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화산귀환)

덤프버전 :

구파일방(九派一幇)
종남파
무당파
개방
소림
해남파
천하검
종리곡

허도
풍영신개
법정
금양백
청성파
점창파
공동파
곤륜파
아미파
벽현
?
복마산인
종리형

?
관해



천우맹(天友盟)

[ 펼치기 · 접기 ]
정파
화산파
사천당가
남궁세가
개방
해남파
운암
독왕
당군악

단악검
남궁도위

홍대광
곽환소
사파
새외
기타
녹림칠십이채
남만야수궁
북해빙궁
유령문
녹림왕
임소병

맹소
설소백
유령귀수
도운찬

}}}



1. 개요
2. 상세
3. 무공
4. 구성원


1. 개요[편집]


웹소설 화산귀환종남파.


2. 상세[편집]


중원 전역에 퍼져있는 거지들의 연합. 십만 개방도라는 말이 존재할 정도로 규모가 매우 크다. 거지는 전국 각지 어디에나 있기 때문에, 개방의 영향력 역시 전국 각지에 퍼져있다. 구걸을 위해 구석구석 오고가는 거지의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중원 전역의 정보를 취급하는 엄청난 정보 집단으로 여겨진다. 작중에서도 필요한 정보가 있을 때는 가장 먼저 개방을 찾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허리춤에 달린 매듭의 개수를 이용해 등급을 나누며, 등급은 매듭이 하나도 없는 무결개(無結丐)부터 십결개(十結丐)까지 11개로 나뉘어진다. 그나마 말단 거지 취급을 받는 일결개(一結丐), 분타주 급에 해당되는 칠결개(七結丐), 장로급에 해당되는 팔결개(八結丐), 은퇴한 전대 방주나 은퇴한 장로 급에 해당되는 구결개(九結丐), 현 개방주인 십결개(十結丐) 등이 이에 속한다. 다만, 십만 개방도 중 대부분은 등급만 부여받고 적당히 문도취급을 받는 무결개(無結丐)에 해당한다.

여타 구파일방의 문파들과는 다르게 무학이 쳐지는 편으로, 작중에선 고수의 수나 무학의 질로 따지자면 구파일방에 들 자격이 없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방이 구파일방에 당당히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개방도들의 협의가 그 어떤 문파에도 뒤지지 않기 때문이다. 비록 그 힘은 부족할지언정, 강호에 위기가 닥칠때마다 개방은 언제나 가장 앞서서 목숨을 아끼지 않고 싸운다는 굉장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상에서 가장 무섭다는 '잃을 것이 없는 이들'이 모인 문파이기도 하기 때문에, 세상에서 가장 협의 넘치는 곳임과 동시에,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이들이 모여 있는 곳이기도 하다.

상술했듯 십만 거지가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니라 중원 전역에 퍼져 있기 때문에, 평균적인 무공 수위가 그리 높지는 않다. 전투 거지들의 무공이 그리 강하지 않고, 전 중원에 퍼진 거지들을 모으기도 어려워 전투력은 약한 문파이다. 대산혈사 당시 전력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건 화산이지만, 인원수로는 개방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1]

매화도 사태 이후로 개방은 천우맹에도 한발 걸치는 등, 구파일방과 양다리를 걸치는 모양새가 되었다. 항주마화 소식은 아예 소림에게 늦게 전해진 것의 언급을 통해 전향 떡밥이 뿌려지고 있다. 개방 총단이 무너진 이후로는 홍대광이 방주 자리에 오르며 구파일방 최초로[2]천우맹에 가입하게 된다.[3]


3. 무공[편집]


  • 취팔선장(醉八仙掌)
개방의 장공.


4. 구성원[편집]


현 개방주. 개봉의 천상루를 찾아온 청명 일행에게 자신을 천상루주라고 소개했으나, 청명의 추리 때문에 자신이 현 개방주임을 밝혔다. 현풍신개의 유언대로 개방을 청명의 뜻에 맞게 움직이겠다고 했다.
처음엔 청명에게 존칭을 쓰지 않았으나, 청명과 현풍신개의 대화를 본 후로는 그가 매화검존인 것을 알게 되어 극존칭을 쓰기 시작했다. 현재로서는 청명의 정체를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4]

  • 자오개(慈烏丐) 능삼(能三)
이깟 게 뭐라고.

이 신분 때문에 제 할 일을 하지 못한다면 그 신분을 벗어 버리는 수밖에요.

이제 내가 하는 행동은 개방과 관련이 없소이다. 그러니 내게 명령하지 마시오. 그러실 권한이 없으시니.

— 958화. 화산은 어디에 있소? (2)
개방의 장로급인 팔결개(八結丐)이자, 무한 분타주. 천하비무대회 때나 사패련을 막기 위한 구파일방의 회의에서 개방 방주를 대신해서 개방 대표로 등장한다. 즉, 개방주를 제외한다면 현 개방의 일인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뜻이다. 본인이 문파의 대표가 아니라 그런지 항상 다른 정파 장문인들의 위선을 비꼬는 위치에 있다.
남궁을 돕기위해 소림과 연합하여 따라갔다가 사패련이 나타나서 이도저도 못하고 있던 차에, 남궁도위가 섬에서 빠져나와 화산을 찾자 그 길잡이 역할을 자처한다. 화산을 찾는 남궁의 말에 화산이 어딨는 지 알려주고자 하는데, 법정이 이것이 개방의 뜻이냐고 협박하자 팔결개를 뜯어서 이제 내 일은 개방과 관련이 없으니 명령하지 말라고는 도위를 도와 최소한의 양심을 지킨다.
천우맹의 회의(989화)에서 재등장하는데, 개방주가 직접 내린 명령으로 인해 천우맹에 붙어있는 것이라고 한다.[5] 개방의 장로쯤 되는 이가 방을 나가기 위해서는 무공을 전폐하는 게 기본이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당분간은 납작 엎드려 방주의 명을 따르며 은근슬쩍 복귀할 상황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998화에서 홍대광과 함께 재등장해, 청명에게 소림이 구파일방에게 격문[6]을 보낸다는 사실을 전달한다. 이후 자오개가 자신의 실적을 가로채려 한다고 착각하고 입에 거품을 무는 홍대광을 달래는 과정에서 개방주가 자오개에게 천우맹에 붙어있으라는 명령을 내린 이유가 밝혀지는데, 개방주가 천우맹이 위기를 무릅써서라도 구파일방과 양다리를 거쳐 볼 만한 세력이 되었다 판단했으며, 그로 인해 홍대광의 선에서 취급할 수 있는 정보 그 이상의 정보를 천우맹에게 제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7] 1520화에서 풍영신개의 언급에 따르면 이후 개방의 호법 자리에 오를듯 하다.

개방의 칠결개(七結丐)이자, 개방 낙양 분타의 분타주. 나름 유력한 차기 개방 방주 후보 중 한 명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고.

  • <소취걸(小取乞)> 양표(梁漂)
개방 화음 분타의 부분타주. 만인방이 쳐들어오고 있다는 사실을 화산에 전달한다.

  • 주풍
개방 성도 분타주.

  • 황구개
홍대광에게 구박 당하며 편지를 쓰던 개방 장로.

  • <소화개(小火丐)> 종팔(宗八)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산귀환 종팔.jpg}}} ||
청명이 거지로 깨어났을 때 그를 때리고 괴롭혔던 인물. 첫 만남 당시 개방의 일결개(一結丐)[8]였으며, 천하비무대회 시점에서는 사결개(四結丐)까지 올라갔다. 사결개치고는 무척 어린 편이기 때문에 개방에서 손꼽히는 후기지수로 여겨진다. 차기 방주 후보 중 가장 앞서가는 인물인 홍대광과 연줄이 닿아 행복한 미래를 꿈꾸지만[9], 하필 청명과의 악연으로 인해 홍대광에게도 미운 털이 박히며 지금은 사실상 출세길에선 밀려났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청명이 초삼이던 시절에 청명을 비롯한 후기지수들을 갈굴때 머리를 자주 때렸는데, 이 때문에 청명이 머리를 때리는 버릇이 생겼고 이 이야기를 들은 화산오검에게도 죽도록[10] 얻어 맞는다.
그 뒤 청명이 화음분타에 와서 한번 더 깽판을 친 뒤에는 청명의 이야기만 나와도 PTSD를 겪고 있는지, 청명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 거품을 물면서 기절해 버린다.

  • 구칠(口七)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산귀환 구칠.jpg}}} ||
청명이 거지 초삼(草三)에서 각성한 직후, 처음으로 친분을 맺은 거지. 혼란스러워 하는 청명에게 당시의 시대적 배경[11]을 알려준다. 첫 만남 당시 무결개(無結丐)였으며, 천하비무대회 시점에서는 개방의 이결개(二結丐)였다. 개방에서는 나름 인정받는 후기지수이다.[12]
그 이후에는 홍대광이 청명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 개방 화음 분타로 데려온다. 인심이 좋은 화음 사람들 덕분에 잘 얻어먹어서 키가 좀 컸다고 한다. 청명이 개방 화음지부를 찾을때마다 친구라는 이유로 청명이 홍대광을 불러 시킨 음식과 술을 나눠 먹고 있으나, 구칠 입장에서는 목이 멕히고 불편한 자리인 듯 하다. 다른 거지들도 청명의 성격을 알아서인지 구칠을 건드리지 않는다. 친구를 잘 뒀다고 해야 할지 잘못 뒀다고 해야 할지…. 참고로 청명이 구칠에게 강해지게 해주겠다고 화산으로 오라고 계속 꼬시는 중이지만 이미 화산에 대한 악평소식을 알고 있는 구칠은 자기는 거지가 딱 맞다고 계속 거절하고 있다.

  • 목오(木五)
천하비무대회에서 조걸과 맞붙은 개방의 후지기수. 타구봉을 이용한 날카로운 공격으로 조걸을 몰아붙이지만, 조걸의 매화조광에 가슴을 가격당하고 패배한다.

마교대란 당시 개방의 소방주였던 인물로, 전쟁 이후에 당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개방을 정비하고 다시 방도들을 충원한 전설적인 방주다.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 귀식대법을 이용해 살아 있었다. 태상 방주로서 현재 진짜로 개방을 움직이는 인물. 그는 청명 일행에게 화산을 저버렸던 구파일방과 같은 선택을 한 본인을 죄인이라 칭한다. 결사대가 천마를 죽이려고 십만대산에 올랐을 당시 구파일방이 마교의 잔당을 놔두겠다고 결정하자 그는 반발했으나, 자신의 스승인 개방주 '풍백(風伯) 무음신개(無音神丐)'가 동의했다고 하자 결국 받아들였다.
이 일을 겪었기에 협의를 위한 개방도들의 희생을 줄이고자 개방을 무능력하게 만들었다며 죄책감으로 인한 설움을 토해낸다. 이후 청명과 둘이서만 대화하게 되었을 때, 그는 자신의 생각대로 화산검협과 매화검존이 같은 사람인 게 맞냐고 묻고 청명은 맞다고 대답한다.
1496화에서 청명에게 설득되어 도와주겠다고 약속했다. 청명 일행을 만날 시점에서 이미 한계에 가까웠던 그는 풍영신개에게 청명을 도우라는 말을 남기고는 사망했다.
[1] 무공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의협심만큼은 대단해 많은 거지들이 참가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청명의 개방에 대한 적개심은 다른 구파일방에 비해 적은 편이다. 이는 중원에서 멀고 똑같이 피해가 컸던 곤륜파도 마찬가지.[2] 다만 시기 상으로는 해남파가 먼저 가입했다고 보는 게 맞다.[3] 구파일방과 천우맹 사이가 현재 매우 안 좋으므로 오대세가를 탈퇴한 사천당가나 남궁세가처럼 구파일방에서도 탈퇴할 것으로 보인다.[4] 그 전에도 마교의 교주나 현풍신개가 그를 알아보았으나 둘 다 얼마 못가 사망했다.[5] '거기 붙어 있어.'라는 단촐한 서신이, 개방주의 직인과 함께 직통으로 날아왔다.[6] 사패련이 장강을 건너 강북을 공격할지도 모르니 지원을 바란다는 격문[7] 그런데 후에 밝혀지는 것을 보면, 사실 정보를 취급하는 개방도로서 천우맹과 관련된 정보를 모으는 목적도 겸하고 있었던 듯하다.[8] 개방에 막 입문한 말단 거지.[9]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본인의 착각으로, 홍대광은 순전히 청명이 복수를 위해 종팔을 찾기 때문에 종팔을 부른 것이다.[10] 정말 죽도록 맞았다. 그 청명이 당황할 정도로. 근데 이놈의 버릇을 청명이 배우는 바람에 허구한 날 수련 및 온갖 빌미로 대가리가 깨졌으니 화산오검들을 비롯한 화산파 제자들 입장에서는 청명에게 개기지는 못하니.... 이 녀석이 만악의 근원일수 밖에 없다.[11] 지금이 대산혈사(大山血事) 이후 백 년이 지난 시대이며, 마교대전으로 인해 화산이 몰락했고, 구파일방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12] 청명과 구칠은 천하비무대회가 열리는 소림에서 마주치는데, 중원 천하에 널려 있는 거지들 중 비무대회를 관전할 수 있는 거지는 개방에서 나름의 자질을 인정받고 시간을 들여 키울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이들이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34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3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2:14:20에 나무위키 개방(화산귀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