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예선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1. 개요
2. 조 추첨
2.1. 포트
3. 예선 결과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3.5. E조
3.6. F조
3.7. G조
3.8. H조
3.9. I조
3.10. J조
3.11. 조 2위간 순위



1. 개요[편집]


이 대회부터 예선을 서아시아와 동아시아로 지역을 분리해 치르지 않는다. AFC 47개국 중에서 44개국이 출전하며, 우즈베키스탄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하지만 예선에 참가한다. 예선 조 추첨은 2022년 5월 24일에 시행되었다. 직전 대회인 2018 AFC U-19 챔피언십 인도네시아 본선 성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시드를 구분하였다.


2. 조 추첨[편집]





2.1. 포트[편집]


  • (*) 본래 이라크가 H조의 개최국이였으나, 조추첨 직후에 안전상의 문제로 개최국이 쿠웨이트로 변경되었다.


3. 예선 결과[편집]


예선은 총 10개 조(A~J조)로 편성된다. A~D조는 5개국으로 E~J조는 4개국으로 각각 구성된다.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하며, 각 조 2위는 10개 팀 중에서 상위 5개 팀에게 본선 진출권을 부여한다. 승점이 같을 경우, 승자승 원칙을 따른다.


3.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 (H)3300170+179본선 진출
2파일:중국 국기.svg중국320182+66
3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310248-43탈락
4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3003019-19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Q)본선 개최국

개최지: 사우디아라비아 담맘, 코바르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0.18:15우즈베키스탄7 : 0몰디브프린스 사우드 빈 잘라위 스타디움[1]
21:30미얀마1 : 3중국
2022. 09. 12.18:15우즈베키스탄3 : 0미얀마
21:30몰디브0 : 11사우디아라비아
2022. 09. 14.18:15사우디아라비아1 : 2우즈베키스탄
21:30중국5 : 0몰디브
2022. 09. 16.18:15중국1 : 2우즈베키스탄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2]
21:30미얀마0 : 5사우디아라비아프린스 사우드 빈 잘라위 스타디움
2022. 09. 18.21:00몰디브0 : 3미얀마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21:00사우디아라비아1 : 0중국프린스 사우드 빈 잘라위 스타디움
우즈베키스탄은 2023 AFC U-20 아시안컵을 개최하여 자동으로 본선 진출을 확정하였지만 예선에 출전한다. 따라서 예선 성적과 무관하게 이미 본선 진출을 확정하였다. 참고로 우즈베키스탄은 4전 전승을 기록했다. 그리고 우즈베키스탄이 개최국이 아니였다면 중국이 3위로 탈락, 사우디가 2위 중에서 압도적인 득실차로 본선에 진출하는 상황이 될 것이었다.


3.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4400141+1312본선 진출
2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 (H)421183+57[A]탈락
3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421154+17[A]
4파일:부탄 국기.svg부탄4103410-63
5파일:네팔 국기.svg네팔4004114-130

개최지: 바레인 아라드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0.18:00부탄2 : 0네팔알 무하라크 스타디움
21:00방글라데시0 : 0바레인
2022. 09. 12.18:00부탄1 : 2방글라데시
21:00네팔1 : 3카타르
2022. 09. 14.18:00카타르6 : 0부탄
21:00바레인6 : 0네팔
2022. 09. 16.18:00방글라데시0 : 3카타르
21:00바레인2 : 1부탄
2022. 09. 18.18:00네팔0 : 3방글라데시
21:00카타르2 : 0바레인


3.3. C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4400220+2212본선 진출
2파일:예멘 국기.svg예멘4211145+97[B]탈락
3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4211810-27[B]
4파일:라오스 국기.svg라오스 (H)410347-33
5파일:괌 기.svg4004127-260

개최지: 라오스 비엔티안
경기일(UTC+7)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0.16:00팔레스타인2 : 2예멘뉴 라오스 국립 경기장
19:000 : 3라오스
2022. 09. 12.16:000 : 5팔레스타인
19:00라오스0 : 4일본
2022. 09. 14.16:00일본9 : 0
19:00예멘2 : 1라오스
2022. 09. 16.16:00팔레스타인0 : 8일본
19:00예멘10 : 1
2022. 09. 18.16:00일본1 : 0예멘
19:00라오스0 : 1팔레스타인


3.4. D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 (H)4310212+1910본선 진출
2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4301163+139
3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4211101+97탈락
4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410398+13
5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북마리아나 제도4004042-420

개최지: 요르단 암만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0.16:30시리아1 : 0대만페트라 스타디움
21:00북마리아나 제도0 : 7투르크메니스탄
2022. 09. 12.16:30북마리아나 제도0 : 10시리아
21:30투르크메니스탄1 : 3요르단
2022. 09. 14.16:30대만1 : 0투르크메니스탄
21:00요르단16 : 0북마리아나 제도
2022. 09. 16.16:30대만9 : 0북마리아나 제도
21:00시리아1 : 2요르단
2022. 09. 18.16:30투르크메니스탄1 : 4시리아
21:00요르단0 : 0대만


3.5. E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300192+179본선 진출
2파일:몽골 국기.svg몽골 (H)311178-14[C]탈락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311167-14[C]
4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3003015-150

개최지: 몽골 울란바토르
경기일(UTC+8)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4.12:30대한민국6 : 0스리랑카몽골축구연맹 축구 센터
17:00말레이시아1 : 1몽골
2022. 09. 16.12:30몽골0 : 7대한민국
17:00스리랑카0 : 3말레이시아
2022. 09. 18.12:30대한민국6 : 2말레이시아
17:00몽골6 : 0스리랑카


3.6. F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 (H)3300123+99본선 진출
2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201114+76
3파일:동티모르 국기.svg동티모르310229-73탈락
4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3003312-90

개최지: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경기일(UTC+7)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4.16:00베트남5 : 1홍콩겔로라 붕 토모 스타디움
20:00인도네시아4 : 0동티모르
2022. 09. 16.16:00동티모르0 : 4베트남
20:00홍콩1 : 5인도네시아
2022. 09. 18.16:00홍콩1 : 2동티모르
20:00인도네시아3 : 2베트남
인도네시아는 2023 FIFA U-20 월드컵을 개최하여 AFC U-20 아시안컵 예선에서 탈락하더라도 FIFA U-20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만약 인도네시아가 AFC U-20 아시안컵 본선에서 4강에 진출하면 8강에서 탈락한 4개 국가 중 상위 한 팀에게 FIFA U-20 월드컵 본선 진출권이 돌아간다.


3.7. G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오만 국기.svg오만 (H)320141+36[D]본선 진출
2파일:태국 국기.svg태국320163+36[D]탈락
3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10236-33
4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310214-33

개최지: 오만 살랄라
경기일(UTC+4)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4.17:00태국3 : 0아프가니스탄알사다 스타디움
20:45오만3 : 0필리핀
2022. 09. 16.17:00아프가니스탄1 : 0오만
20:45필리핀2 : 3태국
2022. 09. 18.17:00필리핀1 : 0아프가니스탄
20:45태국0 : 1오만


3.8. H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호주 국기.svg호주330092+79본선 진출
2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320163+36
3파일:인도 국기.svg인도310259-43탈락
4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 (H)300328-60
호주는 예선 개최국 이라크의 안전 문제로 기권 의사를 밝혔으나, 개최국이 쿠웨이트로 변경되면서 기권 의사를 철회하고 예선에 정상적으로 참가하기로 하였다. 예선 일정은 10월 14일부터 18일까지로 변경되었다.

개최지: 쿠웨이트 알파르와니야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10. 14.16:30이라크4 : 2인도알리 사바흐 알-살렘 경기장
19:30호주4 : 1쿠웨이트
2022. 10. 16.16:30인도1 : 4호주
19:30쿠웨이트0 : 2이라크
2022. 10. 18.16:30호주1 : 0이라크
19:30인도2 : 1쿠웨이트


3.9. I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 (H)321061+57본선 진출
2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320175+26탈락
3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302127-52
4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301224-21

개최지: 타지키스탄 두샨베
경기일(UTC+5)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4.17:00캄보디아0 : 1레바논파미르 스타디움
20:00타지키스탄0 : 0싱가포르
2022. 09. 16.17:00싱가포르1 : 1캄보디아
20:00레바논0 : 4타지키스탄
2022. 09. 18.17:00레바논6 : 1싱가포르
20:00타지키스탄2 : 1캄보디아


3.10. J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란 국기.svg이란3300110+119본선 진출
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 (H)320181+76
3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310254+13탈락
4파일:브루나이 국기.svg브루나이3003019-190

개최지: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경기일(UTC+6)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2. 09. 14.16:00아랍에미리트5 : 0브루나이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20:30이란1 : 0키르기스스탄
2022. 09. 16.16:00브루나이0 : 8이란
20:30키르기스스탄2 : 0아랍에미리트
2022. 09. 18.16:00아랍에미리트0 : 2이란
20:30키르기스스탄6 : 0브루나이


3.11. 조 2위간 순위[편집]


조 2위간 순위 결정표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조정 승점제외 국가
F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201114+76없음
J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 (H)320181+76
A파일:중국 국기.svg중국320182+66
H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320163+36[E]
D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320163+36[E]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북마리아나 제도
G파일:태국 국기.svg태국320163+36[E]없음
I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320175+26
B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 (H)311123-14파일:네팔 국기.svg네팔
C파일:예멘 국기.svg예멘31114404파일:괌 기.svg
E파일:몽골 국기.svg몽골 (H)311178-14없음
본선 진출 | 탈락
  • B, C, D조의 경우 5위와의 전적은 제외한다.
  • 승점이 같으면 골득실차-다득점-페어플레이 점수[3]-추첨 순으로 결정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2:09:20에 나무위키 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알 카디시야 FC 홈 구장[2] 알 에티파크 FC 홈 구장[A] A B 승자승 원칙에 따라 바레인-방글라데시간 승점이 같아 골득실차로 결정[B] A B 승자승 원칙에 따라 예멘-팔레스타인간 승점이 같아 골득실차로 결정[C] A B 승자승 원칙에 따라 몽골-말레이시아간 승점, 골득실차가 같아 다득점으로 결정[D] A B 승자승 원칙에 따라 오만-태국간 승점으로 결정[E] A B C 골득실차, 다득점이 같아 페어플레이 점수로 결정되었다. 이라크가 -5, 시리아가 -8, 태국이 -10점이여서 점수가 제일 낮은 태국이 탈락했다.[3] 경고: -1점, 2회 연속 경고: -3점, 퇴장: -3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