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아랍

덤프버전 : r (♥ 0)

1. 개요
2. 특징
3. 원인
4. 주요 국가
5. 관련 문서

Anti-Arabism, Anti-Arab sentiment, Arabophobia

1. 개요[편집]


아랍을 향한 공포증 및 혐오 감정을 가리킨다.


2. 특징[편집]


아랍 국가들과 갈등이 있었던 국가 및 민족 사이에서 나타난다.

이슬람을 혐오해서 반아랍이 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슬라모포비아와는 차이가 크다.[1]


3. 원인[편집]


아랍 제국 시대부터 아랍은 유럽을 침공했으며, 노예무역을 하기도 했었다.

특히 현대 팔레스타인 내전, 레바논 내전, 이라크 전쟁, 아랍의 봄(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예멘 내전) 등 중동에서의 오래된 분쟁들로 인해 유럽으로 들어온 난민들 때문에 본격적으로 서양에서 반아랍 감정이 퍼졌다.


4. 주요 국가[편집]



4.1.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편집]


사헬 지대중앙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아랍인들로부터 노예 사냥 및 착취를 당해서 반아랍 감정이 큰 경우가 많다.


4.2. 이스라엘[편집]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중동전쟁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반팔레스타인주의

이스라엘은 주변 국가들이 아랍 국가들이었다보니 큰 갈등들이 있었다.


4.3. 유럽[편집]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모리스코 추방

남유럽은 아랍 제국들의 침략을 받았으며, 특히 이베리아 반도, 시칠리아, 코르시카 등은 아랍의 지배를 받았다.


4.4. 기타[편집]



4.4.1. 한국[편집]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2018년 제주 난민 사태

2018년 이전에도 아랍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가 있었으나 2018년 제주 난민 사태 이후 아랍에 대한 불신이 더 커지기도 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0 13:56:01에 나무위키 반아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슬라모포비아는 이슬람교를 향한 종교 혐오증이라면 반아랍은 '아랍'이라는 민족을 부정하거나 혐오하는 증상을 말한다. 또한 아랍인 중에서도 아랍계 기독교인들도 있는 등 아랍이라고 무조건 이슬람을 믿는 것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