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류드니코프

덤프버전 :

소비에트 연방 제4대 타우리데 군관구 사령관
이반 일리치 류드니코프
Ива́н Ильи́ч Лю́дников
Ivan Ilyich Lyudnikov
파일:이반 류드니코프.jpg
출생1902년 10월 9일[1]
러시아 제국 타간로크구 크리바야코사 마을
(現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칼미우스키구 세도보 마을)[2]
사망1976년 4월 22일 (향년 73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묘소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제4대 타우리데 군관구 사령관
1954년 9월 ~ 1956년 6월
[ 펼치기 · 접기 ]
복무노농적군
1918년 ~ 1921년
1922년 ~ 1946년
소비에트 지상군
1946년 ~ 1968년
최종 계급상장 (소비에트 지상군)
주요 참전러시아 내전
독소전쟁
소련-일본 전쟁
주요 서훈레닌훈장 (3회)
소비에트 연방 영웅
수보로프 훈장 1등급 (3회)
수보로프 훈장 2등급
적기훈장 (5회)




1. 개요[편집]


소련군인.


2. 생애[편집]


노동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1913년부터 아버지를 따라 광산에서 일했다.


2.1. 러시아 내전[편집]


1917년 10월 25일 적군에 자원입대해 기관총 사수로서 알렉세이 칼레딘카자크 부대를 상대했다. 1919년 12월 안톤 데니킨의 공격을 막지 못해 포로가 됐으며, 며칠 뒤 적군 병사들에 의해 석방됐다.


2.2. 독소전쟁[편집]


남부 군관구, 북캅카스 군관구, 스탈린그라드 군관구, 중부 군관구,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제3벨로루시전선군, 자바이칼 군관구에 파견돼 전투를 치렀다. 제200소총사단 소속 당시 1941년 7~8월 간 키예프에 접근 중인 독일 육군 제6군의 측면을 타격했으나 실패했다. 8월 20일 드네프르 강을 건너 철수한 뒤 체르니고프 방어전에 참전했다. 전투 당시 뇌진탕과 다리 골절로 기절한 뒤 하르코프 군사병원, 카잔 제316군사병원에 입원했다. 1941년 11월, 퇴원한 류드니코프는 제7군 본부 작전부서장직을 권유받았으나 전투 경험을 많이 쌓아 상급 부대를 지휘하길 원했기 때문에 거절했다. 11월 말 로스토프 공세 당시 로스토프나도누를 탈환하는 데에 성공했다.


2.2.1. 케르치 방어전[편집]


1942년 4월 중순 아마자습 바바자니안의 명령이 따라 전투를 치르던 도중 제63산악소총사단장 마트베이 비노그라도프가 상부 명령 없이 후퇴했단 이유로 비노그라도프의 총살을 맡았다.


2.2.2. 스탈린그라드 전투[편집]


1942년 5월 29일 북캅카스 전선 제138보병사단장으로 임명됐다. 8월 1일 포드고렌스카야 근처에서 포위됐으나 사흘 뒤 바실리 추이코프의 부대가 지원해준 덕분에 방어선을 재구축할 수 있었다. 1942년 10월부터 1943년 1월까지 추이코프와 류드니코프는 잠도 제대로 못 자고 전투에 임했다. 마침내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독일-루마니아 연합군을 궤멸시킨 뒤 2월 6일 소련 국방인민위원회 법령에 따라 류드니코프의 제138소총사단은 제70독립근위소총사단으로 개명됐다.


2.2.3. 드네프르 강 전투[편집]


제15소총군단장으로 임명돼 교두보를 확보한 뒤 독일 국방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1943년 10월 16일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법령에 따라 레닌훈장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았다.


2.2.4. 바그라티온 작전[편집]


비쳅스크-오르샤 돌파전 당시 독일 육군의 방어선을 돌파한 뒤 2만 명이 넘는 장교병사들을 포로로 잡고 수많은 점령지를 탈환했다. 이후 이반 체르냐홉스키의 제3벨로루시전선군을 지원했다.


2.2.5. 동프로이센 공세[편집]


많은 양의 야포, 전차가 지원됐으나 짙은 안개 때문에 진격을 늦추게 됐다. 걱정과는 달리 문제 없이 방어선을 돌파했다. 독일 육군의 전력과 통신망에 큰 피해를 입힌 류드니코프는 상장으로 진급했다.


2.2.6. 소련-일본 전쟁[편집]


1945년 8월 실전에 투입돼 몽골-만주 국경에 위치한 방어선을 돌파해 400km 정도 되는 초원을 횡단해 부대를 무사히 만주 중부 산맥까지 지휘했다.


3. 사망[편집]


여러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하다 적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교수로 활동했다. 1976년 4월 22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한 뒤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4 08:39:58에 나무위키 이반 류드니코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