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동음이의어)

덤프버전 :

1. 水泳, 헤엄의 한자어
2. 水營
3. 2에서 유래한 대한민국지명
4. 걸그룹 소녀시대멤버
5. 식물의 종류


1. 水泳, 헤엄의 한자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水營[편집]




조선시대 수군절도사의 군영(軍營).[1]

1393년(태조 2) 3월에 왜구를 격퇴하기 위한 해양방위체제가 성립된 뒤, 1457년(세조 3)에 전국을 방위체제화하는 진관체제가 실시됨으로써 각 도의 수군지휘관의 명칭이 수군절도사(수사)로 통일됨에 따라 수사의 군영으로 자리잡았다.

진관체제에 따라 주지으로 아래에 거진과 제진을 두었으며, 강원도·황해도·평안도·함경도에는 각 1인의 전임수사와 1인의 겸임수사(주로 관찰사가 겸임)가 배치되고 경상도전라도에는 각 2인의 전임수사가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전임수사가 집무하던 곳을 수영이라 하였다. 다만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는 육군에 북방 이민족의 침공이 주로 육로로 집중되기에 육군으로만 편성되어 있어 수영이 설치되지 않았다.

각 수영은 모두 주위에 석성을 구축하고 해안 및 연안방위에 임하고 있었으나, 조선 초기의 수군 편성이 엄격한 지역방위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각 도의 수영에서는 인원의 차출, 병선의 건조, 무기의 제조, 수군의 훈련 등 중요한 의무가 부여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때 군사상의 취약점을 고려하여 하삼도의 수영들을 통괄하는 통제영이 설치되고 인조 때에는 경기수영과 충청수영을 통괄하는 통어영이 설치되기도 하였으나, 수사가 지휘하는 수영의 업무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단지 수영의 위치가 군사상의 이유로 옮겨진 곳은 있었다.[2]

1907년 일제의 군대해산령에 의해 각 도의 수영은 폐영되었으나, 지금까지도 수영이 있었던 곳은 그 명칭과 함께 흔적을 남겨두고 있다.

3. 2에서 유래한 대한민국지명[편집]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수영구(水營區) 일대를 말한다.
조선시대 경상좌수영이 있었던 자리가 지금의 수영구 지역이었으며, 수영강, 수영구, 수영동 등 현재도 많은 지명이 남아있다.

이 외에 공식 행정지명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전라우수영이 있던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가 '우수영' 이라는 지명으로 불리고 있다.
우수영여객선터미널, 우수영국민관광지 및 진도대교가 위치하며, 이 앞을 흐르는 바다가 바로 울돌목(명량수도) 이다.


4. 걸그룹 소녀시대멤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영(소녀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식물의 종류[편집]


Rumex acetosa 석죽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수영을 흠씬 고아서 졸인 다음 감주같은 식혜를 만들어 먹으면 오래된 구체도 낫고, 못고치는 위장병도 낫고, 그것이 장을 타고 직장까지 내려가면서 다 좋아지는 묘한 약성을 지니고 있다. [출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00:08에 나무위키 수영(동음이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선 시대 지방 행정·군사기구에서의 좌우 개념은 북쪽을 위로 두는 일반적인 지도에서 볼 때가 아닌, 임금이 계신 서울(한성)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충청, 전라, 경상 등 남부지방의 경우 서쪽이 우, 동쪽이 좌가 된다.[2] 해안지대의 지형, 간석지의 형성, 흙모래의 퇴적은 시기마다 달라질 수 있어 해안선이 함선을 정박하기 힘들 정도로 모래가 쌓여 있다면 위치를 이동할 수 밖에 없었다.[출처] 天壽 - 김일훈선생과 오정삼 대화록 55페이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