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덤프버전 :

1. 개요
2. 준비 과정
3. 내용
4. 반응
5. 결과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나아가 1965년 체결된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의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과 관련하여 국가가 인도적 차원에서 위로금 등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오랜 고통을 치유하고 국민화합을 기여하기 위한 목적의 기록물. #


2. 준비 과정[편집]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2004년 이후 11년간 생산·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기록을 총망라하여 2015년 8월 31일 마감된 ‘2016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 기록물 공모’에 접수. #


3. 내용[편집]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2004년 이후 11년간 생산·수집한 강제동원 관련 기록을 총망라한 것이다. 종류별로는 아래와 같다.
  • 피해조사서 22만 7,141건
  • 지원금 지급심사서 10만 5,431건
  • 구술자료 2,525건
  • 사진자료 1,226건 등.

이는 국가가 직접 나서 전쟁 피해에 대한 조사를 벌여 얻은 공식 기록으로, 이 중에는 일제가 직접 생산한 문서도 포함되어 있다.


4. 반응[편집]



4.1. 대한민국[편집]


긍정적으로 보는 의견이 많은 편이나 군함섬 세계유산 등재에 따른 대응차원이라는 것에 대하여 준비가 부족하진 않았는지, 유네스코의 정치적 이용이라는 비판을 받진 않을지 대한 우려의 시각도 존재하는 편.


4.2. 중국[편집]


한마디로 기대. 중국은 자신들이 등재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 기록 유산 등재가 실패함에 아쉬워하며 우리나라의 등재 가능성에 기대하고 있다.


4.3. 일본[편집]


한마디로 반발.


4.4. 유네스코[편집]


공식 반응은 아니다. 유네스코 내부 사정에 밝은 문화계 인사는 최근 한중일의 경쟁적 등재 신청에 반감을 느끼고 있다는 말이 나오며 정치싸움이 벌어진다면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고 치밀하게 등재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5. 결과[편집]


문화재청 주도로 신청하기 직전 등재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대신 조선왕실어보와어책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등재신청하였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4:17:59에 나무위키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