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희

덤프버전 : r (♥ 0)

홍상수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6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로고.png파일:1998 강원도의 힘 로고.png파일:2000 오 수정 로고.png
파일:2002 생활의 발견 로고.png파일:2004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로고.png파일:2005 극장전 로고.png
파일:2006 해변의 여인 로고.png파일:2007 밤과 낮 로고.png파일:2008 잘 알지도 못하면서 로고.png
파일:2009 하하하 로고.png파일:2010 옥희의 영화 로고.png파일:2011 북촌방향 로고.png
파일:2011 다른나라에서 로고.png파일:2012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로고.png파일:2013 우리 선희 로고.png
파일:2014 자유의 언덕 로고.png파일:2015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로고.png파일:2016 당신자신과 당신의 것 로고.png
파일:2016 밤해혼 로고.png파일:2017 그 후 로고.png파일:2016 클레어의 카메라 로고.png
파일:2017 풀잎들 로고.png파일:2018 강변호텔 로고.png파일:2020 도망친 여자 로고.png
파일:2021 인트로덕션 로고.png파일:2021 당신얼굴 앞에서 로고.png



우리 선희 (2013)
Our Sunhi
파일:external/ccd8fd199f1556be0163d04c060b82842b68c77210ace0cf428f208cbf029f52.jpg
장르드라마
상영 시간89분
개봉일2013년 9월 12일
감독홍상수
출연정유미, 이선균, 김상중, 정재영, 예지원, 이민우
국내 등급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평가
5. 기타



1. 개요[편집]


홍상수 각본, 연출. 감독의 열 다섯번째 장편 2013영화.


2. 예고편[편집]





3. 시놉시스[편집]


영화과 졸업생 선희(정유미)는 오랜만에 학교에 들른다. 미국유학을 위한 추천서를 최교수(김상중)에게 부탁하기 위해서. 평소 자신을 예뻐한 걸 아는 선희는 최교수가 추천서를 잘 써줄 거라 기대한다. 그러면서 선희는 오랜만에 밖에 나온 덕에 그 동안 못 봤던 과거의 남자 두 사람도 만나게 되는데, 갓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문수(이선균)와 나이든 선배 감독 재학(정재영)이 두 사람.
차례로 이어지는 선희와 세 남자들과의 만남 속에서, 서로는 서로에게 좋은 의도로 ‘삶의 충고’란 걸 해준다. 선희에게 관심이 많은 남자들은 속내를 모르겠는 선희에 대해 억지로 정리를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 말들은 이상하게 비슷해서 마치 사람들 사이를 옮겨 다니는 것처럼 보인다. ‘삶의 충고’란 말들은 믿음을 주지 못하고 미끄러지는 거 같고, 선희에 대한 남자들의 정리는 점점 선희와 상관없어 보인다.
추천서를 받아낸 선희는 나흘간의 나들이를 마치고 떠나지만, 남겨진 남자들은 ‘선희’란 말을 잡은 채 서성거린다.
줄거리 출처


4. 평가[편집]


★★★☆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 이동진


★★★☆

누구의 선희도 아닌 선희

- 김혜리


★★★☆

엉큼함에 웃고 옹졸함에 또 웃고

- 박평식


2014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올해의 영화 10위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2013년 제66회 로카르노 영화제 국제경쟁-감독상


제1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심사위원특별상


2014년 제23회 부일영화상 최우수감독상


2013년 씨네21 BEST 한국영화 3위 링크



5. 기타[편집]


-<우리 선희>에서는 말이 돌고 있습니다. 선희에 대한 평가도 그렇고, 서로들 삶에 대해 훈계하는 조언들도 그렇고요. 이 영화는 ‘우리’ 선희에 대한 이야기인지요, 아니면 선희를 둘러싼 ‘말’에 관한 이야기인지요.(송경원)

=우린 부족하지만 선희를 우리 눈으로 직접 보고 있고, 남자들은 선희에 대해서 말을 합니다. 그 둘 사이의 간격을 느끼면서 우린 선희에 대해서 생각합니다. 말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출처


-문수, 재학, 최 교수, 세 남자의 선희에 관한 묘사는, 선희가 내성적이고 또라이 같지만 안목이 좋다는 쪽으로 모아집니다. 하지만 영화에서 선희의 그런 면모를 알 만한 행동을 우리가 보았는가 되물어보면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의도적으로라도 영화 속 선희는 이상의 말들에 걸맞은 행동을 보여주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선희라는 실체와 선희라는 실체에 대한 말들의 차이’라고나 할까요. 이 보이는 것과 말해지는 것의 차이에 관한 감독님 의 생각이 듣고 싶습니다.(정한석)

=말로 뭔가 좋은 일, 중요한 일을 하려면 정확해야 하는데, 그게 여러 이유로 굉장히 힘든 거 같습니다. 말이 파악했다고 주장하는 그 핵심이란 것, 본질이란 것도 실제로 살면서 보면 별로 핵심도 본질도 아닌 거 같고요. 우린 그냥 그 단순 명료한 말이 좋아서 믿고 싶어 하고, 밀고 나가는 꼴입니다. 그런 걸 아예 찾으려 하지 않고 사는 게 좋은 길인 거 같습니다, 저한테는. 출처


  • 정유미는 이 영화로 2013년 제1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영화에 연극 배우 겸 가수 최은진의 1집 <풍각쟁이 은진> 중 <고향>이라는 노래가 나오는데, # 최은진은 영화에 등장하는 카페 '아리랑'의 실제 주인이다.

  • 보통 홍상수 영화에는 클래식이 배경음악으로 자주 쓰이는데, <고향>의 경우 우연히 카페 '아리랑'에 갔다가 주인 최은진이 부른 노래를 들었고 좋아서 넣게 되었다고 한다.

  • 13분 가량의 긴 원신 원컷 장면이 등장하는데, 실제 술을 마시며 진행된 촬영이라 이선균정재영 모두 많이 취했다고 한다. 영화 속 장면은 그 날의 마지막 테이크였다. 이 신에서 유명한(?) 이선균의 파고 가고 파고 가고 대사는 술을 많이 마셔 대사를 잠깐 까먹은 이선균이 즉흥적으로 넣은 것이다. 홍상수는 그의 애드립을 매우 흡족해했다고 한다.[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1:40:12에 나무위키 우리 선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홍상수는 애드립을 좋아하지 않고, 지시한 대사대로 연기하길 요구하는 감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