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그 노래, 새가수/발매 음원/2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새가수/발매 음원



파일:우리가 사랑한 그 노래, 새가수.jpg


[ 출연진 ]
{{{#!wiki style="margin:0 0.5%;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25%"
[ 발매 음원 ]

파일:새가수 Episode 1.jpg


파일:새가수 Episode 2.jpg


파일:새가수 Episode 3.jpg


파일:새가수 Episode 4.jpg


파일:새가수 Episode 5.jpg

Episode 1
2021.07.16.
Episode 2
2021.07.23.
Episode 3
2021.07.30.
Episode 4
2021.08.06.
Episode 5
2021.08.15.

파일:새가수 Episode 6.jpg


파일:새가수 Episode 7.jpg


파일:새가수 Episode 8.jpg


파일:새가수 Episode 9.jpg


파일:새가수 Episode 10.jpg

Episode 6
2021.08.22.
Episode 7
2021.08.29.
Episode 8
2021.09.05.
Episode 9
2021.09.12.
Episode 10
2021.09.19.
}}}
{{{#!wiki style="margin:0 0.5%; display:inline-block; color: #fff; min-width: 25%">
[ 방영 목록 ]

Episode 2

파일:새가수 Episode 2.jpg

발매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7월 23일
아티스트
Various Artists
타이틀
불놀이야
기획사
(주)금길, (주)애플뮤직, 정호뮤직
유통사
다날엔터테인먼트

1. 개요
2. 트랙리스트
3. 음원 및 가사
3.1. 이동원 - 불놀이야
3.2. 유다은 - 지상에서 영원으로
3.3. 이민재 - 비나리
3.4. 한가람 - 너를 품에 안으면
3.5. 박산희 - 건널 수 없는 강
3.6. 정준희 - 어둠 그 별빛
3.7. 류정운 - 마론 인형
3.8. 정시빈 - 그대 모습은 장미
3.9. 최동원, 허은율 - 어느 소녀의 사랑 이야기
3.10. 박효진 - 인디언 인형처럼



1. 개요[편집]


2021년 7월 23일에 발매된 우리가 사랑한 그 노래, 새가수의 두 번째 음원이다.


2. 트랙리스트[편집]


우리가 사랑한 그 노래, 새가수 Episode 2
2021.07.23. 발매
트랙
제목
아티스트
작사
작곡
편곡
음원
1
불놀이야
이동원
홍서범
홍서범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지상에서 영원으로
유다은
강은경
이태섭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비나리
이민재
심수봉
심수봉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너를 품에 안으면
한가람
김준선
김준선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건널 수 없는 강
박산희
이정선
이정선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어둠 그 별빛
정준희
정성주
김현식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마론 인형
류정운
김윤아
김윤아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그대 모습은 장미
정시빈
강인원, 박건호
강인원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어느 소녀의 사랑 이야기
최동원, 허은율
박건호
이범희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인디언 인형처럼
박효진
김순곤
이호준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음원 및 가사[편집]



3.1. 이동원 - 불놀이야[편집]


{{{#4E5D57 원곡자: 옥슨80
1979년에 결성된 건국대 캠퍼스 밴드 옥슨79의 2기 밴드인 옥슨80이 1980년 제3회 TBC 젊은이의 가요제에서 금상을 수상한 곡이다.
보컬 및 기타를 맡은 홍서범의 에너지가 가득 느껴지는 호쾌한 락 넘버로 파워있는 인트로부터 고조되는 곡 구성으로 당시 대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전국대학연맹전에서 건국대 응원가로 쓰였으며, 2010년에 윤도현밴드가 네 번째 앨범 ‘한국 Rock 다시 부르기’에서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이동원 - 불놀이야
[ 가사 ]
저녁노을 지고 달빛 흐를 때
작은 불꽃으로 내 마음을 날려봐

꼬마 불꽃송이 꼬리를 물고
동그라미 그려 너의 꿈을 띄워봐

저 들판 사이로 날면
내 마음의 창을 열고
두 팔을 벌려서 돌면
야! 불이 춤춘다 불놀이야

저 하늘로 떠난 별들을 보며
힘껏 소리치며 우리 소원 빌어봐

저 들판 사이로 날면
내 마음의 창을 열고
두 팔을 벌려서 돌면
야! 불이 춤춘다 불놀이야

야! 불이 춤춘다 불놀이야

저 들판 사이로 날면
내 마음의 창을 열고
두 팔을 벌려서 돌면
야! 불이 춤춘다 불놀이야



3.2. 유다은 - 지상에서 영원으로[편집]


{{{#4E5D57 원곡자: 정경화
1999년에 발매된 정경화 3집 앨범의 타이틀곡이다. 호소력있는 후반부의 강한 보컬에 실린 멜로디가 인상적인 곡. 신촌블루스 객원보컬로 가수생활을 시작했듯 2집까지는 블루스 지향의 분위기가 짙게 깔렸던데 비해 이 곡에서는 보다 락적인 접근을 엿볼 수 있다.}}}

유다은 - 지상에서 영원으로
[ 가사 ]
길 잃은 세상위에 모든 사랑이
눈물 없길 바라며
지금은 비록 우리 멀리에 있지만

언제나 그대 가슴엔 내가
내 가슴엔 그대 하나
소망할 사랑 있어 아직 불행하진 않네

조금씩 (아주 조금씩)
조금씩 (아주 조금씩)

이 세상에 마지막 밤이 올 때까지라도
용서받지 못한 채로 스쳐가도 난
다시 그대 마주하기를
천국에 푸른 밤이 열리면

만일 내가 그대보다 먼저 가
그 곳에서 사람들 나를 맞으면
바람처럼 내가 다녀온 세상
어땠냐고 내게 물어온다면

이렇게 말할게 그대 알았던 내 삶
나는 축복 받았었다고

혹시 그대 나보다 더 먼저가
혹시 그대 나보다 더 먼저가
세월 지나 내 모습 몰라보아도
사랑했던 지상 위에 기억을
아름다운 낙인처럼 남겨져

스치며 지날 때 다시 돌아볼거야
먼 기억 속에 나를 찾아



3.3. 이민재 - 비나리[편집]


{{{#4E5D57 원곡자: 심수봉
1994년에 발표한 심수봉의 7집 앨범에 수록곡으로, ‘행복을 기원하며 소원을 빈다는 뜻을 담아 제목이 지어진 ‘비나리’는 심수봉이 현재 남편을 위해 가사를 먼저쓰고 곡을 입힌 곡으로 심수봉의 여성스러움과 애절함이 가득한 곡이다.
곡의 강한 서정성으로 미스트롯, 전국트롯체전 등 트로트오디션에서 자주불리우는 곡이다.}}}

이민재 - 비나리
[ 가사 ]
큐피트 화살이 가슴을 뚫고 사랑이 시작된 날
또 다시 운명의 페이지는 넘어가네

나 당신 사랑해도 될까요
말도 못하고 한없이 애타는 나의 눈짓들
세상이 온통 그대 하나로 변해 버렸어

우리 사랑 연습도 없이 벌써 무대로 올려졌네
생각하면 덧없는 꿈일지도 몰라
꿈일지도 몰라

하늘이여 저 사랑 언제 또 갈라놓을거요
하늘이여 간절한 이 소망 또 외면할거요

나만을 사랑하면 안될까요
마음만 달아올라 오늘도 애타는 나의 몸짓들
따사로운 그대 눈빛 따라 도는 해바라기처럼

사랑이란 작은 배 하나 이미 바다로 띄워졌네
생각하면 허무한 꿈일지도 몰라
꿈일지도 몰라

하늘이여 이 사랑 다시 또 눈물이면 안 돼요
하늘이여 저 사람 영원히 사랑하게 해줘요
아~ 사랑하게 해줘요



3.4. 한가람 - 너를 품에 안으면[편집]


{{{#4E5D57 원곡자: 컬트
‘아라비안나이트’라는 솔로 곡도 잘 알려져있는 김준선이 1995년에 결성한 프로젝트 락 밴드 ‘컬트’의 1집 타이틀곡이다.
보컬이 주도하는 인트로 멜로디가 흡입력있게 다가오는 곡이며 호쾌한 보컬과 강한 디스토션이 들어간 기타사운드로 댄스음악이 강세를 보이던 당시 방송차트 10위까지 진입하는 히트를 기록하기도 했다.
슈가맨 시즌2에서 길구봉구가 재해석하여 다시 불렀으며, 복면가왕에서 팝핀현준이 다시 부르기도 했다.}}}

한가람 - 너를 품에 안으면
[ 가사 ]
너를 품에 안으면
너를 사랑하는 나를 느끼네
흘려왔던 너의 눈물까지도

떠나버린 그 사람을
굳이 애써 지우려 하지마
니가 사랑했던 만큼
기억 속에 남겨두면 돼

you're my lady lady lady
하지만 내 마음도
이렇게 말 하긴 정말 쉽진 않았어

you're my lady lady lady
이제는 나에게
기대온 널 보며 내가 미워지는데

이제 너를 안으면
너를 사랑하는 나를 느끼네
흘려왔던 너의 눈물 까지도

떠나버린 그 사람을
굳이 애써 지우려 하지마

you're my lady lady lady
하지만 내 마음도
이렇게 말 하긴 정말 쉽진 않았어

you're my lady lady lady
이제는 나에게
기대온 널 보면 내가 미워지는데

이제 너를 안으면
너를 사랑하는 나를 느끼네
흘려왔던 너의 눈물 까지도



3.5. 박산희 - 건널 수 없는 강[편집]


{{{#4E5D57 원곡자: 한영애
1986년에 발매된 한영애 1집 앨범 수록곡이다.
한영애를 ‘한국적 블루스’의 디바로 알려지게 한 곡으로, 마치 재니스조플린이 노래를 부르는 것 같은 폭발적인 가창이 매력적이다.
1985년에 발매된 이정선 7집 ‘30대’에 수록되어 먼저 알려지기도 했으며, 2004년에 조규찬이 이정선 Forever 음반에서 다시 부르기도 했다.}}}

박산희 - 건널 수 없는 강
[ 가사 ]
손을 내밀면 잡힐 것 같이
너는 곁에 있어도
언제부턴가 우리 사이엔
흐르는 강물
이젠 건널 수 없네

내가 다가가면 너는 또 멀리
강둑 뒤로 숨어서
아름다웠던 지난 일들을
흘려보내고
소리도 없이 웃네

그리워해도 보이는 것은
흘러가는 강물뿐
건너려 해도 건널 수 없이
멀어 멀어져가서
이젠 보이지 않네

이젠 이젠 보이지 않네



3.6. 정준희 - 어둠 그 별빛[편집]


{{{#4E5D57 원곡자: 김현식
1984년에 발매 후 1988년에 재발매된 김현식의 2집 앨범 타이틀곡으로, 블루스와 발라드가 맞닿아있는 선율에 토해내듯 거친 음색이 매력적인 곡이다.
박완규의 정규 3집에서 박완규가 리메이크하기도 했고, 김현식 10주기 추모음반에서 이승환이 다시 부른바 있다..}}}

정준희 - 어둠 그 별빛
[ 가사 ]
어둠은 당신의 숨소리처럼
가만히 다가와 나를 감싸고
별빛은 어둠을 뚫고 내려와
무거운 내 마음 투명하게 해

어둠은 당신의 손수건처럼
말없이 내 눈물 닦아주고
별빛은 저 하늘 끝에서 내려와
거치른 내 마음 평화롭게 해

땅 위의 모든 것 깊이 잠들고
아~ 그 어둠 그 별빛
그댈 향한 내 그리움 달래어 주네
꿈속에서 느꼈던 그대 손길처럼

아~ 당신은 그렇게도 멀리서
밤마다 내게 어둠을 내려주네
밤마다 내게 별빛을 보내주네

(땅 위의 모든 것 깊이 잠들고)
아~ 그 어둠 그 별빛
(그댈 향한 내 그리움 달래어 주네)
꿈속에서 느꼈던 그대 손길처럼

아~ 당신은 그렇게도 멀리서
밤마다 내게 어둠을 내려주네
밤마다 내게 별빛을 보내주네



3.7. 류정운 - 마론 인형[편집]


{{{#4E5D57 원곡자: 자우림
1997년에 발매된 자우림 1집 수록곡으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떠오르게 하는 스윙 재즈 기반의 브라스 섹션과 여유있는 인트로와 강렬한 마무리를 보여주는 보컬의 카리스마가 인상적인 곡이다.
2018년 ‘복면가왕’에서 심규선이 부르기도 했다.}}}

류정운 - 마론 인형
[ 가사 ]
살금살금 다가와 내 하루를 뒤쫓는
너의 얼굴은 나를 미치게 해
돌아보면 어느새 내 뒤에 서 있는
너의 시선은 나를 미치게 해

넌 이걸 알아야 해 난 네 인형이 아냐
지겨워 이제는 네 질투가
떠나줘 이제는 내 곁에서
화가 나 너의 그 얼굴에
나를 바라보는 두 눈에

네 광기 어린 눈 넌 미친 사람 같아
난 너의 인형이 아니야

드레스를 입히고 왕관을 씌우고
유리신을 신기고 날 공주라고 부르지 마

지겨워 이제는 네 질투가
꺼내줘 이제는 상자에서
숨막혀 너의 그 시선에
나를 바라보는 두 눈에

내 머릴 만지지 마 내 이름 부르지 마
난 너의 인형이 아니야

넌 사랑이라 부르지 너 혼자만의 놀이를
지겨워 이제는 내 웃음이
떠나줘 이제는 내 곁에서
화가나 너의 그 시선에
나를 바라보는 두 눈에

내 머릴 만지지 마 내 이름 부르지 마
난 너의 인형이 아니야

네 광기 어린 눈 넌 미친 사람같아
난 너의 인형이 아니야

난 너의 인형이 아니야



3.8. 정시빈 - 그대 모습은 장미[편집]


{{{#4E5D57 원곡자: 민해경
1988년에 발매된 민해경 Best 11 음반의 타이틀곡으로, 슬로우 고고풍의 댄스곡이다. 2019년에 개봉한 ‘그대 이름은 장미’의 모티브가 되는 노래이며, 2011년에 ‘나는 가수다’에서 김범수가 다시 부르기도 했다.}}}

정시빈 - 그대 모습은 장미
[ 가사 ]
오늘도 그 향기로 머물다 떠나가는
그대 모습은 장미

장미꽃 한 송이
그대의 옷깃에 꽂아주면
너무나 어울려
눈이 부셔 똑바로 쳐다볼 수 없어 음~

장미꽃 한 송이
살며시 손으로 만져보면
너무나 따가워
눈이 부신 장미는 그대 모습인가

멀리에서 보면 다정하지만
다가서면 외롭게 해
아쉬움만 주고 뒤돌아서서
나를 다시 유혹해

오늘도 그 향기로 머물다 떠나가는
그대 모습은 장미

장미꽃 한 송이
살며시 손으로 만져보면
너무나 따가워
눈이 부신 장미는 그대 모습인가

멀리에서 보면 다정하지만
다가서면 외롭게 해
아쉬움만 주고 뒤돌아서서
나를 다시 유혹해

오늘도 그 향기로 머물다 떠나가는
그대 모습은 장미 그대 모습은 장미
그대 모습은 장미



3.9. 최동원, 허은율 - 어느 소녀의 사랑 이야기[편집]


{{{#4E5D57 원곡자: 민해경
1981년 발매된 민해경 2집에 수록된 곡이다. 당시 프로듀서 박건호가 가수 정미조를 염두에 두고 ‘사랑에 빠진 여인’이라는 제목으로 가사를 썼지만, 정미조가 유학을 가며 민해경에게 곡이 돌아가게 되었으며, 당시 19살이던 민해경의 나이에 맞게 제목을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로 변경하여 발표한다.
1982년 가요톱텐에서 3주 연속 1위를 하며, 민해경을 스타로 만든 이 곡은 차이코프스키 5번 교향곡을 기반으로 편곡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도 감상에 한 몫한다.}}}

최동원, 허은율 - 어느 소녀의 사랑 이야기
[ 가사 ]
그대를 만날 때면 이렇게 포근한데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사랑을 어쩌면 좋아요

내 인생의 반은 그대에게 있어요
그 나머지도 나의 것은 아니죠
그대를 그대를 그리워하며 살아야 하니까

이 마음 다 바쳐서 좋아한 사람인데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사랑을
어쩌면 좋아요

내 인생의 반은 그대에게 있어요
그 나머지도 나의 것은 아니죠
그대를 그대를 그리워하며 살아야 하니까

내 인생의 반은 그대에게 있어요
그 나머지도 나의 것은 아니죠
그대를 그대를 그리워하며
살아야만 살아야만 살아야 하니까

이 마음 다 바쳐서 좋아한 사람인데
이룰 수 없는 사랑을 사랑을
어쩌면 좋아요



3.10. 박효진 - 인디언 인형처럼[편집]


{{{#4E5D57 원곡자: 나미
1989년에 발매된 나미 6집 앨범 수록곡으로, 발매 당시는 큰 반응이 없다가, 1990년에 나미와 붐붐으로 활동하며 내놓은 리믹스 버전이 큰 성공을 거둔다.
토끼춤을 유행시킨 댄스음악으로 이 리믹스 음반은 한국최초의 DJ 리믹스 싱글 음반으로 기록된다.
1999년에 핑클이 리메이크하기도 하기도 했고, 조규찬, 데이브레이크의 커버버전도 있다.}}}

박효진 - 인디언 인형처럼
[ 가사 ]
다시 어둠이 내리면 혼자라는게 나는 싫어
불빛거리를 헤매다 지쳐버리면 잠이 드네

그댄 그렇게 내게 남겨둔 인형처럼
쉽게 웃으며 떠나갔지만

나의 마음은 인디안 인형처럼
워~워~워~
까만 외로움에 타버렸나봐 oh my baby

비가 내리는 날이면 아픈 추억이 너무 많아
지난 일들을 잊으려 비를 맞으며 걸어가네

그댄 그렇게 내게 남겨둔 인형처럼
쉽게 웃으며 떠나갔지만

나의 마음은 인디안 인형처럼
워~워~워~워~워~워~워~워~
까만 외로움에 타버렸나봐 oh my baby

혼자 울고 있는
이 안타까운 밤이 깊어가네

그댄 그렇게 내게 남겨둔 인형처럼
쉽게 웃으며 떠나갔지만

나의 마음은 인디안 인형처럼
워~워~워~워~워~워~워~워
까만 외로움에 타버렸나봐 oh my bab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0:24:47에 나무위키 우리가 사랑한 그 노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