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쇠오리

덤프버전 :



뿔쇠오리
Crested murrelet, Japanese murrelet


파일:뿔쇠오리(Synthliboramphus wumizusume).jpg

학명
Synthliboramphus wumizusume
Temminck, 1835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상목
신조상목(Neoaves)

도요목(Charadriiformes)
아목
갈매기아목(Lari)

바다오리과(Alcidae)
아과
바다오리아과(Alcinae)

쇠오리족(Synthliboramphini)

쇠오리속(Synthliboramphus)

뿔쇠오리(S. wumizusume)

1. 개요
2. 생김새
3. 생태



1. 개요[편집]


뿔쇠오리는 도요목 바다오리과에 속하는 섭금류다.


2. 생김새[편집]


크기는 약 24 ~ 26cm로, 바다오리류 중에는 작은 편이다.[1] 부리는 청회색이고 몸윗면은 회흑색, 몸아랫면이 흰색이다. 얼굴, 옆목, 정수리가 검은색이고 뒷머리가 흰색이다. 뒷머리에는 뿔깃이 있기 때문에 뿔쇠오리라고 부른다. 겨울깃은 눈앞, 턱밑, 멱이 흰색으로 변하고 뿔깃도 희미해진다.

뿔쇠오리의 유사종으로 바다쇠오리가 있다. 뿔쇠오리는 바다쇠오리와 달리 머리에 검은 뿔깃이 있다. 뿔쇠오리는 부리가 청회색이고 약간 가늘고 바다쇠오리는 부리가 살구색에 가늘다.


3. 생태[편집]


일본 혼슈, 규슈,이즈제도, 러시아 극동, 한국의 무인도 등에서 집단 번식을 한다. 바위틈에 둥지를 틀며, 바다제비가 버린 둥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일단 새끼가 부화하면 곧바로 어미와 함께 바다로 나간다. 겨울에는 먼 바다에서 생활해서 바닷가에서 보기 힘들고 국내에서는 겨울철 관찰 기록이 거의 없다.

한국에서는 관찰하기 드물며 천연기념물 제450호로 지정되어 있다. 기름 유출 사고, 바다에 버려진 폐기물과 길고양이로 인하여 개체수가 줄고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현재 생존 개체수는 2천 마리에서 9천 마리로, 개체수가 적다.

거기다가 서식지 중 하나인 마라도에서는[2] 고양이로 인해서 멸절의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마라도 내에서는 입양되지 않은 고양이들을 섬 외부로 추방하는 등의 제도를 실시해 겨우 고양이의 수를 줄였으나 동물자유연대포스코건설에서 고양이 급식소를 8개 설치하는 만행을 저질렸다.# # 그 결과 다시 고양이의 수가 급격히 불어난 상태라 절멸은 필연이 될것이라고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다. # #
해당 논문에 따르면 마라도의 최대수용능력이 80마리 이상일 때 20년 뒤 뿔쇠오리는 마라도에서 절멸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고양이 중성화수술만을 이용한 뿔쇠오리 보전은 현실적으로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뿔쇠오리의 보전을 위해서는 안락사 혹은 외부 방출을 통한 개체군 관리도 중성화수술과 진행되어야 한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동물자유연대 마라도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논란 문서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1:51:37에 나무위키 뿔쇠오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름에 가 들어간 생물들은 소형종이다.[2] 보통 무인도에서만 서식하는 뿔쇠오리가 유인도에 서식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