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룡

덤프버전 : (♥ 0)

북한의 축구 선수
파일:pakkwangryong(18-19).png
이름박광룡
朴光龍 | Pak Kwang-Ryong
출생1992년 9월 27일 (31세)
평양시
국적
파일:북한 국기.svg

신체188cm, 84kg
포지션스트라이커
소속선수월미도체육단 (2010~2011)
FC 빌 1900 (2011)
FC 바젤 (2011~2015)
AC 벨린초나 (2013 / 임대)
FC 파두츠 (2013 / 임대)
FC 파두츠 (2014~2015 / 임대)
FC 비엘-비엔느 (2015 / 임대)
FC 로잔 스포르 (2015~2017)
SKN 장크트푈텐 (2017~2020)
국가대표42경기 14골 (북한 / 2009~)

1. 소개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기록
4.1. 대회 기록
5. 플레이 스타일
6. 기타
7. 둘러보기




1. 소개[편집]


북한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며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실질적인 에이스를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편집]



2.1. FC 빌[편집]


2011년 월미도 축구단에서 스위스 2부리그의 FC 빌로 이적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세간은 관심이 없었다. 하지만 그는 바젤로 이적하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2.2. FC 바젤[편집]


그는 2011/12 시즌을 앞두고 스위스 리그의 강호인 FC 바젤로 이적하였다. 이때 박주호도 한팀에 있었다. 남북 선수가 한팀에서 뛴다고 이슈가 되긴 했으나 그가 직접 관심을 받은 것은 다름아닌 맨유와의 챔피언스리그 경기에서 교체 명단에 포함되어서였다. 박지성이 당시 맨유의 교체 명단에 있어서 또다른 코리안 더비 아니냐는 말을 들었다(...)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렸던 UEFA 챔피언스리그 2차전(3-3 무승부)에서 경기 종료 10분을 남기고 마르코 슈트렐러와 교체 투입되면서 첫 남북 더비가 성사되었다. 당시 박주호는 풀타임 출전, 박지성은 61분에 라이언 긱스와 교체 출전하여, 양 팀의 남북한 선수가 모두 출전한 역사상 유일한 챔피언스리그 경기가 되었다. # #

파일:3park.jpg

11/12 시즌 바젤 1군에서는 13경기 1골을 기록했고, 스위스 컵에서는 1경기에서 2골을 기록, 그리고 바젤 2군에서 10경기 8골이라는 어마어마한 득점을 올렸다. 그래서 '압록바'(...) 라는 별명이 붙었다.

12/13 시즌에서는 1군으로는 스위스 컵 1경기밖에 안 뛰었으나 2군에서 12경기 6골을 기록, 1월에 스위스 2부리그 팀인 AC 벨린초나로 임대를 가서 12경기 7골 4도움이라는 엄청난 공격포인트를 올리고 시즌 종료 후 바젤에 복귀하였다.

그리고 13/14 시즌 바로 스위스 2부리그의 FC 파두츠로 2달간 단기 임대를 다녀왔으며, 다녀온 후 바젤에서 경기를 꾸준히 나서지 못하자 결국 1월에 다시 파두츠로 임대를 간다. 바젤 2군에서는 5경기에 나섰으나 골은 기록하지 못했고, 파두츠에서는 23경기 11골 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파두츠를 승격시켰다.

파두츠는 박광룡의 활약이 감명깊어서인지 14/15 시즌에도 재차 박광룡을 임대했고, 1부 리그에서는 다소 저조한 19경기 1골 2도움을 기록하며 시즌 종료 후 바젤에 복귀하였다. 그리고 바젤은 시즌 종료 후 박광룡을 2부 리그의 FC 비엘-비엔느로 팔아버린다.


2.3. 비엘-비엔느[편집]


박광룡은 스위스 2부리그의 비엘-비엔느로 이적하고서, 데뷔 경기였던 스위스 컵 경기에서 혼자 1경기 4골을 올리며 팀의 10 - 1 대승을 이끌었다. 그리고 전반기에서 리그 4골 4도움을 기록했지만 점점 주전경쟁에서 밀렸고, 그때 마침 스위스 2부리그 1위를 다투던 FC 로잔느-스포르트가 그를 영입한다.


2.4. FC 로잔 스포르[편집]


FC 로잔 스포르에서 그는 이적하자마자 6경기 연속골을 기록하면서 남은 시즌 동안 좋은 활약을 보일 것으로 예고했으나 부상으로 인해 골 기록은 거기에서 끊겼다. 15/16 시즌 총합 기록은 스위스 2부리그에서 26경기 10골 5도움, 스위스 컵에서 2경기 4골(...) 그리고 팀의 승격으로 인해 다음 시즌은 다시 스위스 1부리그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16/17시즌 현재 개막전인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와의 경기부터 선발출장하다가 2경기 부상으로 결장했지만, 그 다음부터 쭉 경기에 나서고 있다. 현재 리그에서 27경기 4골 3도움, 스위스 컵에서 1경기 1골을 기록하고 있다. 사실 최전방 공격수로써는 그리 좋지 않은 스탯이다. 하지만 팀이 개판인 것도 이해해야 한다. 16/17시즌 겨우 강등을 면했을 정도이니...


2.5. SKN 장크트푈텐[편집]


17/18 시즌을 앞두고 오스트리아 1부리그 하위권 팀인 SKN 장크트푈텐으로 이적하였지만 초반에 1경기에 출전하는 등 경기에 제대로 출전하지 못했다. 아마 로잔느를 떠난 것은 이번 시즌이적해온 발레리 보지노프라는 걸출한 공격수와의 주전경쟁이 달갑지 않아서인듯.

결국 13경기 1골이라는 초라한 스텟만을 기록했고, 팀도 하위권을 전전해 강등 결정전을 펼쳤는데 간신히 승리해서 1부 리그에는 잔류하게 되었다.

18/19 시즌 첫경기인 오스트리아 컵 경기에서 공격수로 선발출장해 2어시를 기록하며 팀의 6대 0 대승을 이끌었다. 근데 문제는 상대팀이 4부 리그 팀이었다(...)

18/19 시즌 최종기록은 26경기 4골 6도움으로 저번시즌과는 달리 나름 준수한 기록을 했다.

19/20시즌 전반기에도 9경기 5골 2도움으로 좋은 활약을 보였다. 득점, 도움 모두 팀 내 1위.

그러나 EU의 북한 제재로 인해 불행히도 팀을 떠나게 되었다. 현재까지도 행선지는 미정.# EU의 대북제재가 원인인 터라 이제 유럽에서는 더이상 뛰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나이도 이제 젊다고 볼 수는 없어 계속 선수생활을 이어나갈지도 불분명하다.

한때 유럽에서 활약했던 한광성이 2023년 8월 22일 북한 주민 200여 명과 함께 북한으로 귀국한 것이 알려져 아마 이 때 같이 복귀한 듯 하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09년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어 말리 축구 국가대표팀,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카타르 국제 친선대회에서 데뷔했다. 그 후 2010년 스리랑카에서 열린 AFC 챌린지컵에서도 선출되어 국가대표로서의 첫 득점을 하는 등 대표팀의 챌린지컵 첫 우승에 기여했다.

2014년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의 U-23 대표팀에 선출되어 팀을 결승으로 이끌었다. 결승에서 대한민국의 뒷문을 끝임없이 위협했으나 결국 후반 막판 추가시간에 결승골을 멱혀 결국 준우승을 하게 된다.

그 이후로도 2015 AFC 아시안컵,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예선에서 주전으로 출전하여 정일관과 더불어 팀의 공격진의 중심으로 활약했다.

2019 AFC 아시안컵에도 선발되어 대표팀이 조별리그 3경기 동안 처참하게 박살나는 와중에 팀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여 팀의 핵심 선수임을 증명했다.


4. 기록[편집]



4.1. 대회 기록[편집]





5. 플레이 스타일[편집]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로멜루 루카쿠(...)라 불릴 정도로, 북한 축구 선수로는 제법 드문 편인 188cm의 장신을 기반으로 한 피지컬과 골 결정력이 매우 좋다. 북카쿠


6. 기타[편집]


  • 스위스 바젤에 소속되어있을 당시에 팀 동료였던 박주호와는 버스에서 옆자리에 앉아 같이 음악도 듣는 사이였다고 한다. 심지어 당시 박주호보다 영어를 더 잘 해서 오히려 가르쳐주기까지 했다고...

  • 외모로만 봤을때 30대후반 정도 보이지만 나이는 아직 30살(!!)이다. 심지어 손흥민하고 동갑(...). 사실 한국도 옛날 30살이 요즘 30대 후반 정도로 보인다.


7. 둘러보기[편집]


}}}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1강주혁Kang Ju-Hyok1997년 5월 31일00홰불체육단
18신대성Sin Tae-song2000년 5월 30일004.25체육단
21유광준Yu Kwang-jun2000년 11월 5일00려명체육단
DF2김경석Kim Kyong-sok2000년 2월 19일00선봉체육단
3장국철Jang Kuk-chol1994년 2월 16일625홰불체육단주장
5정금성Jong Kum-song1997년 1월 24일00리명수체육단
14최옥철Choe Ok-chol1998년 11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16김유성Kim Yu-song2003년 7월 18일00압록강체육단
17강국철Kang Kuk-chol1999년 9월 29일90리명수체육단
23최진남Choe Jin-nam1998년 11월 20일00려명체육단
MF4김범혁Kim Pom-hyok2002년 4월 15일00려명체육단
6최성혁Choe Song-hyok1998년 2월 28일30FA
7권혁준Kwon Hyok-jun1997년 3월 6일00FA
11정일관Jong Il-gwan1992년 10월 30일7626리명수체육단
15리은철Ri Un-chol1995년 7월 13일251선봉체육단
19김국범Kim Kuk-bom1995년 2월 19일100려명체육단
20백충성Paek Chung-song2002년 2월 25일00려명체육단
FW8김국진Kim Kuk-jin2000년 10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9박광룡Pak Kwang-ryong1992년 9월 27일4114FA
10한광성Han Kwang-song1998년 9월 11일101FA
12최주성Choe Ju-song1996년 1월 27일60압록강체육단
13리일송Ri Il-song2004년 1월 14일004.25체육단
22리형진Ri Hyong-jin1993년 9월 21일634.25체육단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1월 18일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7:44:45에 나무위키 박광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