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크(배틀로봇)

덤프버전 : (♥ 0)


배틀제왕
둘러보기 틀 모음
1~10대
1대2대3대4대5대
파일:스폰지밥(배틀로봇).jpg 스폰지밥

파일:트라이던트1.jpg 트라이던트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
파일:흑룡(배틀로봇).jpg 흑룡
★★
6대7대8대9대10대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
파일:샤크1.jpg 샤크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11~20대
11대12대13대14대15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네오메카.jpg 네오메카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파일:로보스칸2.jpg 로보스칸2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16대17대18대19대20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파일:돌격(배틀로봇).jpg 돌격

파일:트라이던트2.jpg 트라이던트2
★★★★★
21~30대
21대22대23대24대25대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Raptor.jpg Raptor
★★
파일:후다닥.jpg 후다닥
★★★★★
26대27대28대29대30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파일:대박이1.jpg 대박이
★★★★★
파일:후다닥2.jpg 후다닥2

파일:하푼2.jpg 하푼2
★★★★★
파일:짱가1.jpg 짱가
★★★
31~40대
31대32대33대34대35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
파일:짱가1.jpg 짱가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괴물(배틀로봇).jpg 괴물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36대37대38대39대40대
파일:붕붕이.jpg 붕붕이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REX.jpg REX
★★★★
41~50대
41대42대43대44대45대
파일:베놈(배틀로봇).jpg 베놈

파일:꺽지(배틀로봇).jpg 꺽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REX.jpg REX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46대47대48대49대50대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파일:블랙홀(배틀로봇).jpg 블랙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빛돌이2.jpg 빛돌이2
★★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51~60대
51대52대53대54대55대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레벤톤(배틀로봇).jpg 레벤톤
★★
파일:부라퀴.jpg 부라퀴
★★
파일:하마(배틀로봇).jpg 하마

파일:나래(배틀로봇).jpg 나래
★★★★
56대57대58대59대60대
파일:고고씽3.jpg 고고씽3
★★★★
파일:스틸원.jpg 스틸원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REX2.jpg REX2

파일:카니지(배틀로봇).jpg 카니지
★★
61~68대
61대62대63대64대65대
파일:트라이앵글1.jpg 트라이앵글
★★★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Force1.jpg 포스
★★★
파일:짱가2.jpg 짱가2
★★★★
파일:망치(배틀로봇).jpg 망치
★★★
66대67대68대
파일:배틀로봇홈런2.jpg 홈런2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재규어(배틀로봇).jpg 재규어
★★
특별회차 배틀제왕
1호2호3호4호
[파일: 틀거지.jpg 틀거지파일:짱가3.jpg 짱가3파일:어세네.jpg 어세네파일:하늘天.jpg 하늘天



수상 이력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로봇파워 로고3.jpg
제1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이름 샤크
구호 바다의 왕자
파일럿 임덕수
소속 -
차체 형태 빗면 리프터/리프트형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제8대 / 1승
승률 34전 22승 12패
0.647
출전 배틀제왕전 제19회-제20회 / 제8대 배틀제왕
기타 제2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1]
제1회 배틀로봇 왕중왕전

1. 역사
2. 기타




1. 역사[편집]


샤크는 로봇파워만으로 국한해서 보는 것과 외부 경기를 함께 보는 것의 차이만으로 그당시 샤크의 위치가 크게 좌우되었다.

기록은 2004년때 제2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서 리프트대신 디스크를 채용한 형태로 보였던 것이 시초에 가까웠으며, 그후 로봇파워에서 4대천황전을 치르며 사방불패2에게 지면서 아쉽게 준우승에 머무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샤크의 경우 로봇파워 공식전에서는 유닥 부진했지만 비공식전이었던 제1회 로봇파워 왕중왕전에서는 배틀제왕들 간의 싸움에서 들어온 와일드카드치고는 너무나 강한 면모를 보였으며 결승전때 트라이던트만 없었다면 확고한 가치를 지닌 우승이었을 것이다.

그후 시간이 흘러서 RATS하이킥이 로봇파워 최초로 5연승 도전을 할 때 갑자기 나타나서 배틀제왕전에 오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렇게 경기가 진행되었고,[2] RATS하이킥의 공격을 피하면서 빗면으로 역습 찬스를 만들어 나가면서 팽배한 싸움이 계속되었고 샤크의 빗면에 기진맥진했던 RATS하이킥, RATS하이킥의 리프트로 한 번 뒤집혔던 샤크는 결국 판정으로 인하여 연장전을 치르게 되는데, 연장전에서는 RATS하이킥의 강세가 시작되었고 샤크는 재빨리 기회를 만들어서 RATS하이킥을 상대로 역습을 가해야만 했다.

여기서! 충격적인 이변이 발생했고, 결국 배틀제왕에 입성하게 되었다. 자세한 건 RATS하이킥 항목 참조.

운도 따라주었지만, 경기력은 상당했기에 조금은 아쉬운 영광을 남기게 되었다.

그후 2연승 도전자가 나타났으니 바로 같은 명지대소속으로 RATS하이킥의 대리복수를 하러 나온 타나토스.

경기가 시작되자 타나토스의 공격을 역으로 받아쳐 뒤집어버릴뻔하거나 타나토스의 보조 지지대를 날려버리며 우세를 점하다가[3] 측면 타격을 받은 후부터 타나토스의 거침없는 공격이 이어진 나머지 차체가 만신창이가 되어버렸고, 결국 배틀제왕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그후로는 영 소식이 없었다가 제3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 출전, 이름도 돌아온 샤크로 개정해서 출전했다.

본선에 진출하여 16강에서 로보스칸2를 격파하며 8강에 진출하였고 8강에서 난적이었던 사방불패2를 상대로 멋진 기습공격으로 승리를 거머쥐며 4강에 입성했는데, 상대는 배틀로봇 초기 사기급 배틀로봇 스텔스였고, 초반에 기습공격을 감행했다가 되려 스텔스의 맹공에 구동부가 파손당하면서 결국 패배, 대회 3위에 입성하게 되었고,

스텔스의 3연승도전기에서 정말 오랜만에 정규전에 참여를 하였지만 스핀킹에게 바퀴와 측면타격으로 멈춘 것을 마지막으로 정규전에서 자취를 감춘다.[4]


2. 기타[편집]



몇안되는 5연승 슬레이어중 한대이다.

로봇파워 전적은 미미했지만 그외 대회는 샤크가 굉장히 강세였기에 여러모로 봐야하는 부분이 많은 배틀로봇이다.

여담으로 샤크2 또한 존재했지만,[5] 기록이 있어봐야 제5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예선탈락(...)정도였고, 다른 대회 기록은 그저 미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3:57:55에 나무위키 샤크(배틀로봇)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돌아온 샤크로 차체를 개명함[2] 왕중왕전 우승자와 최초의 5연승 도전자간의 빅매치라며 해설위원들이 많이 띄워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다만 양쪽 지지대 중 하나는 타나토스가 본인의 블레이드로 스스로 날려버리긴했다(...)[4] 참고로 이 경기는 대한민국 로봇대전 이전에 펼쳐진것이다. 외형 역시 변화되었다. 이는 3회 로봇대전의 돌아온 샤크와 동일 그저 이름만 바뀌었을 뿐이다.[5] 수직회전 드럼을 장착한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