3=카밀, d_blueban4=이즈리얼, d_blueban5=아펠리오스
, p_blueban1=nidalee, p_blueban2=irelia, p_blueban3=camille, p_blueban4=ezreal, p_blueban5=aphelios
, d_redban1=리 신, d_redban2=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그레이브즈, d_redban4=직스, d_redban5=바루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leeSin, p_redban2=leblanc, p_redban3=graves, p_redban4=ziggs, p_redban5=varus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신 짜오, d_bluepic3=라이즈, d_bluepic4=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렐(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xinZhao, p_bluepic3=ryze, p_bluepic4=vayne, p_bluepic5=rell
, d_redpic1=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트런들,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사미라,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wukong, p_redpic2=trundle, p_redpic3=azir, p_redpic4=samira, p_redpic5=leona)]





강승현 : 이게 아무래도 한중전이다보니까 저희가 한국 친화적으로 중계할 수밖에 없는 부분도 있는데, 이번 경기는요 그런 거 빼고 봐도 중국팀이 너무 불리해요.


한국의 플라잉 사미라와 중국의 솔랭 우리팀 베인의 차이가 엄청나게 심했던 경기. 베인이 초반부터 실책으로 스펠을 소모한 결과로 연속 데스를 기록했는데, 중국은 어떻게든 베인을 살려보려고 계속 바텀에 투자하지만 이 투자가 족족 사미라의 배에 들어가면서 바텀 차이를 겉잡을 수가 없게 된다. 이 경기에서 사미라는 1킬, 더블 킬, 트리플 킬, 쿼드라 킬, 펜타 킬까지 한 번 이상씩 다 먹어 봤다.

미드 정글 듀오도 여기저기 움직이면서 조연의 역할을 잘 해냈고, 오공 vs 제이스라는 힘든 상성으로 플레이했음에도 탑 또한 1렙 매복을 성공시키는 것부터 여러가지로 기분 좋게 플레이했다. 결과적으로 압승에 가까운 승리를 따내며 중국을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 데 성공한다.

여담이지만 앞서 엔비의 쿼드라킬 직후 리플레이와 중계화면이 반대로 송출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4.4. 4세트[편집]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대한민국, redteam=중국
, d_blueban1=리 신, d_blueban2=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그레이브즈, d_blueban4=신드라, d_blueban5=라이즈
, p_blueban1=leeSin, p_blueban2=leblanc, p_blueban3=graves, p_blueban4=syndra, p_blueban5=ryze
, d_redban1=이렐리아, d_redban2=니달리, d_redban3=사미라, d_redban4=아펠리오스, d_redban5=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irelia, p_redban2=nidalee, p_redban3=samira, p_redban4=aphelios, p_redban5=vayne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트런들,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trundle, p_bluepic3=azir, p_bluepic4=jhin, p_bluepic5=leona
, d_redpic1=케넨,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브라움(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ennen, p_redpic2=xinZhao, p_redpic3=orianna, p_redpic4=ezreal, p_redpic5=braum)]




코너에 몰린 중국은 오리아나, 이즈리얼, 브라움으로 후반을 보며 드러눕기를 선택한다. 그러면서 그나마 라인전이 비슷하고 갱킹가기도 쉬운 탑 쪽을 계속 바라보는데, 신 짜오는 초반 카정이나 설계에 연달아 실패하면서 상당히 썩어버리고, 그나마 전령에서 한 번 크게 득점하지만 탑에서 또 한 번 셋이서 설계해보려다가 2번은 안 당한다고 말하는 듯한 한국의 반격에 벌어놓은 것을 거의 잃고 만다. 또한 미드에서 아지르가 오리아나를 계속 퍼올리면서 점멸을 빼거나 죽이며 이득을 본다.

지역 장악 능력이 뛰어난 트런들, 아지르, 진을 등에 업고 중국이 말릴 수 없었던 제이스가 포킹을 하기 시작하니 라인 클리어를 망한 오리아나 혼자 해야 하는 중국의 조합은 힘을 발휘할 수 없었고, 유일한 한타 변수일 케넨조차 계속 마크당해 힘을 쓰지 못했다. 오히려 아지르가 적재적소에 황제의 진영을 적중시킨 덕분에 한타를 연달아 한국이 승리하며 3:1로 우승을 가져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3:56:53에 나무위키 2021 한중일 e스포츠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