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단 파운드

덤프버전 :



جنيه سوداني (아랍어), Sudanese Pound (영어)

파일:BOS_LOGO.png

1. 개요
2. 1기 (SDP)
2.1. 1차
2.2. 2차
2.3. 3차
2.4. 4차
3. 2기 (SDG)
3.1. 1차 및 개정판(현행권)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단 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SDG[1], 특별한 기호는 없지만 명색이 파운드화이니 £를 사용하나 LS도 사용한다.

파운드 계통 단위로 존재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랍어로는 '주나이흐(جنيه / junayh)'라고 한다. 이건 모든 아랍어권 공통.

1기 파운드와 2기 파운드 사이에 1992년부터 유통된 수단 디나르가 끼어 있다. 남수단의 경우는 디나르를 사용하지 않고 계속 파운드를 사용했는데, 제 2차 수단 내전(1983 ~ 2005)이 원인으로 신권 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보조 단위는 피아스터(또는 키르시)이나 현재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인플레이션은 9%.


2. 1기 (SDP)[편집]



2.1. 1차[편집]


이집트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이집트-영국 공동 지배하에 놓이면서 자연스레 수단에서도 이집트 파운드가 통용됐는데, 독립 후 이를 대체하고자 등장한 시리즈. 교환비는 당연히 1:1이었다.

1956년 당시에는 중앙은행의 부재로 위원회 제도 위탁 하에 생산,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중앙은행이 설립되고 2년 후인 1962년이었으며 당시 환율은 미국 달러 고정환율로 LS.0.3482/$.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jpgPT.25군인들낙타와 기수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jpgPT.50코끼리 두마리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jpgLS.1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3.jpgLS.5다우선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4.jpgLS.10수단은행 빌딩


2.2. 2차[편집]


대략 1978년경에 완성된 시리즈로, 점차 가치의 하락세를 보인 시리즈이다.
도안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5.jpg앞면 공통수단은행 건물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6.jpgPT.25섬유 공장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7.jpgPT.50수단은행 빌딩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8.jpgLS.1나가의 키오스크 유적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9.jpgLS.5수단의 야생동물들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0.jpgLS.10포트수단


2.3. 3차[편집]


1980년대 초부터 등장한 시리즈.
도안
파일:sud016_f.jpg앞면 공통가파르 니메이리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2.jpgPT.25코스티 다리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3.jpgPT.50수단 은행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4.jpgLS.1국민 의회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5.jpgLS.5이슬람 중앙 모스크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6.jpgLS.10공장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7.jpgLS.20통일 기념비, 인민 궁전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18.jpgLS.50닻, 범선과 유조선
  • 25피아스터와 10파운드권은 색이 다른 버전이 있다.


2.4. 4차[편집]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된 시리즈.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0.jpgPT.25낙타, 윤곽수단은행 건물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1.jpgPT.50리라와 북, 땅콩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2.jpgLS.1목화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3.jpgLS.5소 사육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4.jpgLS.10수아킨 성문 유적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5.jpgLS.20전통 배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6.jpgLS.50국립 박물관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27.jpgLS.100하르툼 대학교 건물
  • 5파운드 ~ 100파운드는 1991년 색깔을 달리하여 재차 출시되었었다.
  • 이후 수단 디나르로는 10파운드 = 1디나르의 개혁이 이루어졌다.


3. 2기 (SDG)[편집]



3.1. 1차 및 개정판(현행권)[편집]


2006년 등장한 시리즈이며 현행권이다. 오랜 기간 이어진 북수단남수단의 내전에서 화해협정을 맺은 것을 계기로 등장하였다. 북수단의 디나르와 교환비는 1/100이며, 남수단의 기존 디나르와의 교환비는 1/1000이다. 2021년 11월25일 현재 환율은 약 2원72전/£이다.

구형과 신형이 있는데 구형은 남수단을 포함한 버전(2006년), 신형은 남수단을 제외한 버전(2011년)이다. 구형의 경우 그려져있는 지도가 남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2011년 분리후 빠지게 되었다.

구형(유통 중지)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31.jpgLS.1하르툼 소재 중앙은행과 비둘기비둘기들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32.jpgLS.50야생동물들[2]가축들[3]

신형앞면뒷면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1.jpgLS.2도자기악기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2.jpgLS.5장식화 벽 및 인공위성수력발전소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3.jpgLS.10타발디아 나무, 와투시 소, 낙타하르툼 시민의 궁전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4.jpgLS.20유전탑공장, 라디오 안테나, 각종 과일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5.jpgLS.50중앙은행, 금괴전통 물고기 잡이, 낙타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6.jpgLS.100메로에 피라미드메로에 댐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7.jpgLS.200전통 가옥과 현대 건물부족과 종교 간 화합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8.jpgLS.500NTC[4], 위성 안테나하르툼 정유공장
파일:attachment/수단 파운드/nsdp049.jpgLS.1,000알카다리프의 사일로, 수수마라산 폭포, 경작하는 농부들
  • 동전의 경우 1, 5, 10, 20, 50피아스터까지가 첫 발행이고, 신형 판본에 1파운드화가 새로 등장했다. 하지만 가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2015년부터 사실상 폐지된 상태.
  • 2018년 중후반 새로운 도안의 핑크색 50파운드권이 도입됨과 동시에 기존 50파운드권은 유통 정지되었는데, 위조지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4.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88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수단 공화국
관련 문서
<^|1><height=34><colcolor=#fff><bgcolor=#000,#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9:19:43에 나무위키 수단 파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기 파운드는 SDP[2] 코뿔소, 코끼리, 원숭이, 물소, 얼룩말, 기린[3] 양, 소, 염소, 낙타[4] 국립 통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