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스 필드 시리즈

덤프버전 : r (♥ 0)

KING'S FIELD
キングスフィールド
1. 개요
2. 작품 목록
2.3.1. 킹스 필드 3 파일럿 스타일
2.5. 킹스 필드 애디셔널
2.6. 킹스 필드 모바일
2.7. Sword of Moonlight


1. 개요[편집]


프롬 소프트웨어에서 제작한 1인칭 RPG. 프롬 소프트웨어의 첫 작품이자 간판 타이틀이었으며 이후 이 게임을 베이스로 에코 나이트, 섀도우 타워, 이터널 링등 다양한 파생작품을 내 놓았다. 이후 데몬즈 소울, 소울 시리즈, 블러드본, 엘든 링으로 그 정신이 이어진다.[1]

초창기 아머드 코어 시리즈와 비슷한 면이 있는데 이는 개발이 중지된 프로젝트인 "ZAMS-K3"에서 킹스 필드와 아머드 코어로 나뉘어졌기 때문이다. 당시 프롬 소프트웨어는 농업 및 축산업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회사였으나 적자로 인해 새로운 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했고 당시 사장인 진 나오토시가 게임에 관심이 많았기에[2] PC-98용으로 개발했던 게임이 ZAMS-K3다. 이 게임은 파츠 교환이 자유로운 로봇으로 던전을 탐험하고 공략하는 내용의 게임이었는데 다시 하드웨어의 스펙에 비해 이상이 높았기에 개발은 중지되고 만다. 그러나 그 후 플레이스테이션 게임으로 방향을 바꾸어 던전 탐색부분을 독립 시킨것이 킹스 필드 시리즈로, 로봇의 자유로운 조립을 독립 시킨것이 아머드 코어 시리즈로 나뉘어 발매하게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인기를 끈 JRPG보다는 서양의 DRPG, 특히 위저드리울티마 언더월드의 영향이 강한 시리즈로 평가받는다. 다만 차이점은 존재하는데 울티마 언더월드는 오늘날 기준으로도 세심한 상호작용과 시뮬레이션 요소를 보여주는 반면 킹스필드의 경우 콘솔이라는 개발환경의 한계로 상호작용과 시뮬레이션 요소가 전무한 편이다.[3]

일본판과 북미판의 넘버링이 달라서 플레이할때 착각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는데 북미에서는 일본판 2편부터 발매되었기에 일본판 2편이 북미에선 1편으로 발매되고 일본판 3편이 북미에선 2편으로 출시하였다. 그래서인지 나중에 ps2로 발매한 4편은 북미에선 넘버링을 붙이지 않고 king's Field: The Ancient City 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해외 팬들은 해외에서 발매되지 않은 1편은 king's field(jp) 라고 따로 부르는 모양.

1편부터 3편까지의 ost는 영화 작곡가인 엔도 코지에게 외주를 줘서 제작하였고 4편의 ost는 FreQuency 멤버인 사이토 츠카사가 제작하였으며 킹스필드만의 멜랑꼴리함과 기묘하고 고독한 분위기를 잘 표현했다.

2006년에 발매한 에디셔널 이후로 시리즈의 명맥이 끊겨 17년이 넘도록 신작이 나오지 않고 있다. 신작이 나오길 바라는 팬들도 있지만 아주 극소수라 관련 커뮤니티도 전무하고 다크 소울이나 엘든링 등으로 입문한 현재 프롬 소프트웨어 팬들도 오래된 게임이라서 입문을 꺼리는 편이라 갈수록 잊혀지고 외면당하는 중.
킹스필드의 게임성이 현대 게이머들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고 시리즈를 부활시켜도 방향을 어떻게 잡나에 따라 전혀 다른 게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시리즈의 미래는 불투명해 보인다.


  • 킹스 필드 2 플레이 영상


2. 작품 목록[편집]



2.1. 킹스 필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킹스 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킹스 필드 2[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킹스 필드 2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킹스 필드 3[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킹스 필드 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1. 킹스 필드 3 파일럿 스타일[편집]


게임잡지 등 관계자들에게 배포된 일종의 체험판. 국왕근위대장 로돔이 주인공인 킹스 필드 2와 킹스 필드 3 사이의 스토리를 잇는 이야기. 킹스필드 3를 하다 보면 로돔의 열쇠를 비롯해 관련 이름이 여기저기서 나오는데, 그 로돔 맞다. 스토리적으로 중요함에도 업계 관계자들에게만 배포된 탓에 해본 사람은 거의 없는 환상의 물건...이라고는 하지만 구글링을 좀만 해보면 롬파일을 금방 구할 수 있다.


2.4. 킹스 필드 4[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킹스 필드 4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킹스 필드 애디셔널[편집]


1~3까지의 무대였던 바다이트 스토리의 진정한 결말을 그린다!! 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PSP로 2006년에 발매되었다(애디셔널 1이 7월, 한달뒤 애디셔널 2가 발매되었다).

발표후 팬들은 '드디어 진정한 킹스 필드가 돌아오는구나'라며 환호작약했지만 프로모션 동영상이 공개된 뒤 모두들 입을 다물고 말아버렸는데... 그도 그럴 것이 3D는 어디다 팔아먹었는지 위저드리와 같은 형태를 가진 게임으로 제작되었던 것이었다. 즉 이동은 전후좌우 1마스씩. 방향전환은 90도. 전투는 랜덤 엔카운트. 시점 상하조절같은건 없음.

리얼타임의 1인칭 3D이기에 가능했던 다양하고 기발한 기믹과 몰입감 등은 찾아보기 어려운 수준이었으며 당연히 팬들의 반응은...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이전까지의 킹스 필드의 명성만을 듣고 이번작을 처음 접해본 사람들의 경우에는 나름 할만하다는 감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역시 취향은 다양한 법.


2.6. 킹스 필드 모바일[편집]


일본내에서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발매된 시리즈. 킹스 필드, 킹스 필드 EX, 킹스 필드 모바일 II 순으로 발매되었으며, 애디셔널 따위(...)와는 다르게 기존 시리즈처럼 실시간 플레이방식이다. 휴대전화의 불편한 조작을 고려해서 모바일 II에 이르러서는 록온 기능까지 지원.

안 그래도 마이너한 킹스 필드 시리즈 중에서 독보적으로 마이너한 편인데 인터넷상의 그 누구도 이 시리즈를 해 봤다는 사람이 없고 일본에서만 발매한 피쳐폰 시절 게임이라 현재로서는 플레이할 방법도 아예 없고 그저 인터넷상에 돌아다니는 스크린샷 여러장이 전부라 현재로서는 이 시리즈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다.


2.7. Sword of Moonlight[편집]


킹스 필드와 같은 3D 던전게임 메이킹 툴로 Windows전용으로 발매되었으며, 샘플 데이터로 킹스 필드 1의 리메이크판이 포함되어있다.

2000년에 발매된 프로그램인데 아직까지도 해당 프로그램용 DLC를 홈페이지에서 제공중(비록 갱신은 없다지만 데이터만이라도 계속 제공하는게 어디...). 프롬 소프트웨어 항목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DLC 관련해서는 레알 대인배라 할만하다.[4] 해당 데이터는 여기에서 다운로드 가능.

이하 링크는 SoM으로 제작된 동인게임 관련 정보들. 스탠드얼론으로 작동하므로[5] 관심있으면 한번 다운로드해서 플레이해 보자.

キングスフィールド型同人ゲーム総合Wiki
Sword of Moonlight Community Site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20:22:58에 나무위키 킹스 필드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이지만 Spooky's Jump Scare Mansion를 만든 'Akuma kira'가 킹스필드를 모티브로 만든 Lunacid 라는 게임을 만들고 있다. 앞서 해보기 게임이지만 개발자가 킹스 필드를 포함한 섀도우 타워 시리즈까지를 라이브 방송 하면서 나름대로 영감 받고 숨겨진 아이템을 찾거나 몬스터의 부위 파괴까지 구현되어 세세한것까지 표현을 했다[2] 그 당시 프롬 직원들 대부분이 위저드리 시리즈의 팬이였다고 한다.[3] 이러한 개발환경의 영향은 울티마, 위저드리에서 영향을 받아 탄생한 드래곤 퀘스트와 JRPG의 특성에서도 나타난 바가 있다.[4] 비슷하게 어드벤처 플레이어의 어플리케이션 역시 여전히 제공중.[5] 애초에 MOD가 아니라 엄연히 제작툴로 만든 물건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