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누오도

덤프버전 :


초(楚)의 영윤(令尹)

[ 펼치기 · 접기 ]
1대
2대
3대
4대
5대
투백비
투기
팽중상
공자 선
투누오도
6대
7대
8대
9대
10대
성득신
위려신
투발
성대심
성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투반
투월초
우구
손숙오
자패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공자 영제
공자 임부
공자 정
공자 오
공자 추서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위자빙
굴건
공자 위
원피
공자 흑굉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투성연
양개
낭와
공자 신
심제량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공손녕
자발
오공 자춘
오기
주후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소해휼
악군 계
소양
경리
자초
41대
42대
43대
44대
초의제
소헌
자란
춘신군
이원
여청



초(楚)나라 왕족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웅엄|{{{#000,#e5e5e5 웅엄}}}]] ||
||<-4> [[웅순|{{{#000,#e5e5e5 웅순}}}]] ||<width=20%> [[숙웅|{{{#999,#666666 숙웅}}}]] ||
||<-4> [[웅악|{{{#000,#e5e5e5 웅악}}}]] || 위(蔿)씨 ||
||<-4> [[약오|{{{#000,#e5e5e5 약오}}}]] ||
||<-2> [[소오|{{{#000,#e5e5e5 소오}}}]] ||<-2> [[약오씨|{{{#999,#666666 약오씨}}}]] ||
||<-2> [[초무왕|{{{#000,#e5e5e5 무왕}}}]] ||<width=20%> 투(鬪)씨 ||<width=20%> 성(成)씨 ||
|| [[초문왕|{{{#000,#e5e5e5 문왕}}}]] ||<width=20%> [[굴하|{{{#999,#666666 굴하}}}]] ||
|| [[초성왕|{{{#000,#e5e5e5 성왕}}}]] || 굴(屈)씨 ||

||<-7><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목왕|{{{#000,#e5e5e5 목왕}}}]]''' ||
||<width=20%> [[초장왕|{{{#000,#e5e5e5 장왕}}}]] ||<width=20%> [[공자 영제|{{{#000,#e5e5e5 공자 영제}}}]] ||<width=20%> [[공자 측|{{{#999,#666666 공자 측}}}]] ||<width=20%> [[공자 임부|{{{#000,#e5e5e5 공자 임부}}}]] ||<-3><width=20%> [[왕자 양|{{{#999,#666666 왕자 양}}}]] ||
||||||||<|4> ||<-3> {{{#999,#666666 양윤}}} ||
||<-3> [[양개|{{{#000,#e5e5e5 양개}}}]] ||
||<width=8%> {{{#999,#666666 양령종}}} ||<width=6%> {{{#999,#666666 양완}}} ||<width=6%> {{{#999,#666666 양타}}} ||
||<-3> 양(陽)씨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장왕|{{{#000,#e5e5e5 장왕}}}]]''' ||
||<width=20%> [[초공왕|{{{#000,#e5e5e5 공왕}}}]] ||<width=20%> [[공자 곡신|{{{#999,#666666 공자 곡신}}}]] ||<width=20%> [[공자 정|{{{#000,#e5e5e5 공자 정}}}]] ||<width=20%> [[공자 오|{{{#000,#e5e5e5 공자 오}}}]] ||<width=20%> [[공자 추서|{{{#000,#e5e5e5 공자 추서}}}]] ||
||||<|2> ||   ||||<|2> ||
|| [[낭와|{{{#000,#e5e5e5 낭와}}}]]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공왕|{{{#000,#e5e5e5 공왕}}}]]''' ||
||<width=20%> [[초강왕|{{{#000,#e5e5e5 강왕}}}]] ||<width=20%> [[초영왕|{{{#000,#e5e5e5 공자 위}}}]] ||<width=20%> [[자오(초나라)|{{{#000,#e5e5e5 공자 비}}}]] ||<width=20%> [[공자 흑굉|{{{#000,#e5e5e5 공자 흑굉}}}]] ||<width=20%> [[초평왕|{{{#000,#e5e5e5 공자 기질}}}]] ||

||<-8><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초평왕|{{{#000,#e5e5e5 평왕}}}]]''' ||
||||<width=20%> [[공자 신|{{{#000,#e5e5e5 공자 신}}}]] ||||<width=20%> [[태자 건|{{{#999,#666666 태자 건}}}]] ||||<width=20%> [[공자 결|{{{#000,#e5e5e5 공자 결}}}]] ||<width=20%> [[공자 계|{{{#000,#e5e5e5 공자 계}}}]] ||<width=20%> [[초소왕|{{{#000,#e5e5e5 소왕}}}]] ||
|| [[공손녕|{{{#000,#e5e5e5 공손녕}}}]] || [[공손조|{{{#999,#666666 공손조}}}]] ||<width=10%> [[백공 승|{{{#999,#666666 백공 승}}}]] ||<width=10%> [[왕손연|{{{#999,#666666 왕손연}}}]] ||<width=10%> [[공손관|{{{#999,#666666 공손관}}}]] ||<width=10%> [[공손평|{{{#999,#666666 공손평}}}]] || || [[자량|{{{#999,#666666 자량}}}]] ||
|||| 경(景)씨 |||||||||| || 소(昭)씨 ||



자문
子文


파일:투누오도.jpg

최종직위
영윤(令尹)

미(羋)

투(鬪)

누오도(穀於菟)[1]

자문(子文)
아버지
투백비(鬪伯比)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5월 5일 ~기원전 ???년

1. 개요
2. 생애
2.1. 비범한 출생
2.2. 그 뒤의 생애




1. 개요[편집]


초(楚)나라의 명재상. 투백비(鬪伯比)의 아들. 성득신의 종형제. 자는 자문(子文).[2] 초성왕(楚成王) 대에 영윤(令尹)[3]을 지냈는데, 성왕 대의 초나라의 강성함은 투누오도의 공헌이 컸다. 제 환공에게 관중(管仲)이, 초 장왕에게 손숙오가 있었다면 초 성왕에겐 투누오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2. 생애[편집]



2.1. 비범한 출생[편집]


모년[4] 5월 5일 초나라 주위의 소국인 운(鄖)나라 여자와 투백비가 사통하여, 그를 낳았다. 투백비는 투누오도를 버렸는데, 투누오도는 호랑이의 젖을 먹으며 자랐다고 한다. 이에 투백비는 투누오도를 기이하게 여기고 그를 길렀다고 한다. 그래서 이름이 투누오도가 되었다. 穀은 초나라에서는 㝅(젖 누)와 통하니 '누'로 읽으며, 於는 사람 이름으로 쓸 때는 어가 아닌 '오'로 읽고, 菟는 호랑이라는 뜻이니 '도'라고 읽는다. 그래서 투곡어도 혹은 투곡어토가 아니라 '투누오도'라고 읽는 것이다. 애초에 투누오도의 이름 자체가 중국어가 아니라, 초나라에서 널리 쓰이던 원시 몽몐어로 된 이름이라고 추정되는데, '오도'가 몽몐어족 계통 언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말이다.


2.2. 그 뒤의 생애[편집]


초성왕 초기에 자윤이 반란을 일으켜 투반(鬪般)[5]을 죽였다.

초 성왕 8년(기원전 664년) 성왕이 자윤을 물리친 공을 기려 영윤으로 봉했다. 그리하여 초나라의 국력이 커져 국가가 안정되고 중원의 패권을 노리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초 성왕 17년(기원전 655년) 현(弦)나라, 초 성왕 24년(기원전 648년) 황(黃)나라, 초 성왕 25년(기원전 647년) 영나라를 멸망시키고 채나라, 수나라, 서나라, 강나라를 압박해 남방의 패자가 되었다. 그리고 투누어도는 늙어 성득신을 영윤으로 추천한 후 은퇴했다고 한다.

그리고 투월초의 사악함을 일찍이 알아보고 투씨 가문의 멸망의 원인이 될거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늑대와 같은 마음을 지녔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0:01:48에 나무위키 투누오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穀는 㝅의 통가자이다.[2] 그리하여 '투자문'이라고도 불리며, 《열국지》에서 초성왕(楚成王)이 이름 대신 자로 부르라고 할 때부터 '자문'이라고만 나온다.[3] 상국에 해당하는 초나라의 관직이다.[4] 투누오도가 언제 태어났는지 알 수 없어서 이렇게 표기한다.[5] 투누오도의 아들이다. 투반의 아들 투극황(鬪克黃)은 투월초의 반란이 진압되고 투씨 일족이 멸족되는 와중에 홀로 항복하여 투씨 가문을 이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