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발트 드래곤 2-60C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베이블레이드X 한국 로고.svg


코발트 드래곤 2-60C
コバルトドラグーンㆍツーシクスティーㆍシー
CobaltDragoon 2-60C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제품 분류BX-34 스타터
타입좌회전 어택 타입
파츠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곤
래칫: 2-60
비트: 사이클론
발매일파일:일본 국기.svg 2024년 07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1. 개요
2. 파츠
2.1. 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곤
2.2. 래칫: 2-60
2.3. 비트: 사이클론
3.1. 작중 행적
3.2. 사용 기술
4. 기타



1. 개요[편집]


베이블레이드X베이블레이드. 4세대 최초의 좌회전 베이블레이드로, 블랙 쉘 4-60D와 함께 베이블레이드X 1주년이자 베이블레이드 시리즈 25주년을 기념하는 베이다.


2. 파츠[편집]



2.1. 블레이드: 코발트 드래곤[편집]


끝부분이 두꺼운 4개의 어퍼 날을 이용한 튕겨내기 공격에 특화된 좌회전 블레이드.

청룡을 모티브로 한 어택 타입 블레이드. 개요에서 상술하듯 4세대 최초의 좌회전 파츠다. 코발트 드레이크를 반전시킨 듯한 형태로 4개의 드래곤 모양 칼날을 가지고 있다.


2.2. 래칫: 2-60[편집]


2-60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베이를 낮게 세팅하는 파츠. 좌회전시 상대를 튕겨내는 2개의 날을 사용.

2개의 칼날을 가진 래칫. 우회전시 공격을 흘려보낼 수 있는 형태로 버스트 리스크를 최대로 줄일 수 있으나, 좌회전시 역날 형태로 작용되며 카운터력과 동시에 버스트 리스크가 상당히 올라가는 파츠다. 다만 그만큼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처럼 회전력이 저하될시 발생하는 저속 버스트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기대된다.


2.3. 비트: 사이클론[편집]


파일:베이블레이드X/타입 아이콘/어택.png
(C이클론
サイクロン | Cyclone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회오리 모양의 평평한 축 끝이 좌회전시 스타디움과의 마찰력을 높여 고속 공격을 가능케 했다.

회오리 모양의 스파이크 축을 가진 어택 타입 비트. 회오리 모양의 축이 좌회전시 스파이크가 지면에 걸릴시 강한 마찰력을 일으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다만 이런 축으로 익스트림 대시를 할 경우 오히려 마찰력이 강한 형태가 익스트림 대시의 속도를 심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길 수 있다.[1]

2세대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레프트 플랫 버텀과 3세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스파이럴 드라이버를 계승하는 파츠다. 참고로 둘 다 각 시리즈의 대표 좌회전 베이인 엘드라고와 롱기누스에 포함되는 파츠다.


3. 미디어 믹스에서[편집]


류우구 크롬(류크롬)의 베이로 등장한다.

3.1. 작중 행적[편집]




3.2. 사용 기술[편집]




4. 기타[편집]


  • 역대 시리즈에서 첫 좌회전 발매가 2번째로 빠르다. 1위는 시리즈 시작 후 4개월만에 나온 2세대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엘드라고 105F, 3위는 1년 5개월만에 나온 3세대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로스트 롱기누스. N. Sp다.

  •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베이블레이드 버스트의 리메이크 발매를 제외하고 단순히 드래곤(ドラグーン)[2]이라는 이름으로 드래곤 메탈 팬텀 이후 20년만에 발매하는 베이다.

  • 기어칩 일러스트의 아바타에 탑블레이드 로고 실루엣이 새겨져 있다.


[1] 실제로 마찰력이 적은 볼 비트나 오브 비트 같은 파츠가 익스트림 대시 속도는 마찰력이 강한 어택 타입 비트보다 월등히 빠르다.[2] 메탈 베이블레이드의 다크나이트 드래곤은 기존 영어 철자 Dragoon에 o가 하나 더 붙은 Dragooo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