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족영원

덤프버전 :

무족영원
無足蠑螈 | Caecilian


파일:Dermophis mexicanus.jpg

학명
Gymnophiona
Müller, 1832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양서강 Amphibia
아강
진양서아강 Lissamphibia

무족영원목 Gymnophiona
하위 분류
[ 펼치기 · 접기 ]
  • †에오카이킬리아Eocaecilia
  • †푼쿠스베르미스Funcusvermis
  • †킨레스테고피스?Chinlestegophis?
  • †루브리카카이킬리아Rubricacaecilia
  • 무족영원류 Apoda



파일:무족영원.jpg

1. 개요
2. 상세
3. 서식지
4. 기타



1. 개요[편집]


무족영원()은 양서류의 한 종류이다. 영원이란 이름만 붙었을 뿐, 도롱뇽, 영원과는 목(order) 단위부터 다르다.


2. 상세[편집]


일반인이 보기에도 굉장히 신기한 동물로, 지렁이 내지는 같은 생김새에 계통은 개구리도롱뇽처럼 양서류라는 것이 흥미롭다. 보통 낙엽 밑이나 땅 속에서 살지만, 양서류답게 수생종도 있으며, 눈도 퇴화되어 작고 희미하게 남아있는 상태라 빛 정도만 구분할 수 있으나, 대신 콧구멍과 눈 사이에 감각기가 있어 미각촉각이 대단히 민감하다. 이 완전히 퇴화했는데, 뱀이나 다른 발이 없는 무족도마뱀들과 달리 꼬리까지 몽땅 퇴화했거나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종류에 따라 작게는 지렁이 수준에서 크게는 1.5m까지도 자랄 수 있다. 지렁이처럼 꿈틀거리며 기어가진 않고 뱀처럼 스르륵 미끄러져서 움직인다.
파일:00109_foto_article.jpg
얼굴이 뭉툭하고 넓적한 삼각형인데다 입이 크고 날카로운 이빨이 달려있어 마치 상어의 얼굴을 닮았다.

무족영원은 꼬리에서 추격하는 포식자를 단념하게 할 독을 분비한다. 그러나 꼬리뿐 아니라 머리에서도 독샘이 발견됐다. 게다가 머리의 독샘은 독사 등 파충류와 마찬가지로 이빨과 연결돼 있다고 한다. 먹이를 즉사하게 할 치명적 독성은 없지만 왕지렁이 등을 무력화할 수 있다. #

무족영원은 모든 종이 유일하게 체내수정을 하는 양서류이다. 종에 따라 새끼를 낳는 부류와 을 낳는 부류가 있으며, 난생종의 경우 부화할때까지 알을 지키는 종이 많다. 새끼들은 부화 후 첫 식사로 어미의 허물을 벗겨먹기도 한다.

3. 서식지[편집]


중남미,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아시아의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동물로 유럽과 호주에서는 서식하지 않으며 국내 자생종도 없다.


4. 기타[편집]


예전에는 나사()[1]라고 한다. 인터넷에서는 한동안 "인도에서 발견된 기이한 신종 생물 세실리언"이나 심지어 방사능에 오염된 동물이라는 식으로 무족영원이 2010년대에 들어서 발견된 신종 생물인 것 마냥 와전되어서 돌기도 했는데, 실제로는 이미 선사시대부터 인류와 영역을 함께 했던 종이고 일찍이 한자어 명칭까지 붙여졌다. 다만 나사(裸蛇)라는 명칭이 국내에서는 사어화된 정확한 경위는 알 수 없다.[2]

마치 지렁이먹장어를 연상시키는 생김새에 호불호가 많지만, 눈이 보이는 사진에서는 의외로 얼굴이 뱀이나 상어를 닮아 귀엽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55:18에 나무위키 무족영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벌거숭이 뱀. 뱀 특유의 비늘가죽이 없어서 이런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2] 델리 대학교에서 "무족영원(세실리언)을 발견했다"는 기사는 무족영원이 신종 생물이란 얘기가 아니라, 인도 아대륙 내에서도 무족영원이 서식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게 최초라는 말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