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호남권 지역정당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호남권 지역정당을 분류한 문서.

2. 정당 목록[편집]



2.1. 과거의 정당[편집]



2.1.1. 새천년민주당[편집]


파일:새천년민주당 로고.svg
  • 새천년민주당 (2000-2005)[2]
    •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분당과 제17대 총선 이후 비노가 주축.[1]
    • 이후 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2.1.2. 민주당(2005년)[편집]


파일:민주당(2005년) 로고.svg

2.1.3. 중도통합민주당[편집]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로고.svg

2.1.4. 민주당(2007년)[편집]


파일:민주당(2005년) 로고.svg

2.1.5. 평화민주당(2010년)[편집]


파일:평화민주당 2010년 로고.svg


2.1.6. 국민행복당[편집]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로고.svg

2.1.7. 정통민주당[편집]


파일:정통민주당 로고.svg

2.1.8. 국민회의[편집]


파일:국민회의 2016년 로고.svg
  • 국민회의 (2016)
    • 천정배가 창당을 주도했으나 국민의당 참여 선언하며 당의 구심점을 잃고 창당 몇 일 뒤 국민의당에 흡수 합당됨.


2.1.9. 국민의당(2016년)[편집]


파일:국민의당(2016년) 로고.svg


2.1.10. 민주평화당[편집]


파일:민주평화당 가로 로고.svg

2.1.11. 대안신당[편집]


파일:대안신당 로고.svg


2.1.12. 민생당[편집]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
  • 민생당 (2020- )
    • 2020년 바른미래당-대안신당-민주평화당이 신설합당.
    • 제21대 총선 결과 지역구 0석, 비례 0석[3]로 원외정당으로 추락
  • 대표:
    • 김정화, 박주현[4], 유성엽[5] (공동대표,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9일)
    • 이수봉 (비상대책위원장, 2020년 5월 29일 ~ 2023년 2월 28일)
    • 김정기, 이관승, 황한웅[6] (비상대책위원장 공동직무대행, 2021년 5월 4일 ~ 2023년 2월 28일)
    • 김정기, 이관승, 최상임 (공동대표, 2023년 2월 28일 ~ )


2.2. 현재의 정당[편집]



2.2.1. 대중민주당[편집]




3. 둘러보기[편집]


[1] 그러나 일부 동교동계를 제외한 인사들이 열린우리당으로 넘어가기도 함.[2] 호남권 지역정당 성향을 띄운 건 2004년 17대 총선 이후부터.[3] 득표율 2.71%p[4] 3월 24일 사퇴[5] 4월 20일 사퇴[6] 2021년 5월 11일, 당내 비상징계로 당원권정지 1년의 처분을 받았다. 이후 민생당을 탈당하고 국민의힘에 입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문서의 r1229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문서의 r12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9 04:01:22에 나무위키 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호남권 지역정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