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현대의 말레이시아 왕립 해군 함정 [[파일:1280px-Naval_Ensign_of_Malaysia.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SS
툰쿠 압둘 라만급 | 우썽R
초계정
PB
두용R | 케다급 (초대/1961)R | 팡리마R | 베도크R | 판지R | 무티아라R | 심방R
고속정
FAC
PG

제룽급 | 스리 티가급 | 케리스급 (초대/1964) | G2000 Mk.(1/2)급 | CB90
FIC
MPB급 | 펭가왈급
어뢰정(PT)
페르카사급R
미사일 고속정(FACG)
페르다나급 | 한달란급
원양초계함(OPV)
{LMS 배치2} | 케리스급 (2대/2020) | 케다급 (2대/2006)
초계함
PCG
카스투리급 | 락사마나급
호위함
FF
항 투아 (초대/1963)R | 항 투아 (2대/1977)R | 리버급T/R
FFG
{마하라자 렐라급} | 레키우급 | 라흐마트R
상륙함
LPD
{MRSS 사업}
LSD
스리 인데라 삭티급
LST
스리 인데라푸라급R | LST-542급R | 마크8 LCTR | 마크 3 LCTR
기뢰전함
기뢰함(MLS)
싱가푸라R
소해함
마하미루급(2대/1985) | 스리 조호르급R | 마하미루급 (초대/1960)R
지원함
급유함(AOR)
붕가 마스 리마급 | 툰 아지즈급
잠수함 구조함(ASR)
메가 박티급
지원정
툰다 사투급YT, 예인정 | 소통급 YT, 예인정R
연구함
페란타우 | 다양 사리 | 아이사흐 | 무티아라R
훈련함
가가 사무데라급 | 투나스 사무데라 | 파자르 사무데라R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T: 훈련함 전환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동형함 목록


1. 개요[편집]


말레이시아 해군의 차세대 호위함.


2. 제원[편집]


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
Fregat kelas Maharaja Lela

이전급
레키우급
배수량
3,100톤
전장
111m
전폭
16m
흘수
3.85m
동력
방식
CODAD
기관
MTU 20V 1163 M94 디젤엔진 × 4
최고속력
28노트 (약 52km/h)
항속거리
15노트 (약 28km/h) 순항시 9,300km
승조원
138명
전투체계
나발 그룹 SETIS
레이더
탈레스 SMART-S Mk.2 레이더
사격통제체계
라인메탈 TMEO Mk.2 추적체계
소나
킹클립 Mk.1 함수 소나
탈레스 CAPTAS-2 예인 소나
대응 장비
디코이
슈퍼 바리케이드 디코이 발사체계
ESM/ECM
탈레스 비질 RESM
무장
함포
보포스 57mm 함포 1문
대공
VLS 16셀
VL-MICA 16발
대함
NSM 대함미사일 8발
대잠
3연장 어뢰 발사관 × 2
기타
MSI DS30M 30mm 기관포 2문

3. 상세[편집]


말레이시아의 연안전투함[1] 사업이라는 이름의 차세대 전투함 사업을 진행하였고, 경합끝에 프랑스 DCNS고윈드급 설계가 채택된다. 이는 고윈드급의 공식적인 첫 수출사례였다.

그러나 여러 문제로 인해 건조 일정이 크게 지연되었고, 기존에 계획된 도입 일정도 크게 늦춰졌다.[2]

지속된 프로그램 지연 끝에 결국 2023년 도입수량을 1척 삭감하게되었다.

4. 동형함 목록[편집]


말레이시아 해군
함명
함번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상태
2501
마하라자 렐라 (Maharaja Lela)
2016년 3월 8일
2017년 8월 24일
2025년
진수
2502
샤리프 마사호르 (Syarif Masahor)
2017년 2월 28일


건조 중
2503
라자 마하디 (Raja Mahadi)
2017년 12월 18일


건조 중
2504
맷 살레 (Mat Salleh)
2018년 10월 31일


건조 중
2505
톡 장구트 (Tok Janggut)



건조 예정
2506
맷 킬라우 (Mat Kilau)
-
-
-
건조 취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5:26:51에 나무위키 마하라자 렐라급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ittoral combat ship[2] 말레이시아보다 늦게 구매 의사를 밝혔던 이집트가 먼저 건조에 착수하여 4척을 취역시키고 사업을 무사히 마무리한 시점에서도 단 1척도 취역시키지 못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