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WWE/월드 챔피언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디자인을 공유하는 WWE의 폐지된 챔피언십에 대한 내용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폐지) 문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폐지)번 문단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폐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명칭만 같은 WWE의 챔피언십에 대한 내용은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문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번 문단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WCWChamp.png
마지막 챔피언크리스 제리코
챔피언 등극2001.12.09
WWF 벤전스(2001)
이전 챔피언더 락
소속 단체WCW
WWF
소속 브랜드-[1]
이전 타이틀 명칭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CW 챔피언십
월드 챔피언십
벨트 창설일1991년 1월 11일
벨트 폐지일2001년 12월 9일
【 기록 펼치기 · 접기 】
초대 챔피언릭 플레어
마지막 챔피언크리스 제리코
최다 획득 챔피언릭 플레어8회
최장기간 챔피언헐크 호건469일
최단기간 챔피언크리스 제리코
최고령 챔피언릭 플레어51세
최연소 챔피언자이언트23세[1]
최중량급 챔피언500 파운드
최경량급 챔피언데이빗 아퀘트150 파운드
[1] WWE에서는 랜디 오턴이 처음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올랐을 당시 기록이 최연소. 이때 랜디의 나이는 24세 137일. 자이언트는 23세 8개월.

1. 개요
2. 벨트 디자인들
3. 역대 챔피언 목록



1. 개요[편집]


일명 빅 골드 벨트.

1990년대 WWF와 함께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WCW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이다. WWF에 의해 WCW가 흡수된 이후, 타이틀 벨트와 함께 잠시 WWF에 귀속되었다.

본래는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의 역사를 계승했으며, 이후 WCW가 NWA를 사실상 흡수 한 이후, 독자적인 역사를 새로 써 나갔다.

WCW가 WWF에 인수된 이후 본래의 이름을 잃고 'WCW 챔피언십'으로, 나중엔 아예 '월드 챔피언십'이라고만 불리다 2001년 12월 9일 열린 벤전스 2001에서 WWF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이 되었다. 언디스퓨티드 챔피언들도 트리플 H가 2002년 4월 1일 RAW에서 새로운 언디스퓨티드 챔피언 벨트를 도입하기 전까지 계속 WCW 챔피언십 벨트를 가지고 다녔다.

이후 벨트는 한동안 놀다가 브랜드 분리 이후 RAW 단장 에릭 비숍에 의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WCW와 디자인이 같지만, WWE에서 사용된 벨트는 위쪽에 WWE 로고가 들어가 있다.


WCW가 막장화됐던 2000년엔 한 해에만 무려 19번이나 타이틀 주인이 바뀐데다가 숫자만 해도 10명의 선수가[2] 있었다. 동년도에 다섯 번밖에 안 바뀐 WWF 챔피언십과 대조적이다. 심지어 당시에는 애티튜드 시대라 챔피언이 많이 바뀌는 편이었는데도.. VACANT(공석)의 최고 전성기였다 카더라.


2. 벨트 디자인들[편집]


파일:attachment/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CW2.jpg
빅 골드 벨트를 사용하기 전의 벨트.[3]

파일:attachment/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WCW_Hogan.jpg
nWoWCW를 장악 한 이후 호건의 챔피언 벨트


3.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및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비고
1릭 플레어1회1991년 1월 11일 (171일)하우스 쇼[4]
-공석1991년 7월 1일[5]
2렉스 루거1회1991년 7월 14일 (230일)WCW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1991)[6]
3스팅1회1992년 2월 29일 (134일)WCW 수퍼브롤 2
4빅 밴 베이더1회1992년 7월 12일 (21일)WCW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1992)
5론 시몬스1회1992년 8월 2일 (150일)하우스 쇼[7]
6빅 밴 베이더2회1992년 12월 30일 (71일)하우스 쇼
7스팅2회1993년 3월 11일 (6일)하우스 쇼
8빅 밴 베이더3회1993년 3월 17일 (285일)하우스 쇼
9릭 플레어2회1993년 12월 27일 (111일)WCW 스타케이드(1993)
-공석1994년 4월 17일WCW 스프링 스탬피드(1994)[8]
10릭 플레어3회1994년 4월 21일 (87일)새러데이 나잇[9]
11헐크 호건1회1994년 7월 17일 (469일)WCW 배쉬 앳 더 비치(1994)
12자이언트1회1995년 10월 29일 (8일)WCW 할로윈 해벅(1995)
-공석1995년 11월 6일
13랜디 새비지1회1995년 11월 26일 (31일)WCW 월드 워 3(1995)[10]
14릭 플레어4회1995년 12월 27일 (26일)WCW 스타케이드(1995)
15랜디 새비지2회1996년 1월 22일 (20일)나이트로
16릭 플레어5회1996년 2월 11일 (71일)WCW 수퍼브롤 6
17자이언트2회1996년 4월 22일 (110일)나이트로
18할리우드 호건2회1996년 8월 10일 (359일)WCW 호그 와일드(1996)[11]
19렉스 루거2회1997년 8월 4일 (5일)나이트로
20할리우드 호건3회1997년 8월 9일 (141일)WCW 로드 와일드(1997)
21스팅3회1997년 12월 28일 (11일)WCW 스타케이드(1997)
-공석1998년 1월 8일[12]
22스팅4회1998년 2월 22일 (56일)WCW 수퍼브롤 8[13]
23랜디 새비지3회1998년 4월 19일 (1일)WCW 스프링 스탬피드(1998)
24할리우드 호건4회1998년 4월 20일 (77일)나이트로
25골드버그1회1998년 7월 6일 (174일)나이트로
26케빈 내시1회1998년 12월 27일 (8일)WCW 스타케이드(1998)[14]
27할리우드 호건5회1999년 1월 4일 (69일)나이트로[15]
28릭 플레어6회1999년 3월 14일 (28일)WCW 언센서드(1999)
29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1회1999년 4월 11일 (15일)WCW 스프링 스탬피드(1999)
30스팅5회1999년 4월 26일 (0일)나이트로
31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2회1999년 4월 26일 (13일)나이트로
32케빈 내시2회1999년 5월 9일 (63일)WCW 슬램보리(1999)
33랜디 새비지4회1999년 7월 11일 (1일)WCW 배쉬 앳 더 비치(1999)
34할리우드 호건6회1999년 7월 12일 (62일)나이트로
35스팅6회1999년 9월 12일 (43일)WCW 폴 브롤(1999)
-공석1999년 10월 25일[16]
36브렛 하트1회1999년 11월 21일 (29일)WCW 메이헴(1999)[17]
-공석1999년 12월 20일[18]
37브렛 하트2회1999년 12월 20일 (27일)나이트로[19]
-공석2000년 1월 16일[20]
38크리스 벤와1회2000년 1월 16일 (1일)WCW 솔드 아웃(2000)[21][22]
-공석2000년 1월 17일[23]
39시드 비시어스1회2000년 1월 24일 (1일)나이트로[24]
-공석2000년 1월 25일[25]
40케빈 내시3회2000년 1월 25일 (0일)썬더[26]
41시드 비시어스2회2000년 1월 25일 (76일)썬더[27]
-공석2000년 4월 10일[28]
42제프 제럿1회2000년 4월 16일 (8일)WCW 스프링 스탬피드(2000)[29]
43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3회2000년 4월 24일 (1일)나이트로
44데이빗 아퀘트1회2000년 4월 25일 (12일)썬더[30]
45제프 제럿2회2000년 5월 7일 (8일)WCW 슬램보리(2000)
46릭 플레어7회2000년 5월 15일 (7일)나이트로
-공석2000년 5월 22일[31]
47제프 제럿3회2000년 5월 22일 (1일)나이트로[32]
48케빈 내시4회2000년 5월 23일 (6일)썬더
49릭 플레어8회2000년 5월 29일 (0일)나이트로[33]
50제프 제럿4회2000년 5월 29일 (41일)나이트로
51부커 T1회2000년 7월 9일 (50일)WCW 배쉬 앳 더 비치(2000)
52케빈 내시5회2000년 8월 28일 (20일)나이트로
53부커 T2회2000년 9월 17일 (8일)WCW 폴 브롤(2000)
54빈스 루소1회2000년 9월 25일 (7일)나이트로[34]
-공석2000년 10월 2일[35]
55부커 T3회2000년 10월 2일 (55일)나이트로
56스캇 스타이너1회2000년 11월 26일 (120일)WCW 메이헴(2000)
57부커 T4회2001년 3월 26일 (120일)나이트로[36]
58커트 앵글1회2001년 7월 24일 (6일)WWF SMACKDOWN[37]
59부커 T5회2001년 7월 30일 (20일)WWF RAW IS WAR
60더 락1회2001년 8월 19일 (63일)WWF 섬머슬램(2001)
61크리스 제리코1회2001년 10월 21일 (15일)WWF 노 머시(2001)
62더 락2회2001년 11월 5일 (34일)WWF RAW
63크리스 제리코2회2001년 12월 9일WWF 벤전스(2001)
-폐지-2001년 12월 9일-[38]
이후의 기록에 대해서는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문서 참조.
  • 2000년 한 해에만 19번이나 바뀌었다.
[1] 당시에는 브랜드 분할이 되지 않았던 시절이다.[2] 심지어 선수가 아닌 빈스 루소나 데이빗 아퀘트가 따는 등...[3] 본래 빅 골드 벨트가 NWA 챔피언십 벨트와 WCW 챔피언십 벨트로서 동시에 사용됐으나, 릭 플레어가 벨트를 들고 WWF로 가버리는 통에 새로 사용하게 된 벨트이다. 이후 릭 플레어가 빅 골드 벨트를 가지고 만든 WCW 인터내셔널 챔피언십과 통합되면서 다시 빅 골드 벨트를 사용하게 된다.[4] 릭 플레어가 보유하고 있던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으로부터 역사가 분할되었다.[5] 릭 플레어가 WWF(현 WWE)로 이적함에 따라서 챔피언십은 공석이 된다.[6] 배리 위덤을 스틸 케이지 매치에서 이기고 타이틀을 차지.[7] 역사상 최초의 흑인 월드 챔피언.[8] 리키 스팀보트와 릭 플레어간의 챔피언십 매치에서 더블 핀폴이 나오면서 무승부 처리로 인해 타이틀을 공석으로 만든다.[9] 리키 스팀보트와의 리매치에서 승리[10] 배틀로얄에서 우승하여 타이틀을 차지.[11] nWo 벨트가 탄생한 그 PPV다.[12] 12월 29일에 박탈 된 내용이 1월 8일에 방영, 즉 스팅은 28일 경기 승리 후 실질적으론 타이틀을 하루만 보유했다.[13] 할리우드 호건과의 재경기에서 승리.[14] 스캇 홀의 도움으로 골드버그의 연승 행진을 무너뜨린 동시에 타이틀 획득.[15] Fingerpoke of doom 사건[16] WCW 할로윈 해벅(1999)에서 골드버그와의 경기 중 심판인 찰스 로빈슨을 공격 한 것에 대해 경기에 불만족을 가진 스팅이 타이틀을 반납하였다.[17] 크리스 벤와와의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승리.[18] WCW 스타케이드(1999)에서 골드버그와의 경기에 대한 논란 때문에 타이틀을 박탈당했다.[19] 골드버그와의 재경기에서 승리.[20] 브렛 하트의 뇌진탕 부상으로 인해 타이틀 반납.[21] 시드 비시어스와의 경기에서 승리.[22] WCW는 크리스 벤와의 첫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등극 기록을 말소시켰으나, 2001년 WWF가 WCW를 인수한 이후 WWF는 크리스 벤와의 첫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등극 기록을 복원시켰다.[23] WWF(현 WWE)와의 크리스 벤와의 소속에 대한 다툼으로 인해 타이틀이 박탈되었다.[24] 케빈 내시와의 경기에서 승리.[25] 커미셔너 역할을 겸하고 있던 케빈 내시의 횡포에 의해 박탈되었다.[26] 자신에게 타이틀을 수여하였다. 이는 WWE.com측의 실수에 의해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역사에서 제외되어있다.[27] 케빈 내시, 론 해리스와의 핸디캡 매치에서 내시를 탭아웃 시키고 타이틀을 차지하였다.[28] WCW 최악의 사건 중 하나인 WCW 리붓으로 인해 타이틀이 박탈되었다.[29]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를 이겼다.[30] WCW의 또다른 사고. 영화배우인 데이빗 아퀘트 본인은 빈스 루소를 설득하여 챔피언 등극을 취소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31] 빈스 루소가 타이틀을 박탈하였다[32] 빈스 루소가 수여했다.[33] 케빈 내시가 플레어에게 타이틀을 양도하였다.[34] WCW 최악의 사건 중 하나. 스틸 케이지 매치에서 승리하였다.[35] 빈스 루소는 자신이 레슬러가 아니기 때문에 타이틀을 반납하였다.[36] WCW 체제에서의 마지막 챔피언.[37] WWE 체제에서의 첫 챔피언.[38] 이후 WWF 챔피언십에 흡수되어 WWF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십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03:59:08에 나무위키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