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Fear & Hunger 시리즈)

덤프버전 : r (♥ 0)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Girl_portrait.webp

소녀는 잠시 당신의 손을 잡았다가 놓아버렸다.

The girl takes your hand for a second before letting it go.

플레이어가 소녀에게 대화 할 시.


1. 개요
2. 특징
3. 작중 행적
3.1.1. 필드 내에서의 상호작용
3.1.2. 엔딩 A
4. 전투
5. 성능
6. 여담


The Girl / 소녀


1. 개요[편집]


Fear & Hunger의 등장인물.

2. 특징[편집]


말을 할 수 없는 것인지 아니면 말수가 적은 편인지 말을 전혀 하지않으며. 기가 상당히 약해보이는 성격이다. 그리고 자해인지, 아니면 다른 누군가가 그랬는지는 몰라도 팔에 수많은 상처들이 있다.

던전 나이트 모드에서는 설정 상 고등학생이지만 본편처럼수줍음이 많은 공략 불가 NPC로 등장한다. 말 대신 몸짓으로 의사표현을 하고 문리스를 쓰다듬는 것이 주 일과.


3. 작중 행적[편집]



3.1. Fear & Hunger[편집]


소녀가 영입된 상태에서 Level 3 창고의 이상한 인형이나 Level 1 안뜰의 단검을 주우면 소녀에게 선물해줄 수 있게 된다. 선물해줄 수 있는 게 하나같이 기분나쁜 것들 뿐이지만 의외로 소녀도 좋아하면서 감사를 표하는 훈훈한 이벤트. 보상은 없다. 상기한 물품들을 이미 주운 상태에서 소녀를 영입하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소녀를 영입한 상태에서 죽어있는 리가르드를 만나러 가면 소녀가 슬퍼하는 연출이 나온다. 대놓고 독백에서 소녀와 리가르드가 아는 사이였던 것 같다는 텍스트까지 나온다. 하지만 그 외에는 딱히 상호작용이 없다. 리가르드를 영입한 후 소녀를 영입해도 아무 이벤트가 없다.

그러나 이 여자 아이의 정체는 영원의 신 닐반(Nilvan)과 리가르드의 딸이며[1] 닐반이 플레이어에게 소녀를 이끌어주어 던전에서 가장 깊숙한 곳으로 인도시켜 승천해달라고 부탁한다.[2] 플레이어는 이에 응해 소녀를 이끌어 심연의 신의 심장들을 파괴하여 심연의 신의 내부로 이끌게 되고 거기서 소녀의 실체가 드러나게 되는데...


3.1.1. 필드 내에서의 상호작용[편집]


중후반부 맵 이곳 저곳에서 출현하는 포켓캣[3]이란 NPC에게 팔 수 있는 동료 중 하나다. 해당 NPC에게 소녀나 꼬마 악마를 팔면 하나당 클레이모어, 계몽의 서, 잊혀진 기억의 책, 고대의 서 중 하나를 구매할 수 있다. 꼬마 악마는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는 동료지만 다시 만들어 팔려고 해도 처음 단 한번만 구매해주니 교환할 수 있는 횟수는 소녀와 꼬마 악마를 바쳐 얻는 두 번 뿐이다.
후반부 맵인 Level 2 신들의 묘소에 출현하는 달의 여인에게 대화를 통해 소녀를 넘겨줄 수 있다. 소녀를 팔면 골절이나 항문 출혈을 포함한 대부분의 상태이상, 절단된 팔과 다리까지 전부 회복시켜준다.

포켓캣과 달의 여인이 그럴듯한 대가를 제시하며 소녀를 넘길 것을 종용하는 것은 그들의 주인인 달의 신 레르(Rher)가 이렇게 인간이 승천해서 고대 신과 동렬에 서는 것을 매우 싫어하기 때문에 하수인들로 하여금 승천할 가능성이 있는 아이들을 잡아들이고 있기 때문. 물론 넘기면 여자아이는 해당 회차에서 영구히 사라지며 엔딩 A는 볼 수 없게 된다. 포켓캣의 경우 마지막 조우시에 아이를 넘기길 거절하면 몸집을 부풀리며 위협하지만 실제로 해를 끼치진 않으니 거절해도 별 피해는 보지않는다.


3.1.2. 엔딩 A[편집]


Why do you resist?

왜 저항하는 거죠?

The thought must have crossed your mind at some point...

어느 시점에 당신도 알고 있었잖아요...

The thought that you delved too deep.

당신이 이미 너무나 깊게 파고들었다는 사실을.

The thought that this would be one-way trip.

더 이상 되돌아갈 길이 없다는 사실을.

So instead of fighting the inevitable, why not embrace it?

이 모든 것이 불가피하다면, 왜 받아들이지 않는 거죠?

Just lay down and rest.

자, 이제 여기 누워 지켜봐 주세요.

There is beauty in the darkness that can be harnessed and used to usher something new.

이 어둠 속에도 새로운 것들이 피어오르기 위해 춤추고 있다는 사실을.


엔딩A이자 본 게임의 진 최종보스으로 각성하게 된다. 이 순간부터 변신을 하기 시작하는데 총 5페이즈로 변신하며 바로 '공포와 허기의 신'으로 각성한다.[4] 새로운 신 같은 어중간한 신으로 각성한 것이 아니라 알머처럼 고대의 신과 동격인 권능을 가진 신으로 승천한 건데 인간과 새로운 신의 혼혈이 한없이 어두운 구렁 안에서 태어나 비참함만을 알고 성장한 상태에서 어둠의 제단에 도달한 것이기에 비로소 진정한 신인 공포와 허기의 신으로 승천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시체에서 얻을 수 있는 고대의 존재의 영혼도 이를 암시하는 복선. 페이즈가 무려 5개나 있는데 전투에서 승리한다해도 그저 플레이어에게 자비를 베풀고 있던 것뿐이였으며, 그나마 플레이어에게 연민을 느껴서 던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편안한 안식을 준다.[5] 참고로 플레이하면서 단검이나 인형을 선물했었다면 소녀 시절 기억이 떠올라 턴을 넘기거나 자해를 하며 스스로에게 데미지를 입힌다. 본의로 플레이어를 죽이려 드는 것은 아닌 듯 하다. 속편에 의하면 공포와 허기의 신은 인류를 발전의 신세대로 가져다주었다[6]고 하고 게임 내에서 고대의 신들과 올메르와 견주는 신앙들 중 하나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 소녀가 공포의 허기의 신으로 승천한 것이 정사인 것으로 보인다.

정사 엔딩 중 하나로, 이후 공포와 허기의 신은 카하라에게 건넨 위로처럼 지상의 인류 문명의 발전에 가담하여 신앙의 대상이 된다.[7] 비록 목숨은 잃지만 새로운 신의 도움으로 안식에 다다르는 정신적으로는 편한 결말.

3.2. Fear & Hunger 2: Termina[편집]


전작에는 엔딩 A에서만 등장했으나 본편에서는 1편의 엔딩 A가 정사로 승격되며 공포와 허기의 신이 인류 문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만큼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보니 그녀와 관련된 문양과 마법들이 등장한다. 심연의 신(God of the Depths)의 육신을 그릇삼아 성장했기 때문인지 본래 심연의 신의 영역이었던 벌레, 유해조수 관련 스킬들이 2편에서는 공포와 허기의 신의 영역으로 넘어왔다.

의식의 원 위에 공굶신의 문양을 그리면 보너스 저장 기회 1회 한정으로 할 수 있게 해주며[8], 새기기를 통해 민첩성 5 스탯 등을 주며, 쥐떼, 부패 등 1편 심연의 신 계통 마법까지 담당한다. 직접적으로 심연의 신을 계승했다는 걸 보여주듯 상징 또한 심연의 신의 상징인 각진 R자를 서로 마주보게 붙여서 M자가 된 형태다.


4. 전투[편집]


파일:공굶신1.webp파일:공굶신2.webp파일:공굶신3.webp파일:공굶신4.webp파일:300px-God_of_fear_and_hunger5.webp
1페이즈2페이즈3페이즈4페이즈5페이즈
God of Fear and Hunger / 공포와 허기의 신[9]

  • 기본 스탯
신체 부위체력타격베기관통기타회피마법 회피저항
공포와 허기의 신(1페이즈)10000100%100%100%100%100%5%없음혼란
공포와 허기의 신(2페이즈)1200(4000)
공포와 허기의 신(3페이즈)1200(4000)혼란, 실명
공포와 허기의 신(4페이즈)2700(9000)
공포와 허기의 신(5페이즈)6000

  • 전리품
없음
  • 훔치기 시
없음

엔딩 A의 최종 보스. 1페이즈 디자인은 솔로몬의 72 악마부에르로 보이며 2페이즈 디자인은 밀로의 비너스, 3페이즈와 5페이즈 디자인은 사일런트 힐 3의 글루톤을 모티브로 했다. 페이즈에 따라 인간 숙주의 모습이 점점 커지면서 팔다리가 늘어나더니 마지막 페이즈에서는 살가죽을 벗고 허수아비의 모습으로 진정한 모습을 드러낸다.

매턴마다 일정 데미지를 입을 때마다 페이즈 변화가 이루어지는데, 4페이즈의 손바닥 세례와 5페이즈의 즉사기인 동전 던지기 공격이 상당히 위협적인 편이다.

약점은 화상이며, 매 페이즈 변화마다 화염구와 같은 스킬로 화상 상태이상을 입혀주는 게 좋다. 이전에 소녀한테 단검과 특이한 인형을 장착시켰다면 주인공이 한 선행을 떠올리며 자해를 하느라 아무것도 안하고 턴을 넘긴다.


5. 성능[편집]


가장 빠르게 영입할 수 있는 동료 캐릭터. Level 1 입구에서 네모난 우리같은 곳에 갇혀있으며, 작은 열쇠로 문을 따거나 자물쇠 따기 스킬로 풀어주면 영입된다.

그러나 동료로서의 성능은 압도적으로 나쁘다. 아무런 스킬도 없음. + 기본 공격력 5 + 대부분의 무기 및 중장갑 착용 불가라는 디메리트들을 덕지덕지 달고 있다. 다행히도 자동 행동이라는 디메리트는 없어서 최하위권 동료들보다는 사정이 낫지만,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에 비하면 하찮은 성능이다. 대신 영입할 수 있는 타이밍이 굉장히 빠르며, Level 1 안뜰에서 구할 수 있는 단검만 쥐여주면 스치면 즉사하는 체력의 신체 부위 정도는 쉽게 토막낼 수 있게 된다. 스킬 두루마리를 통해 공격력이 중요치 않은 강력한 마법을 배우게 해주면 1인분 정도는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줄 수도 있다.

육신의 혼인 대상으로는 선택 불가. 해당 행위가 성교를 요구하는 행위다 보니, 심의 및 규제 문제로 안 넣은 것으로 보인다. 소녀의 시체에 영혼석을 사용하면 '고대의 존재의 영혼'을 얻을 수 있다. 거창한 이름과는 달리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성능상으로는 잡템보다 못 한 로어 목적의 아이템이다.


6. 여담[편집]


  • 2차 창작에서는 주로 플레이어블 캐릭터들과 같이 행복하게 지내는 모습으로 자주 그려진다. 그 중 카하라와 유사 부녀관계로 자주 묘사되며, 같은 여성인 다르스와 함께 잘지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3 20:36:27에 나무위키 소녀(Fear & Hunger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원의 탑에서 닐반을 만나면 소녀에게 아는체를 하는데 어머니라는 것을 모르는지, 아니면 다른 사연이 있는 건지 반가워하기는 커녕 주인공 뒤로 숨는다.새로운 신들에게 여자아이에 대한 것을 물어보면 예언의 사내와 닐반에게 태어난 자식임을 알려주며, 지금까지 이러한 사례가 나오지 않았던 것에 큰 흥미를 갖고 그녀의 승천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2] 거절할 시 실망스런 표정을 짓고 떠난다고 묘사된다.[3] 세계 각국에서 아이를 유괴하는 악당으로 유명하고, 관련 동화도 있다. 너 떠들면 포켓캣이 잡아간다! 하는 이야기 속 등장인물인 셈인데, 실제로 아이들을 잡아간다는 게 문제이다. 후속작 테르미나에서도 옷만 좀 바꿔입고 등장하며, 주인공 중 1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름답게 주머니(포켓)에 손을 넣고 다니며, 손을 열심히 움직여 자위행위를 한다.[4] 이때 선택지로 "괜찮으니?"를 고를 시 무언가 심각해진 얼굴을 한다는 말과 함께 곧바로 각성해버리기 시작하고 절벽에 서있으면 위험하다는 걱정을 해주는 선택지를 고르면 플레이어를 안심시키기 위해 미소를 짓지만 이미 이 시점부터 플레이어가 공포를 느끼기 시작하면서 각성을 하기 시작한다. 아마 자신의 정체성과 승천의 때를 깨달은 상태이지만 그럼에도 자신을 아껴주는 플레이어의 상냥함에 무언가를 느낀 모양.[5] 5페이즈에서 신이 된 소녀가 그제서야 플레이어를 알아본다는 언급을 한 것을 보아 신의 권능에 자아가 침식되어 폭주했으나 플레이어의 사투로 인해 소녀의 자아가 다시 깨어난 것으로 보이며 클리어 후엔 신이 된 소녀가 플레이어를 위로하며 편안한 안식을 안겨준다.[6] 공포와 허기의 신이 탄생하며, 인류가 공포를 느낌으로서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버둥칠 동기가 부여되고 배고픔을 느낌으로서 허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문명의 발전을 이루기 시작하여 근대 사회로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후속작에서 찾을 수 있는 역사서 아이템에서 시대 구분을 언급한다.[7] 정황상 이 엔딩을 맞이한 주인공은 카하라로 지목되고 있다. 리가르드를 부활시킨 다르스, 공포와 굶주림의 신에 대한 인피성서를 저술한 엔키, 후손을 남긴 라겐발드르와는 달리 후속작에서 언급이 되지 않는 유일한 인물이기 때문. 다만 2편의 오사 시작 문답 중, 던전 입구에서 발견할수있는 가죽갑옷을 입은 유골이 카하라라는 가설도 존재한다. 제작자의 발언 등으로 미뤄보아 풀리지 않을 떡밥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8] 이지 모드일 시에는 세 번까지 가능해진다.[9] 2편의 비공식 한글패치판에서는 공포와 굶주림의 신으로 번역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