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배우는 일본 근대

덤프버전 :




만화로 배우는 일본 근대

파일:만화로 배우는 일본 근대.png

장르
역사, 동양사, 일본, 근대
작가
행스바
연재처
이만배
연재 기간
2022. 10. 24 ~ 2023. 03. 23
연재 주기

이용 등급
12세 이용가

1. 개요
2. 줄거리
3. 목차
4. 등장인물
5. 참고자료
6. 연재 현황



1. 개요[편집]


한국의 역사 웹툰. 작가는 행스바.

최근 1인 당 GDP가 일본을 추월했다고 하지만, 불과 2000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은 일본과 15~20년의 격차를 두고 일본을 뒤따라가고 있었다. 그 시작을 일본 근대에서 바라보고 있다.



2. 줄거리[편집]


우리는 일본에 의해 식민지배를 받으며 근대를 경험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일본의 근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당시 세계는 일본이 아시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근대화를 이루었다고 평가했으며, 그 파급력은 곧 이웃 국가를 강제로 병합하는 것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근대화 또한 순풍에 돛단배 마냥 진행된 것은 아니었으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전통이 사라지고 새로운 전통과 기술이 만들어져야 했다. 이들의 근대는 ‘성공적’이었던 게 아니라 그저 '하나의 과정' 이었을지도 모른다. 결국 여러 생각을 종합하면 하나의 주제로 도달한다.

“일본에게 근대란 무엇이었을까?”



3. 목차[편집]


  • 1화 근대란 무엇인가?
  • 2화 일본이란 나라
  • 3화 서구와의 접촉
  • 4화 웅번과 조정
  • 5화 막부의 반격
  • 6화 대정봉환
  • 7화 막부는 망했어요
  • 8화 메이지 하지마루요
  • 9화 개혁의 여명
  • 10화 이와쿠라 사절단
  • 11화 불만 포인트 쌓기
  • 12화 조선과 사할린
  • 13화 대만침공
  • 14화 서남전쟁
  • 15화 징병제
  • 16화 민의로 가는 길 (1)
  • 17화 민의로 가는 길 (2)
  • 18화 제국 선포
  • 19화 제국의 산업화
  • 20화 야마가타와 육군
  • 21화 현인신 메이지
  • 22화 청일 전쟁, 러일 전쟁
  • 23화 메이지 일본이 남긴 것


4. 등장인물[편집]


파일:이에야스...png
일본 전국시대를 끝내고 지금의 도쿄인 에도에 막부를 세웠다. 이후 천황에게 정이대장군(쇼군)으로 임명된다.

파일:쇼군..png
도쿠가와 막부의 수장으로 세습직이다.

  • 유정&미정
파일:만화로 배우는 일본 근대..png
대화 형식으로 두 인물이 나와 내용을 조금씩 정리하고 이끌어간다.

파일:이토 히로부미.png
공부대보(국토교통부 차관). 이와쿠라 사절단으로 조약개정을 위해 힘쓰지만 결과가 좋지 않게 되자 시찰에 집중을 하게 된다.
여러 요직을 거치며 결국 초대 총리대신으로 등극하나 만주 하얼빈 역에서 안중근에게 저격당해 최후를 맞이한다.

파일:오쿠보 도시미치.png
초대 내무경. 메이지 초기 행정 부분에서 활약한 관료이며 일본의 국력 사정을 당초부터 파악해 조선 출병에 반대하거나 사족들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단호하면서도 거시적인 개혁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불만을 가진 시마다 이치로 일당에게 암살 당하고 만다.

일본군 초대 원수. 오쿠보 도시미치의 친구이며 신정부군을 지휘해 무진전쟁에서 승리하게 된다. 조선 출병 문제로 오쿠보와 대립했고 이에 천황이 오쿠보 편을 들어주자 귀향했다. 그렇게 여생을 보내는가 싶더니 정부에서 본인을 제거하려 했다는 첩보을 접수하곤 가고시마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그러나 실패하고 할복한다.

3대 총리대신. 동시에 군부에서 활약한 군인으로 각종 사족 반란 진압을 지휘했고 일본을 주권선, 조선을 이익선으로 규정해 조선에 군사적 개입을 시도했다. 최종적으로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지휘하며 한국의 식민지 병합에 크게 일조하였다.

8대 총리대신. 이와쿠라 사절단 파견 건의서를 제출한 이후 여러 요직을 거치다가 민권운동에 동조하여 의회 개설을 요청하거나 정당을 창당하기도 했다. 영국식 의회제를 원했으나 최종적으론 독일식 내각제가 채택되었다.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기 위해 서구와 협상을 진행했으나 결과에 불만을 가진 이에게 폭탄테러를 당해 오른쪽 다리를 절단했다.

일본 최초의 정당인 자유당을 창당했다. 사츠마와 조슈가 독점하다시피 한 메이지 정부에 대해 불만을 가져 민권운동을 주도했다.

4대 총리대신. 재정 부분에서 활약했으며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지폐들을 모아 불태웠다.
이 때문인지 작중에서 불 지르는게 컨셉으로 자리잡았다.

메이지 유신의 얼굴마담. 헤이안 시대 이후로 허수아비 취급이였던 존재였으나 왕정복고에 성공하며 현인신으로 대우 받으며 일본 신민의 구심점으로 군림했다. 당뇨와 신장염으로 59세에 사망한다. 대한제국의 고종과 동갑이다.


5. 참고자료[편집]


**국내서
김현수, 《대영제국의 동아시아 외교 주역 해리 s. 파크스》, 단국대학교출판부, 2001
박영준, 《명치시대 일본군대의 형성과 팽창》, 국방군사연구소, 1997
박훈, 《메이지 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민음사, 2014
박훈,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 21세기 북스, 2020
신명호, 《고종과 메이지의 시대》, 역사의아침, 2014
유인선 외, 《사료로 보는 아시아사》, 종이비행기, 2014
최승표, 《메이지 이야기》 1~3권, 2007, 북갤러리
한국프랑스사학회,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 홍문각, 2017
함동주, 《천황제 근대국가의 탄생》, 창비, 2009


**번역서
다나카 아키라, 역 김정희, 《메이지 유신》, AK, 2020
다나카 아키라, 역 한명철 《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 소화, 2006
마리우스 B 잰슨, 역 김우영 외, 《현대 일본을 찾아서》, 이산, 2006
마루야마 마사오.가토슈이치, 역 임성모, 《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 1998
마키하라 노리오, 역 박지영 , 《민권과 헌법》, 어문학사, 2012
시부사와 에이이치, 역 박훈, 《시부사와 에이이치-일본의 설계자》, 21세기북스, 2018
야마구치 게이지, 역 김현영, 《근세 일본의 쇄국과 개국》, 혜안, 2001
오타니 다다시, 역 이재우, 《청일전쟁, 국민의 탄생》, 오월의봄, 2018
요시다 유타카, 역 최혜주, 《일본의 군대-병사의 눈으로 본 근대일본》, 논형, 2005
요시자와 세이이치로, 역 정지호 《중국 근현대사 1》, 삼천리, 2013
이시이 다카시, 역 김영작, 《메이지 유신의 무대 뒤》, 일조각,1975
이노우에 가쓰오, 역 이원우, 《막말유신》, 어문학사, 2013
앤드루 고든, 역 문현숙, 김우영, 《현대 일본의 역사 1》, 이산, 2015
카토 요코, 역 윤현명, 이승혁,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 서해문집, 2018
하라다 게이이치, 역 최석완, 《청일 러일전쟁》, 어문학사, 2012

**학술논문
박훈 <18세기말 19세기초 일본에서의 전국적 세계관과 해외 팽창론>, 《동양사학연구》 104, 동양사학회, 2008
박훈, <18세기 후반 막말기 일본인의 아시아 동양개념의 형성과 변용>,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동양정치사상사, 2010
이정용, <군부대신현역무관제와 우가키 가즈시게>, 《일본연구》 12, 메이지대학교일본문제연구소, 2005
임경택, <근대일본국민국가의 국민화과정에 대한 일고찰-생활(민속)문화 제도의 형성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51, 2012
이진일, <근대 국민국가의 탄생과 '국사'(national history)*-동아시아로의 학문적 전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27, 한국사학사학회, 2013
와타나베 히로시, <'교'(敎)와 음모>, 《한일공동연구총서》 1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08

**외서
原口淸, 《日本近代國家の形成》, 岩波書店, 1968
勝田 政治, 《大久保利通と東アジア: 國家構想と外交戰略 (歷史文化ライブラリ-)》, 吉川弘文館 , 2016
小林 和幸, 《ちくま新書 明治史講義》, テーマ篇, 2018
尾崎耕司, 歷史學硏究會·日本史硏究會 編 <日本史講座 8 近代の成立>, 東京大學出版會, 2005.







6. 연재 현황[편집]


  • 2022년 11월 10일 이만배에서 연재가 시작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7:34:10에 나무위키 만화로 배우는 일본 근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