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MINUTES MISSIONS/기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30 MINUTES MISSIONS

1. 개요
2. 지구연합군
2.1. 알토
2.1.1. 알토 그라운드 타입
2.1.2. 알토 플라이트 타입
2.1.3. 알토 X777 부대 소속기
2.2. 라비오트
2.3. 에스포지토
2.3.1. 에스포지토 Θ(세타)
2.3.2. 에스포지토 Γ(감마)
2.4. 포레스티에리
2.4.1. 포레스티에리 03
2.5. 프로베델
2.5.1. 프로베델 타입 COMMAND
2.6. 바스키로트
3. 바이론군
3.1. 포르타노바
3.1.1. 포르타노바 스페이스 타입
3.1.2. 포르타노바 마린 타입
3.1.3. 포르타노바 특수부대 소속기
3.2. 시엘노바
3.3. 가르도노바
3.4. 레베르노바
3.4.1. 레베르노바 육전 강화 사양
3.5. 볼파노바
4. 맥시온군
4.1. 스피나티오
4.1.1. 아미 타입
4.1.2. 전국 타입
4.1.3. 닌자 타입
4.1.4. 나이트 타입
4.1.5. 장군 타입
4.2. 스피나티아
4.2.1. 어쌔신 타입
4.2.2. 팬서 타입
4.2.3. 커맨드 타입
4.2.4. 리퍼 타입
4.3. 아체르비



1. 개요[편집]


30 MINUTES MISSIONS의 기체들을 설명하는 문서.

2. 지구연합군[편집]



2.1. 알토[편집]


파일:30mm alto.jpg

스탠더드 에그자 맥스라면 내가 또 한 스탠더드 하지!

시리즈 최초로 발매된 에그자 맥스.
캐치프레이즈에 걸맞게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계열 양산기 스러우면서도 적당히 히로익한 포인트를 적용한 기체이다. 이 제품의 구조나 체형 등이 뒤이어 나올 라인업의 기초가 되었다고 볼 수 있는 상징적인 모델. 기본 무장은 서브 머신건[1]과 코어 유닛[2].

참고로 전용 옵션 파츠들 중 지휘관기 아머를 장착하면 이 로봇과 비슷한 형상이 된다.

2.1.1. 알토 그라운드 타입[편집]


파일:30mm alto ground type.jpg
알토의 지상전 특화 바리에이션으로 외장 장갑을 증설하고 백팩 혹은 발바닥에 부착할 수 있는 전차 궤도 파츠와 전용 무기인 바주카를 추가로 장비했다.

궤도 파츠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지원 차량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

2.1.2. 알토 플라이트 타입[편집]


파일:30mm alto flight type.jpg
알토의 공중전 특화 바리에이션으로 하체 파츠와 일부 장갑 파츠들을 비행에 적합한 형태로 교체하고 에그자 비클 에어 파이터 기반의 비행용 백팩을 추가로 장비했다. 백팩에 장비하는 캐논은 손에 드는 라이플로도 조립 가능하다.

기본형 알토의 하체 파츠도 그대로 들어 있기에 하체 파츠만 기본형 알토인 상태로도 조립 가능하며, 접지성 등의 측면에선 이쪽으로 조립하는 것도 이득이 있다.

2.1.3. 알토 X777 부대 소속기[편집]




2.2. 라비오트[편집]


파일:30mm rabiot.jpg

매시브한 에그자 맥스가 있는 한, 절대 질 리가 없다!

알토를 이은 세컨드 주역메카 포지션의 4세대 에그자 맥스.
알토 계열 제품이나 포르타노바 계열 제품에 비해 키가 커진 것, 3mm 조인트 외에도 C형 파츠 조인트가 어깨와 다리에 추가된 것이 특징. 외형상으로는 어깨 장갑이 상당히 크고 다리도 굵직하며, 특히 허벅지가 매우 두껍다. 기본 무장은 빔 샷건[3]이고, 그 외에도 전용 옵션 웨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근접전용 자마다르와 버스터 소드도 사용할 수 있다.


2.3. 에스포지토[편집]


파일:30mm espossito alpha.jpg파일:30mm espossito beta.jpg
에스포지토 α(알파)에스포지토 β(베타)
지구연합군의 신 에그자 맥스로 30MM시리즈 최초로 전투기 형태로 변형하는 가변 기구를 갖추고 있다.
기본 무장은 더블 배럴 라이플(알파), 빔 라이플 2정(베타).

전투기 형태에서는 안정적으로 고정이 잘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제품에서 30mm 두 개를 연결하는 파츠를 가져올 수 있으면 고정이 가능하지만 단독으로는 안정적으로 전시하기도 힘들 정도인 것은 아쉬운 점이다.

2.3.1. 에스포지토 Θ(세타)[편집]



2.3.2. 에스포지토 Γ(감마)[편집]




2.4. 포레스티에리[편집]


파일:30mm forestieri 01.jpg파일:30mm forestieri 02.jpg
포레스티에리 01포레스티에리 02
기존의 에그자 맥스보다 소형화된 에그자 맥스. 포레스티에리 01은 유인기인 포레스티에리 02를 중심으로 따르는 무인기라는 설정이고, 포레스티에리 02는 무인기인 01을 통솔하는 유인기라는 설정이다. 기본 무장은 빔 라이플과 플라즈마 빔 소드.

맥시온군 에그자 맥스 이외의 에그자 맥스로선 최초로 맥시온군의 관절을 사용한다. 설정상 맥시온군에게서 노획한 기술을 역공학으로 복제해서 활용했다는 설정이 붙어 있다. 실제 제품에서도 맥시온군의 관절을 사용한 덕에 지구연합군 에그자 맥스 중에서는 상박 롤 가동이 가장 뛰어난 편.

2.4.1. 포레스티에리 03[편집]




2.5. 프로베델[편집]


파일:30mm provedel type REX01.jpg

전설의 대형 에그자 맥스가 여기에 강림


에그자 맥스들을 능가하는 슈퍼 에그자 맥스

기존의 에그자 맥스보다 더 높은 체급인 슈퍼 에그자 맥스로, 지금까지 나온 에그자 맥스 중 가장 거대한 크기를 자랑한다. 기존의 에그자 맥스를 탑승시키는 라이드 온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며, 다른 에그제 맥스를 탑승시킬 수 있는 탑승 형태와 거대한 메카닉 공룡인 REX 형태로 변형하는 2가지의 가변 기능이 있다. 기본 무장은 양팔의 하드포인트에 장착할 수 있는 헤비 빔 매그넘과 날카로운 형상의 양손 클로, 꼬리 끝에 위치한 대형 클로. 그 외에도 커스터마이즈 웨폰즈 헤비 웨폰 1의 대형 실드와 대검, 빔 캐논과 12연장 미사일 포드도 장비할 수 있다.

커다란 덩치를 지탱하기 위해 기존의 C형 관절이 아닌 새로운 관절을 사용한다.

2.5.1. 프로베델 타입 COMMAND[편집]


파일:30mm provedel type command.jpg

커맨드 프로베델의 힘을 무시하지 마라!!!!!!

프로베델의 지휘관 겸 에이스용 배리에이션. 일반형 프로베델을 지휘한다.


2.6. 바스키로트[편집]


파일:30mm vaskyrot.png

얘들아, 반갑다. 난 2세대 에그자 맥스이자 너희의 선배인 바스키로트.

설정상 알토 이전에 생산되었다던 제2세대 에그자 맥스.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프론트 미션 시리즈반처아머드 코어 시리즈GAN01-SS-L·BASHO 등을 연상시키는 매우 육중한 스타일이다.

크기는 알토와 비슷한 크기이지만 전용 로이로이와 많은 개조 조인트, 그리고 백팩의 서브암 등이 있으며 새로운 손 파츠나 대형 실드와 중형 총기들이 기본으로 있다. 기본 무장은 전용 어썰트 라이플과 실드. 그 외에도 클로 형태의 손과 손을 대체하는 미사일 포드, 중후한 형상의 다리 파츠가 포함된 옵션 파츠 세트 16 암 유닛 / 레그 유닛 1이 발매될 예정.

컬러 베리에이션은 그레이와 브라운. 역시 신제품이라는 특성상 기체 베리에이션은 아직 전개되지 않은 상태다.


3. 바이론군[편집]



3.1. 포르타노바[편집]


파일:30mm fortanova.jpg
알토와 함께 출시된, 기본형이라 볼 수 있는 모델.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자쿠 계열 양산기를 연상시키는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메인 카메라도 자쿠스러운 모노 아이이고 머리의 형상도 전체적으로 슈탈헬름을 쓴 것 같은 모양새이다. 알토와 더불어 이후 전개되는 라인업의 기초가 된 모델이다. 기본 무장은 라이플[4]과 너클[5].

3.1.1. 포르타노바 스페이스 타입[편집]


파일:30mm fortanova space type.jpg
포르타노바의 우주전 특화 바리에이션으로 헤드의 바이저와 다리 파츠, 대형 백팩 등을 우주전에 적합한 형태로 교체하고 암 유닛 라이플과 대형 클로를 장비했다.

기본형 포르타노바의 하체 파츠도 그대로 들어 있기에 하체 파츠만 기본형 포르타노바인 상태로도 조립 가능하다.

반다이제 로봇 프라모델에서는 보기 힘든 지행형의 2중 역관절 다리를 가진 것이 특징. 또한 2기 분의 파츠를 조합하면 켄타우로스 형태의 4족 보행 모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도 특징이다. 역관절 형태의 다리 덕분인지 30MM 제품군 중에서는 키가 꽤 큰 편이다.

앞서 말한 대로 반다이제 로봇 프라모델에서는 흔치 않은 지행형의 2중 역관절 다리를 가진 것이 최대의 개성이지만, 아쉽게도 이 역관절 다리의 관절 강도가 그다지 좋지 않아 접지와 포징에 지장을 준다. 전시할 때 무게중심을 신경 써 주지 않으면 균형을 잡지 못해서 상당히 잘 넘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이 제품을 통해 쌓은 경험이 반영되었는지 이후 발매된 경계전기 시리즈 관련 킷들에서는 역시 지행형의 2중 역관절 다리를 채용했음에도 관절 강도가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3.1.2. 포르타노바 마린 타입[편집]


파일:30mm fortanova marine type.webp
포르타노바의 수중전 특화 바리에이션으로 수중전에 적합한 내압 바이저와 수중용 탱크, 파일벙커와 클로가 내장된 앵커 클로를 장비했다.

3.1.3. 포르타노바 특수부대 소속기[편집]




3.2. 시엘노바[편집]


파일:30mm cielnova.jpg

시엘노바가 있다면 파워는 거의 무량대수에 가깝다!

라비오트와 마찬가지로 알토 계열 제품이나 포르타노바 계열 제품에 비해 키가 커진 것, 3mm 조인트 외에도 C형 파츠 조인트가 어깨와 다리에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리가 전반적으로 굉장히 굵직해져서 건담 시리즈로 치자면 계열 MS 같은 느낌이 되었고(그렇기에 스피나티오가 발매되기 이전까지는 30MM 제품군 중 전체적인 덩치가 가장 큼직한 제품이기도 했었다.), 백팩에는 원반형 레이돔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 되어 있다. 기본 무장은 핸드건[6]. 그 외에도 전용 옵션 웨폰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대형 배틀액스와 소드 메이스, 쿠나이 등도 장비할 수 있다.

30MM 제품군 중에서도 유독 관절 강도의 부족이 자주 지적되는 제품이기도 하다. HGUC 구스타프 칼의 경우처럼, 커다란 덩치를 지탱하기에는 관절이 조금 부실한 감이 있다는 것. 이러한 관절 강도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은 이후에 출시된 레베르노바로도 이어지고 말았다.


3.3. 가르도노바[편집]


파일:30mm gardonova.jpg
바이런군의 신형 에그자 맥스로, 하단의 레베르노바가 자쿠 혹은 이라면 이쪽은 곡그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
기본 무장은 서브 머신건[7]과 양손 클로.


3.4. 레베르노바[편집]


파일:30mm revernova.jpg
바이런군의 신형 에그자 맥스로, 고기동 가변형의 에스포지트와는 반대로 중장갑형의 자쿠을 생각나는 에그자 맥스이다. 특히 하반신의 디자인이 완전히 돔 그 자체이며, 머리 부분은 스코프 독이나 데미 트레이너를 연상시키는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가르도노바와 합체할 수 있는 기믹이 있다. 기본 무장은 고출력 라이플[8].

그러나 관절 구조가 그대로라서 넓고 두툼해진 다리 파츠의 무릎 C형 관절 보강이 반드시 필요할 정도로 시엘노바 때부터 지적된 조립 초기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그나마 넓은 발바닥이 접지력이 좋아서 보강 없이도 두 발로 직립에 지장은 없는 편. 그리고 심플한 돔 형태의 머리는 좌우 회전 이외엔 가동이 안되는 구조라서 포징할 때 시선을 조정하기 다소 어렵다는 점도 감점 요소.

3.4.1. 레베르노바 육전 강화 사양[편집]


파일:30mm revernova enhanced ground type.jpg
기존 레베르노바에 다양한 신규 파츠들을 증설하고 기존의 바이런군 소속 에그자 맥스들이 사용하던 여러 파츠들과 무장들을 장착해 디자인부터 컬러링까지 을 그대로 오마주한 에그자 맥스.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판으로 출시되었다.


3.5. 볼파노바[편집]


파일:30mm volpanova bike.jpg파일:30mm volpanova tank.jpg
볼파노바 쿼드바이크 버전볼파노바 탱크 버전
바이런군 최초의 가변형 에그자맥스로, 전투기로 가변하는 에스포지트와는 다르게 4륜 바이크나 탱크와 같은 지상 차량으로 가변한다. 쿼드바이크 버전은 바주카만 장비하고 있고, 탱크 버전은 바주카 외에 추가로 팔에 장착할 수 있는 탱크의 포탑 형상 주포를 장비하고 있다.

디자인이 매우 개성적이고 가변 기믹도 충실하지만, 인간형 상태에서는 묘하게 포징이 쉽지 않은 게 단점으로 꼽힌다. 가변 기믹의 특성상 백팩 쪽으로 무게중심이 쏠려 있기에 스탠딩 난이도가 높다.

4. 맥시온군[편집]



4.1. 스피나티오[편집]


파일:156_4594_o_1f8et72cvj0n1fo8112418ok1ek32i.jpg

제3세력인 맥시온군의 양산기이자 맥시온의 스탠더드 기체. 바이저 내부의 센서가 알토나 포르타노바 등과는 달리 모노아이가 아닌 듀얼아이로 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체형 자체도 알토나 포르타노바 등에 비해서 보다 인간의 체형에 가까운 것이 되어 있다.

라비오트 계열 제품이나 시엘노바 계열 제품과 마찬가지로 알토 계열 제품이나 포르타노바 계열 제품에 비해 키가 크며(라비오트나 시엘노바보다도 대형의 덩치로, 평균적인 HG 등급 건프라과 같은 크기다.), 더불어 새로운 규격의 관절이 도입되었다.

관절 구조가 바뀜에 따라 가동성이 향상되었고, 특히 상박 롤 가동이 보다 용이해졌다. 30MM 제품군은 보통 상박 롤 가동을 하려 하면 어깨 관절 블록에 과도한 부하가 실려 관절 블록이 분해되려 하는 현상이 나타나곤 해서 상박 롤 가동을 하기가 조금 부담스러운 면이 있었는데, 관절 구조가 재검토된 스피나티오에서는 이 문제가 해소되었다.

4.1.1. 아미 타입[편집]



4.1.2. 전국 타입[편집]



4.1.3. 닌자 타입[편집]



4.1.4. 나이트 타입[편집]



4.1.5. 장군 타입[편집]




4.2. 스피나티아[편집]


파일:155_4496_s_ri3wddj8yjas0y1wnpknh1we841d.jpg

스피나티오를 소형화시킨 구조를 지니고 있는 여성형 양산기. 스피나티오가 그러했듯이 역시 알토나 포르타노바 등에 비해서 인간의 체형에 가까운 체형을 가진 제품으로, 페이 옌이나 노벨 건담 등을 생각하면 딱 맞다. 스피나티오에서 도입된 새로운 규격의 관절이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관절 구조는 기본적으로 스피나티오와 같다.

4.2.1. 어쌔신 타입[편집]



4.2.2. 팬서 타입[편집]



4.2.3. 커맨드 타입[편집]



4.2.4. 리퍼 타입[편집]




4.3. 아체르비[편집]


파일:153_5942_o_1hb0lbnn6hlh1t6018ta1jtn1rtt23.jpg

맥시온군에서 만들어진 에그자 맥스로, 스피나티아보다 더 여성적인 디자인을 가졌으며, 얼굴의 디자인도 30MS처럼 인간에 가까운 디자인이다. 팔다리도 관절 구조에서 스피나티오의 설계가 유용된 스피나티아와는 달리 30MS 표준 체형을 응용한 설계가 도입되어 있어, 아래 리스트의 관절이 개조 없이 30MS와 완전 호환된다.

  • 페이스 파츠: 헤드 유닛 안쪽의 뼈대 부품인 E2③ 파츠가 30MS의 페이스 파츠와 같은 규격이다.
  • 어깨 관절부: 흉부 파츠가 리시에타의 설계를 유용해 30MS의 어깨 관절부와 같은 규격이다.
  • 허벅지 연결부: 허벅지가 30MS와 같이 링 파츠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연결되게 되어 있고, 상부 조인트인 A2⑭ 파츠가 30MS의 다리 파츠와 같은 규격이다.

[1]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로 어썰트 라이플 또는 스나이퍼 라이플로 환장할 수 있다.[2] 너클 가드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그립형 장비로,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로 장검, 단검, 토마호크 등의 근접 무장으로 환장할 수 있다.[3]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로 유탄발사기 장착혐 빔 샷건, 건블레이드, 전기톱, 빔 바주카 등으로 환장할 수 있다.[4]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로 개틀링건과 헤비 빔 라이플로 환장할 수 있다.[5]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을 조합하는 것으로 장창, 쿠크리, 배틀액스, 단검 등으로 환장할 수 있다.[6] 전용 옵션 웨폰 세트의 파츠들과 조합하는 것으로 빔 개틀링 건과 스나이퍼 라이플 등으로 환장할 수 있다.[7] 커스터마이즈 웨폰즈 개틀링 유닛에도 동일한 무장 파츠가 포함되어 있다.[8] 커스터마이즈 웨폰즈 개틀링 유닛에도 동일한 무장 파츠가 포함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30 MINUTES MISSIONS 문서의 r4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30 MINUTES MISSIONS 문서의 r4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11 00:33:38에 나무위키 30 MINUTES MISSIONS/기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