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띵TV 공성전/성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양띵TV 공성전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양띵TV 공성전/진행 과정, 공성전 시즌2/성·마을·던전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1.1. 비암성
1.2. 다흰성
1.3. 천마성
1.4. 푸실성
1.5. 대가름성
1.6. 코지성
1.7. 미르성
1.8. 월화성



1. 개요[편집]


양띵TV 공성전의 성에 대한 정보를 서술합니다. 성의 외관, 공개 일차, 역대 성주, 성이 위치한 곳의 지형 등을 서술하며, 성에 대한 정보나 특징은 될 수 있도록 풍족하게 서술하도록 합니다.


1.1. 비암성[편집]


파일:공성전1_비암_수정.png
파일:양띵TV 공성전 비암성.jpg
공개 일차1일차[1]
1차 성주삼식(1일차)
2차 성주양띵(2일차)
파괴자삼식(2일차)
지형사막

양띵TV 공성전 테스트 방송 때 선공개된 성이기도 하다. 양띵다주 역시나 레버를 당겼으나, 삼식의 갑옷과 무기가 압도적으로 더 강해 결국은 치열한 경쟁 끝에 삼식이 비암성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다흰성과 마찬가지로 성 파괴 시에 30금강화를 지급하는 규칙을 이용해[2] 돈작을 벌여 공개된 지 1일차만에 파괴되고 만 비운의 성이다. 게다가 비암성과 다흰성은 화려한팀이 성이 파괴된 느낌을 내기 위해 실제로 부셨지만, 그 후에는 자신들의 노력이 아까워서인지 부수지 않았다. 실제로 다주의 화면에 파괴된 비암성의 잔해가 잠시 나온 적 있다.

성 이름의 유래는 뱀의 방언인 "비암".


1.2. 다흰성[편집]


파일:공성전1_다흰.png
파일:양띵TV 공성전 다흰성.jpg
공개 일차1일차
1차 성주콩콩(1일차)
2차 성주눈꽃(2일차)
파괴자루태(2일차)
지형설산

비암성과 마찬가지로 1일차에 공개되었다. 우선 다흰성은 접근이 매우 어려운데, 대구광역시 마냥 주변이 높디 높은 설산으로 둘러싸여있어 가까이 접근하기 전에는 성이 아예 보이지 않고, 양띵TV 공성전 맵에서 제일 높은 Y좌표 255의 산이 다흰성의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그것 때문인지 1일차에 8명의 멤버 중 5명이 다흰성 진입에 시도하였지만, 끝내 콩콩루태만이 접근에 성공하였다.

성 이름의 유래는 간단하다. 모두 희다는 뜻에서 "다흰".


1.3. 천마성[편집]


파일:공성전1_천마.png
파일:양띵TV 공성전 천마성.jpg
공개 일차2일차
1차 성주다주(2일차)
2차 성주양띵(4일차)
파괴자눈꽃(6일차)
지형해안가

천마성의 이름의 유래 역시 간단하다. 천(天)과 마(魔)를 합쳐 "천마".


1.4. 푸실성[편집]


파일:공성전1_푸실.png
파일:양띵TV 공성전 푸실성.jpg
공개 일차3일차
1차 성주콩콩(3일차)
2차 성주양띵(8일차)
파괴자다주(8일차)
지형

양띵TV 공성전 중에서 제일 오랫동안 생존한 성이다.[3] 3개의 심장 중 하나가 세계수가 있는 안쪽 건물과 바깥쪽 건물을 잇는 나무줄기 위에 위치해있는데, 그것 때문에 심장 파괴가 매우 어렵다. 심장 위에 밀치기 활이나 검을 들고 있는 경비병 한 명만 세워놓으면 접근이 매우 어려워진다. 들어오는 족족 상대를 바닥으로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 장수의 비결 콩콩의 푸실성 장기 집권도, 푸실라고 동맹의 결성도 이것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양띵은 "이런 성이 하나쯤 있어서 재미있었다" 며 이런 막장스러운 심장 위치에 호감을 표했다.

성 이름의 유래는 풀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뜻의 순우리말 "푸실".


1.5. 대가름성[편집]


파일:공성전1_대가름.png
파일:양띵TV 공성전 대가름성.jpg
공개 일차4일차
1차 성주서넹(4일차)
2차 성주루태(5일차)
파괴자눈꽃(6일차)
지형추가바람

서넹루태의 러브 아지트(...)로 사용된 적이 있으나 끝내 하얀 도적단에게 파괴된 성. 바다와도 근접하지만 숲 사이에 둘러싸여 있어 대가름성의 바이옴을 뭐라고 결정하기 애매하다. 또한 대가름성 건축자인 네글의 말로는 복도가 전체적으로 매우 길고 구조가 완벽한 대칭이라고 한다. 마마무의 데칼코마니를 부르면서 지었다고... 여담으로, 양띵TV 공성전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세 글자인 성이다.

성 이름의 유래는 호랑이의 평북지방 방언인 "대가름".


1.6. 코지성[편집]


파일:공성전1_코지.png
파일:양띵TV 공성전 코지성.jpg
공개 일차5일차
1차 성주양띵(5일차)
2차 성주-
파괴자-
지형

유일하게 파괴되지 않고 최후까지 생존한 성이다.

성 이름의 유래는 ‘’의 제주 지방 방언인 코지.

1.7. 미르성[편집]


파일:공성전1_미르.png
파일:양띵TV 공성전 미르성.png
공개 일차6일차
1차 성주서넹(6일차)
2차 성주다주(7일차)
파괴자양띵(8일차)
지형지옥

성을 파괴하기 위해 성주인 다주를 제외한 모든 성주가 미르성을 공격하였다.

성 이름의 유래는 용(龍)의 순우리말인 "미르".


1.8. 월화성[편집]


파일:공성전1_월화.png
파일:양띵TV 공성전 월화성.jpg
공개 일차7일차
1차 성주눈꽃(7일차)
2차 성주양띵(8일차)
파괴자눈꽃(9일차)
지형평야[4]

성 이름의 유래는 월광(月光, 달에서 비춰오는 빛)과 같은 뜻의 단어인 "월화(月華)".


[1] 테스트 방송에서 선공개.[2] 2일차까지는 수성 시에 15금강화 지급의 룰이 존재하지 않았다.[3] 공성전 시즌2에서 프룬성이 총 6일차, 디프성이 총 8일차를 생존하게 되어 두 시즌을 통틀어 3위로 떨어졌다.[4] 마인크래프트 바이옴에 "Plains"(평야)라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