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스 101 징크스

덤프버전 : r20190312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프로듀스 101


[파일:엠넷 로고 화이트.svg [[파일:프로듀스 101 시리즈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현재 유지되고 있는 징크스 목록
3. 깨진 징크스 목록
4. 애매한 경우



1. 개요[편집]


프로듀스 101,프로듀스 101 시즌 2,프로듀스 48 세 시리즈 동안 법칙을 정리해놓는 문서.

※ 현재 유지되고 있는 징크스 목록 작성 기준

  • 프로듀스 101부터 프로듀스 48까지 세 시즌 연속으로 적용되고 있는 징크스.
  • 프로듀스 101 시즌 2부터 프로듀스 48까지 두 시즌 연속으로 적용되고 있는 징크스.
  • 프로듀스 시즌 2에서 해당 징크스 상황이 발생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프로듀스 101과 프로듀스 48에서 적용되고 있는 징크스.

※ 깨진 징크스 목록 작성 기준

  • 프로듀스 101부터 프로듀스 101 시즌 2까지 유지되다가 프로듀스 48에서 깨진 징크스.



이후 프로듀스 X101[1]이 방영중일때 징크스 상황이 해당되는 연습생은 현재 해당자로 작성하고 프로듀스 X101이 종영하면 해당 참가자로 변경한다.

참고로 이 문서에 있는 순위 관련 징크스는 속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2. 현재 유지되고 있는 징크스 목록[편집]


첫 타이틀곡 센터는 데뷔한다.[2]

프로듀스 시리즈 징크스 중에 가장 많이 알려진 징크스.[3]

이 세명의 공통점은 각각의 시리즈에 첫 타이틀곡의 센터다.
이 징크스로 느낄 수 있는 것은 첫 타이틀곡 센터가 얼마나 국민 프로듀서들에게 주목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마지막 경연의 센터는 꼭 데뷔한다.


첫 시즌의 경우 생방송 경연곡이 1곡 뿐이였기에 3차 순위 발표식 때 1위를 차지한 화이트팀 전소미,12위를 차지한 블랙팀 정채연이 자동적으로 센터에 배정되었다. 시즌 2 부터 생방송 경연곡이 2곡이 되면서 생방송에 진출한 연습생 전원 센터 영상 평가를 실시해 센터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는데, 이 중 연습생들의 투표로 선정된 연습생들 전원이 데뷔에 성공하며 징크스를 이어가고 있다.


마지막 경연 스페셜 곡의 센터는 데뷔한다.


벛꽃이 지면의 센터 정채연, 이 자리에의 센터 황민현, 꿈을 꾸는 동안의 센터 장원영 모두 데뷔했다.


최종 1위는 모두 포지션 평가에서 댄스 포지션을 선택했다.



커트라인 순위로 데뷔한 연습생은 모두 메인보컬 경험이 있다.



경연 중 고음 실수로 악마의 편집을 당한 연습생은 한 번에 10계단 이상 추락한 끝에 3차 순위 발표식에서 방출된다.

참고로 이 징크스의 기준은 고음 실수를 해서 그 고음 실수 부분을 반복하는 악마의 편집을 당한 연습생만 적용된다.
별거 아닌 거 같지만, 목 관리의 중요성을 알게 되는 징크스다.

위 3명 모두 고음 실수를 하여 평생 흑역사에 남을 듯한 악마의 편집을 당했다. 와 고음 실수부분으로 짧은 노래를 만들었어.
하지만, 그런 악마의 편집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3명 모두 3차 순위 발표식 전까지는 생존했다. 다만 허찬미는 최고 등수였던 7등에서 33등으로 내려가고 (26등 하락) [4] 이우진은 최고 등수였던 18등에서 34등으로 (16등 하락), 장규리는 최고 등수였던 6등에서 26등으로 내려간다. (20등 하락) [5] 탈락도 탈락이지만 큰 폭으로 등수가 하락한 점도 주목할만하다.

실수를 반복하는 악마의 편집을 당하기 싫으면 목 살려서 메인 보컬은 욕심 안내는 게 좋다는 것을 보여주는 징크스.

장신 중에서 막내는 데뷔한다.


이 세명은 공통점은 키가 크고 나이가 어리다. 전소미와 라이관린은 키가 큰 참가자 중 막내이며 장원영은 전체막내이다. 남자 180cm 여자 168cm 이상이면서 그들 중 막내이면 데뷔에 성공한다. 단, 라이관린만 7위로 우승한 전소미, 장원영과는 약간 대조된다.

게다가 셋 모두 성장기인지라 현재 예상 신장은 라이관린만 185cm 정도이며 나머지 둘 역시 170cm 이상으로 예상된다.


장신 여성 연습생 중에서 막내는 최종 1위를 한다.[6]



연습생들이 뽑은 비주얼 TOP 11에서 5명 이상 데뷔한다.


여담으로, 이 중 비주얼 픽 2위(정채연, 배진영, 김민주), 4위(김세정, 황민현, 장원영)는 세 시즌 연속으로 데뷔에 성공했다.

이로 미루어보아 역시 아이돌 선발에서 미모 부분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징크스는 국민프로듀서들이 추남 추녀 성애자가 되지 않는 한 어지간해서는 깨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비주얼 픽 1위는 데뷔한다" 징크스는 48에서 깨졌다.

연습생들이 뽑은 고정픽 1위는 데뷔한다.

다른 연습생들에게 두루 호평을 받은 세 명의 참가자는 전부 데뷔에 성공했다. 전 시즌 통틀어 고정픽 Best5는 적어도 3명 이상은 데뷔에 성공했다

데뷔조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등급은 A등급이다.

세 시즌 전부 A클래스에서 가장 많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한국이 추구하는 아이돌에게 있어서 매력과 비주얼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실력임을 보여주는 예시. 최종 등급에서 A클래스를 지키지 못했지만 시즌 1전소미, 48조유리, 최예나, 권은비는 소속사 평가 A클래스 출신이다.

최고령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세 시즌의 최고령 연습생들은 전원 데뷔에 실패했다.

대신 미야자키 미호는 이 셋중 유일하게 파이널에 진출했지만 15등으로 아쉽게 데뷔에 실패했다. 아이돌이라는 특성 상 나이는 20대 정도가 가장 유리한데 나이가 너무 많으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나 황인선의 경우 프로듀스 101에 참가할 당시 세는 나이로 30살이라는, 아이돌로서는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불리한 수준의 고령이라는 점이 문제였다. 이런 악조건에도 3차까지 간 것부터가 대단했는데 이것은 오히려 최고령자와 함께 이모라는 기믹, 그리고 황인선의 열심히 하는 모습이 다른 연습생과 시청자들에게 큰 매력어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는 조금 특이한 경우이다.

하지만 반대로 최연소 연습생들중 프로듀스 48에서 한 명이 데뷔에 성공했다.

최장 기간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허찬미
10년 4개월
유경목
9년 2개월
미야자키 미호
10년 8개월
박서영
8년
위와 마찬가지로 최장 기간 연습생이면 그에 비례해 나이도 만만치 않다는 점이 작용한다. 특히 허찬미는 이미 가수로 활동한 적이 있다가 다시 연습생으로 되돌아온 사례이기도 하다. 다만 미야자키 미호의 경우엔 위의 연습생 기간에 일본에서 AKB48로 활동한 기간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 48에서 단순 연습생 기간으로 연습기간 1위인 박서영도 데뷔에 실패했는데, 박서영은 99년생으로 나이는 별 문제가 안 되었지만 이쪽은 악마의 편집과 경연에서의 실수, 실책이 원인.


연습생들 중 가장 순위가 폭등한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시즌 별 순위가 가장 폭등한 연습생은 그 화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생방송 데뷔 평가 전에 모두 방출되었다.
시즌 1 76위(1회)에서 24위(2회)로 52계단 상승한 김주나, 93위(2회)에서 34위(3회)로 59계단 상승한 김예현, 92위(1회)에서 33위(2회)로 59계단 상승한 왕크어가 이 징크스에 해당된다.[7]
이는 거품이 끼어 상승한 연습생보다 꾸준히 잘하는 연습생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로 거품이 꺼지는 것을 극복하지 못해 탈락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습생들 중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격차가 많이 나는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박해영은 97위와 38위 (59등 차이), 서성혁은 95위와 19위 (74등 차이), 한초원은 88위와 9위 (79등 차이)로 각 시즌에서 최고, 최저 순위가 가장 많은 차이가 났다. 박해영은 2차 순발식, 서성혁은 3차 순발식, 한초원은 파이널에서 13위로 방출되어 셋 다 데뷔조에는 들지 못했다.

애초에 80위권~90위권은 극초반 그 많은 참가자들 중에서조차 최하위권이라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때문에 쟁쟁한 상위권 실력자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것이며 아무리 높이 올라가봤자 한계가 있는 것이다. 결론은 어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든 1회에서 탈락자의 윤곽은 잡히는 법이다.

음원 성적이 가장 좋은 컨셉트 평가 곡의 메인보컬은 데뷔에 성공한다.


착각하면 안 되는 것은 경연 1위 곡이 아니라 음원 성적이 가장 좋은 곡의 메인보컬이다.

시즌 1에서는 같은 곳에서가 경연 1위랑 음원 성적이 가장 좋았지만, 시즌 2와 48에서의 NEVERRumor은 경연 1위에 실패했지만 음원 성적이 가장 좋은 곡이다.

물론 이건 위험부담이 매우 크다. 왜냐 하면 이 징크스와 '경연 중 고음 실수로 악마의 편집을 당한 연습생은 한 번에 10계단 이상 추락한 끝에 3차 순위 발표식에서 방출된다.'의 징크스 중 모 아니면 도가 되기 때문이다.[8]

평균 순위가 가장 높은 참가자는 반드시 최종 2위를 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세정
1.625등
박지훈
1.75등
미야와키 사쿠라
3.125등

참고로 각 시즌 1등들인 전소미는 평균 1.875등, 강다니엘은 평균 9.375등, 장원영은 평균 3.875등이다.

1회에서 스스로 1위 자리에 앉은 연습생은 파이널 진출에 실패한다.


단, 박서영이 2차 순위 발표식에서 방출되어 최종적으로 1위에 앉는 연습생은 '3차에서 방출된다'는것은 깨졌다.

데뷔조에 전현직 JYP 연습생이 들어간다.


단 JYP 출신의 연습생들이 전원 데뷔한다의 법칙은 아니다. 시즌 2에 출연한 이기원은 2차 순위 발표식에서, 김동현은 3차 순위 발표식에서 방출되어 성립되지 않는다.

참고로 JYP 연습생 시절을 거치지 않고 오디션에서 떨어진 사람까지 치면 하성운조유리도 있다.


3차 순위 발표식에서 17위를 기록한 연습생은 최종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


3차 순위발표식 데뷔권 커트라인 등수를 차지한 연습생은 데뷔한다.


시즌 1, 2 11등 김도연, 황민현 그리고 48의 12등 권은비 모두 데뷔에 성공했다. 참고로 48의 11등인 혼다 히토미도 데뷔했다.

하지만 데뷔권 커트라인 바로 밖 순위는 시즌 1의 정채연 단 한명만이 데뷔에 성공했고, 시즌 2의 강동호와 48의 한초원은 전부 13위로 마감했다.

소속사별 평가 등급중 데뷔조 멤버가 없는 등급이 하나 있다.

해당 등급
SEASON 1SEASON 248
DCD

시즌 1은 유일한 D등급 최후의 생존자인 한혜리가 생방송 평가에서 방출당해 전멸했고, 시즌 2는 C등급 최후의 생존자인 김예현이 생방송 평가도 진출하지 못하고 방출되어 3차 순위 발표식 때 전멸했다. 48에선 생방송 평가 때 20%의 비중을 차지했던 D등급 미야자키 미호, 시타오 미우, 박해윤, 시로마 미루가 한꺼번에 전원 방출되어 전멸했다.

1위를 한 번이라도 한 플레디스 연습생은 마지막 순위 발표식 때 14위를 한다.


프로듀스 101 시즌 2 때부터 생겨난 징크스.[9]
센터 징크스와 함께 가장 유명한 징크스이자 설마가 사람 잡는 징크스.

이 징크스 같은 경우는 정말 "설마 데뷔를 못하겠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 일어나는 징크스다.

시즌 2 때는 플레디스 김종현이 있고 48에서는 플레디스 이가은을 예로 들 수 있다. 눈치게임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게 하고 한 번이라도 1위를 차지했다고 안전빵이라고 할 수 없다. 특히, 프로듀스 시리즈가 가면 갈수록 순위 변동이 매우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한번 1위를 했다고 해서 안전하다고 생각하여 마지막 순위 발표식 때 문자 투표를 절대 차애한테 주면 안 되는 이유라면 이유이다.

다른 오디션 프로그램까지 확장해도 마찬가지인데 아이돌 리부팅 프로젝트 - 더 유닛에서도 벌어졌다. 1차 순위발표식 남자 1위였던 김티모테오는 이후에도 안정권인 3~5위를 유지했고, 덕분에 파이널에서는 같은 팀 멤버인 고호정에게 문자투표가 집중되어 10위로 밀려나 탈락하는 사태가 벌어졌다.[10] 더 유닛에서는 파이널에서도 안정 순위권이었던 몇몇을 제외하면 프로듀스 101 시리즈보다도 순위변동이 심했고 그 무적의 이나 의진조차 공포에 질릴 정도였다.

아이컨택 분량 TOP11은 전원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


프로듀스 101 시즌 2 때부터 생겨난 징크스.

시즌 1은 아이컨택 영상을 촬영하지 않았다. 공교롭게도 아이컨택 최다 분량을 획득한 시즌 2의 11명, 48의 11명 총 22명은 데뷔에 실패했다. 이들 중 안형섭과 최민기는 최종 데뷔평가까지 진출했으나 데뷔의 문턱 앞에서 방출되었다. 또한 아이컨택 TOP11 중 1명씩은 자진 퇴소로 프로그램 진행 가운데 중도 하차했다. 하민호와 마츠이 쥬리나가 이 곳에 해당된다.

3차 순위 발표식에서 3등을 차지한 "로열 A 연습생"이 파이널 무대에서 센터를 하고 데뷔권 커트라인 순위로 데뷔한다.


이 징크스 역시 프로듀스 101 시즌 2 때부터 생겨난 징크스이다. 시즌 1의 3차 순위 발표식 3등이었던 최유정은 로열 A가 아니기 때문.

"로열 A" 등급이면서 3차 순위발표식 3등을 차지한 하성운, 이채연은 파이널에서 각각 Super Hot, 앞으로 잘 부탁해의 센터를 맡았고 둘 다 데뷔 커트라인 순위(하성운은 11위, 이채연은 12위)로 데뷔했다.

메인보컬을 경험해본 "반전갑" 별명의 대형 기획사 연습생은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커트라인 바로 밖 순위로 데뷔에 실패한다.

정세운은 Oh Little Girl, 한초원은 붐바야 메인보컬이었고 대형 기획사인 스타쉽과 큐브 소속이다. 그리고 둘 다 별명이 "반전갑"이고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각각 12, 13위로 아슬아슬하게 데뷔조에 들지 못했다.

3차 순위 발표식 전 방송에서 유일하게 순위가 공개된 연습생은 9위로 데뷔한다.


시즌 2부터 컨셉 평가 방송 이후의 공연에서 데뷔권 커트라인 바로 뒤에 있는 연습생을 공개하기 시작했는데 시즌 2의 12위는 황민현, 48의 13위는 혼다 히토미였다. 이들은 3차에서 11위를 기록하고 최종 9위로 데뷔하는데 성공했다.

로얄 F 등급에서 데뷔조에 들어간 멤버는 1자리 숫자의 등수로 데뷔한다.


시즌 2에서는 로얄 F등급 데뷔조가 없었다. 김소혜는 5위, 강혜원은 8위로 데뷔했다. 공교롭게도 둘 다 대식가와 변태 캐릭터(...)가 있고 99년생에 남동생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생방송 경연무대에서 한 쪽 팀에서 7명이상 데뷔한다.


데뷔조들 중에 이미 아이돌로 데뷔했던 연습생이 1명 이상 들어간다.


정채연DIA로, 황민현뉴이스트로, 하성운핫샷으로, 권은비예아로, 미야와키 사쿠라, 야부키 나코HKT48으로, 혼다 히토미AKB48으로 데뷔를 했었다. 이 중 권은비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은 활동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참가했다. 권은비는 팀 결성 후 얼마 안 돼서 팀이 해체되었고 울림으로 이적해 다시 연습생으로 돌아간 상태에서 프로듀스 48에 출연했다.[11]

데뷔조 멤버들의 소속사는 총 8곳이다.


전소미, 김소혜는 출연 당시와 현재 소속사가 다르다. 그리고 김재환은 워너원의 활동 종료 이후 스윙 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로 활동한다.

2명 이상의 데뷔조 멤버를 배출한 소속사가 있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젤리피쉬 (2명)
판타지오 (2명)
플레디스 (2명)
MMO (2명)
브랜뉴뮤직 (2명)
스타쉽 (2명)
AKS (3명)
울림 (2명)


파이널 전 3차 순위발표식에서 처음으로 데뷔권 밖으로 벗어났다가 최종 데뷔조에 든 참가자가 있다.

단, 반대로 3차순발식에서 처음으로 데뷔권 밖으로 밀려나고 최종 데뷔조에 들지 못한 참가자[12]는 프로듀스 48에서 나오지 않았다.

SIXTEEN 출신의 참가자는 데뷔한다.



여자 연습생이 출연한 시즌의 최종 6위는 외국인 참가자가 차지한다.


컨셉 평가 경연에서 현장 투표 1위를 차지한 곡과 음원 성적 최상위 팀이 다를 경우, 두 팀들 중 한 팀에서는 단 한 명만이 최종 데뷔조에 들어간다.

해당 참가자
SEASON 248
강다니엘
현장 투표 1위 팀
유일한 데뷔조 멤버
권은비
음원 성적 최상위 팀
유일한 데뷔조 멤버
참고로 시즌2의 음원차트 최상위팀 NEVER에서는 6명, 48의 경연 1위팀인 Rollin' Rollin'에서는 2명의 데뷔조가 나왔다. 시즌 1에서는 음원차트 최상위 곡과 경연 1위 곡이 같았다.

컨셉 평가 경연에서 현장 투표 1위를 차지한 곡과 음원 성적 최상위 팀이 다를 경우, 경연 1위 팀의 메인보컬은 데뷔에 실패한다.


컨셉 평가 경연에서 현장 투표 1위를 차지한 곡과 음원 성적 최상위 팀이 다를 경우, 경연 1위 팀에서 최종 1등이 나온다.


차이가 있다면 강다니엘은 팀 내 - 전체 최종 득표 1위였지만 장원영은 팀내 2위, 베네핏 추가시 2위/미추가시 9위로 현장 경연에서의 득표는 차이가 있다. Rollin' Rollin' 팀의 1등은 시로마 미루.

데뷔권 커트라인으로 데뷔한 참가자와 그 참가자에 밀려 데뷔에 실패한 참가자는 서로 경연한 팀이 다르다.


최종 1위를 한 참가자가 속한 파이널 경연팀은 상대팀보다 더 많은 데뷔 멤버를 배출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
CRUSH 1조 (7명)
CRUSH 2조 (4명)
강다니엘
Hands On Me (8명)
Super Hot (3명)
장원영
앞으로 잘 부탁해 (7명)
반해버리잖아? (5명)


최종 4위를 차지한 연습생은 그 순위가 본인의 최고 순위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청하[13]김재환[14]최예나[15]


최종 1위를 한 참가자는 지난 세번의 순위 발표식에서 1위를 한 적이 단 한 번 뿐이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
3차 순위 발표식
강다니엘
3차 순위 발표식
장원영
2차 순위 발표식


3차 순위 발표식에서 '20위 후보'는 베네핏을 받은 참가자와 받지 않은 참가자가 한 명씩 있고, 받지 못한 참가자가 파이널에 진출한다.


위에 있는 참가자가 배네핏을 받지 못 했지만 20위로 생존에 성공한 연습생, 아래에 있는 참가자가 배네핏을 받았음에도 21위로 방출된 참가자이다.

시즌1은 3차 순위 발표식의 커트라인이 22등이라 성립되지 않는다.


경연이 5번째로 방송된 컨셉 평가 팀은 음원 성적이 가장 좋게 나온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같은 곳에서
5곡 중 5번째
NEVER
5곡 중 5번째
Rumor
6곡 중 5번째

단, 마지막 경연곡이라는 징크스는 깨졌다.


시즌을 통틀어 동명이인이 존재하는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표는 동일 인물.


댄스 포지션 평가 조 중 한 팀에서 4명이 데뷔조에 들어가는 조가 있다.


각 시즌 최상위권 연습생들이 두루 모였다고 평가받은 이 조들에서는 4명이나 데뷔조 멤버를 냈다.

단 48에서 이 조들에서 최종 1위가 나온다는 징크스(시즌 1위 장원영은 Side to Side 조)와 데뷔조에 들지 못한 멤버들도 3차 순위발표식까지는 생존한다는 징크스(Sorry Not Sorry의 고유진은 2차에서 방출)는 깨졌다.


댄스 포지션 평가 조 중 숨은 어벤저스로 평가받은 팀들은 전원 데뷔에 실패한다.


이 팀들은 각 시즌에서 하위권 연습생들이 많았던 팀이지만 무대 실력만큼은 호평을 받아 어둠의 어벤저스, 숨은 어벤저스 등으로 불린 팀들이다. 하지만 분량 등의 문제로 데뷔조까지는 한 명도 들어가지 못했다. 이 멤버들 중 파이널까지 진출한 연습생은 시즌 1의 박소연이 유일하다. 특히 시즌 1에서는 박소연을 제외한 으르렁 팀 전원이, 48에서는 아예 Instruction 팀 전원이 2차 순위발표식에서 방출되었다.


데뷔조에는 강씨가 포함된다.


가나다순으로 했을 때 가장 앞쪽에 오는 성씨이기에 12인/2인 투표 때 원픽 혹은 일부 픽만 있고 남은 픽을 정하지 못했거나 혹은 마땅한 원픽이 없는 국프들의 표를 일부 받았을 수도 있다. 물론 많은 연습생들 중에서도 이 세명의 존재감과 매력이 최상위권 수준이었기에 모두 데뷔조에 들 수 있었다.


마지막회 스페셜 경연곡의 첫 파트를 부른 연습생은 데뷔한다.


데뷔조에는 2명 이상 성이 겹치는 멤버가 반드시 존재하며 이 멤버들을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은 한 명도 성이 겹치지 않는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씨[16]박씨[17]김씨[18]


방영중 한번이라도 75위 아래의 순위를 차지한 연습생들은 데뷔하지 못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
잔혹한 현실

심지어 시즌 2까지는 80위대 아래를 기록해본 연습생들은 파이널 진출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48에서 한초원이 파이널에 진출했으나 아쉽게도 데뷔에는 실패한다.

애당초 80위권에서 데뷔권에 오르는 것은 기적에 가깝다. 한초원 같은 경우는 붐바야때 엄청난 멘탈로 40위권대로 한 번에 오르고 이후 엄청난 반전으로 방영중간에는 데뷔권까지 들어갔다.
80위권 아래의 연습생들이 모두 실력이 없어서 데뷔를 못 하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 80위권 아래의 연습생들은 분량을 매우 받지 못한다. 그 예시로 프로듀스 48의 조아영을 예시로 들수있다. 조아영은 엄청난 랩 실력으로 호평받았으나, 경연 방송 다음 날이 투표 마감이여서 광탈당했다.

분량편차가 어느 정도 완화되지 않는한 어지간히 깨지지 않을것 같으나, 48에서 한초원이 보여준 페이스를 고려한다면, 깨질 가능성은 존재한다.

여담으로 현재까지 가장 낮은 순위로 데뷔한 연습생은 75등의 박우진이다.

첫 방영 실시간 투표결과 1위인 연습생은 데뷔에 성공한다.


첫 방영은 약 90분동안 실시간으로 투표한 결과를 발표하는데 여기서 1위를 기록한 연습생들은 전원 데뷔에 성공했다.여담으로, 위에 세명 모두 방영전부터 주목받은 연습생들이다. 전소미는 JYP연습생 참가자로, 박지훈은 나야나때 윙크 요정 ,미야와키 사쿠라는 AKB48 총선거 2위로 방영전부터 국민 프로듀서들에게 주목받은 연습생들이다.

여담으로 첫 방영 실시간 투표에서 3위를 기록한 연습생(주결경,이대휘,장원영)도 데뷔에 성공했다.


프로듀스 시리즈를 통해 만들어진 그룹의 리더 보직은 언제나 데뷔조 중 최연장자인 멤버가 차지한다.


리더 선출 권한은 프로듀스 시리즈라는 프로그램이나 기획사에서 정하지 않으며 데뷔조로 뽑힌 멤버들이 자체 투표로 결정하는 일종의 문화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렇게 투표라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리더 보직은 언제나 해당 데뷔조의 최연장자 멤버의 몫으로 돌아갔다. 다른 아이돌 그룹 역시 최연장자가 리더를 맡는 것은 한국 연예계에서 흔히 볼수 있는 일이지만 세 그룹 모두다 나이나 경력을 보지 않고 멤버들끼리 투표로 결정했음에도 언제나 최연장자가 리더를 차지했다. 나이가 고령층에 속하는 연습생들의 경우, 어린 동생들을 잘 챙기거나 따뜻하게 대해주는 형이나 언니다운 모습 혹은 나이 차이가 많이 나서 어색하다면 그룹 케미를 망칠수 있다는 것 때문에 세대 차이가 나는 멤버들과 어떻게 편안하게 섞이는가를 매력 요소로 평가하기 때문에 이런 기준을 충족시키는 연습생들이 선발된 것의 영향력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리더직 세명 모두다 직접 리딩하는 보스 타입 이라기 보단 현재 아이돌 계의 트렌드에 어울리는, 소위 맏내라 할 정도로 동생들에게 장난이나 몰이를 잘 당하고 세대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부드러운 리더쉽의 소유자들이다.

3. 깨진 징크스 목록[편집]


첫 타이틀곡 센터는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 3위를 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최유정이대휘미야와키 사쿠라

시즌 1시즌 2의 첫 타이틀곡 센터였던 최유정이대휘는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서 3위를 하고 데뷔를 했다. 그러나 프로듀스 48에 첫 타이틀곡 센터였던 미야와키 사쿠라는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 2위를 하고 데뷔를 했다.


첫 타이틀곡 센터는 마지막 순위 발표식서 두 번째로 경연을 하고 데뷔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최유정
Crush 1조
(-> Crush 2조)
이대휘
Super Hot
(-> Hands on me)
미야와키 사쿠라
반해버리잖아?
(<- 앞으로 잘 부탁해)

첫 타이틀곡 센터는 데뷔한다는 것은 유지되나, 48의 센터가 속한 팀은 3번째 경연을 하였다.

첫 번째 순위 발표식에 1위를 한 연습생은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 2위를 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세정박지훈이가은
시즌 1 때 첫 번째 순위 발표식 1위는 젤리피쉬 김세정, 시즌 2 때 첫 번째 순위 발표식 1위는 마루기획 박지훈이며, 이 둘은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서 2등으로 데뷔에 성공한다.

이 법칙은 프로듀스 48에서 깨졌으며 프로듀스 48에서 첫 번째 순위 발표식에서 1위는 플레디스 이가은이다. 중요한 것은 2위를 못한 것이 아니라 이가은은 아쉽게도 최종 순위 14위를 해버려 데뷔에는 실패했다.


파이널에서 타이틀곡 센터[19] 즉, 3차 순발식 1위는 변함없이 마지막 순위 발표식에서도 1위를 유지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강다니엘미야와키 사쿠라

미야와키 사쿠라가 최종 순위 발표식에서 2등을 차지하면서 깨졌다. 참고로 48의 최종 1등은 3차 순위발표식 7등이었던 장원영이다.[20]

단, 1등이 아닌 "1등 후보"라면 깨지지 않는다.


첫 방송과 마지막 방송의 타이틀곡 센터[21]가 다르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최유정
전소미
이대휘
강다니엘
미야와키 사쿠라 →
미야와키 사쿠라


3차 순위 발표식에 7위를 한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윤채경김종현장원영
7위는 3차 TOP11 중 유일하게 두 시즌 연속 데뷔 멤버를 배출하지 못한 순위였다.[22]

프로듀스 101 3차 순발식 7위 윤채경(16위) 프로듀스 101 시즌 2의 김종현(14위)는 데뷔조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그러나 프로듀스 48 3차 순발식 7위 장원영이 데뷔조에 그것도 무려 최종 1위로 센터까지 되면서 깨졌다.

비주얼 픽 1위는 데뷔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주결경박지훈왕이런
주결경, 박지훈은 데뷔하였으나 48의 비주얼 픽인 왕이런은 3차 순위발표식에서 방출되며 깨졌다.

최연소 연습생은 데뷔하지 못한다.


최고령 연습생처럼 최연소 연습생 징크스도 시즌 2까지도 이어져 왔지만. 48에서 막내 5명 중 1명인 장원영이 1위로 데뷔하면서 완벽하게 깨졌다. 다만 장원영은 되려 위의 장신 막내 버프를 받고 우승으로 데뷔했다. 장신 징크스와 막내 징크스가 맞붙어 장신 징크스가 막내 징크스를 깬 셈이다.

최종 순위 4위의 연습생은 열악한 환경의 연습생이었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청하김재환최예나
시즌 1 당시 신생 기획사로 인지도가 전무했던 M&H 소속 김청하와 소속사가 없이 개인 연습생 신분으로 홀로 출전한 김재환이 최종 순위 4위를 가져가며 생긴 징크스였으나 48에서 막대한 자본을 자랑하는 중국 3대 기획사 중 하나인 위에화 엔터테인먼트 출신인 최예나가 최종 4위를 가져가며 깨졌다.

F→A등급 참가자는 3차 순위 발표식을 끝으로 방출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이수민김태동야부키 나코
F→A등급이었던 프로듀스 101의 이수민, 프로듀스 101 시즌2의 김태동은 3차 순발식을 끝으로 방출되었다. 그러나 프로듀스 48의 F->A였던 야부키 나코가 파이널에 진출하여 데뷔조까지 들면서 깨졌다.


마지막 경연 곡의 메인보컬은 데뷔에 성공한다.

시즌 1의 마지막 경연곡 <Crush>의 메인보컬 김세정유연정, 시즌 2의 마지막 경연곡 <Super Hot>의 하성운, <Hands On Me>의 김재환은 전부 데뷔에 성공했다. 이 징크스는 프로듀스 48에서도 유지될 가능성이 보인 징크스였는데 생방송 경연곡 <앞으로 잘 부탁해>의 메인보컬 타케우치 미유가 데뷔에 실패하면서 깨졌다. 다만 <반해버리잖아?>의 메인보컬인 권은비는 데뷔에 성공했다.


포지션 평가에서 댄스부문 립싱크 안무를 담당한 연습생은 데뷔에 성공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옹성우나카니시 치요리
안유진
시즌 1 댄스 포지션 <Bang Bang> 립싱크 안무를 맡은 전소미시즌 2 댄스 포지션 <Get Ugly>의 립싱크 안무를 맡은 옹성우는 데뷔에 성공했다. 48에서는 립싱크 안무를 한 참가자가 2명 있었는데, <Instruction>의 립싱크 안무를 맡은 나카니시 치요리는 2차 순발식에서 방출되었고, <Sorry Not Sorry>의 립싱크 안무를 맡은 안유진은 데뷔했다.

2차 순위 발표식 데뷔조는 전원 생방송 무대까지 진출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김세정
최유정
강미나
전소미
김나영
주결경
김도연
김소혜
정채연
유연정
임나영
김종현
라이관린
박지훈
이대휘
임영민
황민현
옹성우
강다니엘
김재환
주학년
강동호
장원영
야부키 나코
강혜원
안유진
권은비
김민주
미야와키 사쿠라
이가은
한초원
조유리

허윤진
혼다 히토미

포지션 평가까지 진행되고 결정되는 두 번째 순위 발표식은 프로그램의 절반이 지나가는 만큼, 연습생들의 장단점이 거의 발굴되고 데뷔권이 1차 순위 발표식 때와 비교하면 눈에 띄게 뚜렷해지는 시기다. 따라서 이 때 데뷔조에 든 연습생들은 이미 최상위권의 팬덤을 가지고 있거나 초기 데뷔조에 비해 뒤늦게 발굴되어 가파른 상승세를 타는 경우가 해당되는데 중반부 기점으로 탄력을 받은 만큼 그 화력이 최소 생방송 진출까지는 이어졌었다. 그러나 48에서 2차 순위 발표식 11위를 기록한 허윤진이 3차 순위 발표식에서 26위로 추락해 방출당하며 깨졌다.다만 허윤진의 경우 7화에서의 실책이 추락의 원인이었다는걸 본다면 '큰 실책을 저지르지 않는 이상 2차순위발표식에서 데뷔조에 든 멤버는 파이널까지는 진출한다'라고 봐도 무방할듯

순위 발표식 및 방송 후 순위 공개에서 모두 데뷔권에 들어간 연습생은 데뷔조에 들어간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
김세정
박지훈
이대휘
옹성우
장원영
미야와키 사쿠라

이가은

1회부터 계속 데뷔권에 안착했던 연습생들은 전부 데뷔에 성공하였으나 48에서 5→1→1→1→8→5→5등으로 줄곧 데뷔권 안을 유지한 이가은이 최종 14위로 데뷔에 실패하는 충격적인 결과와 함께 깨졌다.

순위 발표식 및 방송 후 순위 공개에서 단 한번이라도 데뷔권에 들지 못한 연습생은 데뷔조에 들어가지 못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김채원

위와 정 반대의 케이스로 순발식이나 방송 후 순위 공개에서 데뷔권에 들어가지 못했던 연습생들이 데뷔조에 들어간 전적은 없었으나 48에서 김채원이 데뷔하며 깨졌다.

김채원은 21→21→30→28→15→15→19등으로 한 번도 데뷔권에 들어온 적이 없었으나 최종화에서 10등을 기록하며 데뷔했다.

단, 8화 이후 속보에서 12등에 든적이 있긴 하다. 하지만 본 방송에서 데뷔권에 든 적 없는건 마찬가지다.

순위 공개에서 한번이라도 데뷔권에 들어갔던 연습생은 3차 순위발표식까지는 생존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코지마 마코
야마다 노에

시즌 2까지 이어졌으나 48 1회에서 12등이었던 코지마 마코, 2회, 3회에서 각각 9등, 11등이었던 야마다 노에가 2차 순위발표식에서 방출되며 깨졌다. 자진하차까지 포함한다면 마츠이 쥬리나 역시 해당된다.


컨셉 평가 팀들 중 한 팀은 데뷔조에 멤버를 배출하지 못한다.


두 시즌 연속으로 데뷔조를 배출하지 못한 컨셉 평가 팀이 있었으나 48에서는 모든 팀에서 고르게 데뷔조를 배출했다.[23]

3차 순위 발표식 1위 후보로 호명된 4인은 모두 데뷔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전소미
김세정
최유정
김소혜
강다니엘
박지훈
하성운
배진영
미야와키 사쿠라
미야자키 미호
이채연
강혜원

데뷔조에는 중국 혹은 대만 국적의 연습생이 한 명 들어간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주결경
응 씨 카이
캐서린 리
라이관린
저스틴
정정
왕이런
왕크어

일본 국적의 연습생은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아리요시 리사
니와 시오리
타카다 켄타미야와키 사쿠라
야부키 나코
혼다 히토미

다만 48이 한일 합작인 것을 감안했을 때 깨지는 것이 확실시되었다.

단, 다음 시즌 한국 기획사에서 일본인 연습생이 출전하여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면 "한국 기획사 소속 일본 연습생은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 징크스는 이어진다. 48에서 한국 기획사 소속 일본 연습생이 아예 없었기 때문.

콘셉트 평가 시 한 조에 플레디스 연습생 2명이 있는 조가 있으며, 그 중 한 명은 데뷔하고 한 명은 방출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24시간FingertipsNEVERI AM
주결경
강예빈
임나영
정은우
황민현
김종현
이가은
허윤진
시즌 2까지는 24시간팀의 주결경, Fingertips팀의 임나영, NEVER팀의 황민현이 데뷔하고 24시간팀의 강예빈, Fingertips팀의 정은우, NEVER팀의 김종현이 방출되며 징크스를 이어왔으나, 48때는 I AM팀의 이가은,허윤진이 모두 방출되면서 징크스가 깨졌다.
여담으로, 한명은 데뷔, 한명은 방출이라는 기준을 제외하면 깨지지 않는다.

콘셉트 평가에서 참여 멤버 전원이 파이널에 진출하는 곡이 있다.


프로듀스 48에서는 곡마다 최소 한명 이상 방출 되어 깨졌다. 특히 음원 성적으로 같은 곳에서, NEVER 포지션에 해당되는 Rumor에서는 무려 3명이 방출되었다.

음원 성적이 가장 좋은 콘셉트 평가곡은 파이널에 진출한 멤버가 가장 많다.


같은 곳에서, NEVER는 전원 진출했지만 Rumor는 정반대로 3명이 방출되며 파이널 진출 멤버가 가장 적다.

참고로 48 시즌에서 파이널에 가장 많이 진출한 곡은 1000%, I AM, 다시 만나로, 모두 4명씩 진출했다. 참고로 이 세 곡은 음원 성적이 가장 좋지 않고 경연에서도 4, 5, 6위를 기록했다.


3차 순위발표식에서 처음으로 데뷔조에 진입하고, 최종 데뷔조에 든 참가자가 있다.

해당 곡
SEASON 1SEASON 248
김청하

한혜리
김소희
윤채경
박우진
하성운
미야자키 미호
시로마 미루
시타오 미우
대신 48에는 3차 순위발표시까지도 한번도 데뷔조에 들지 않았다가 파이널에서 처음으로 데뷔조에서 들며 데뷔한, 기적같은 경우가 있다.

3차 순위발표식에서 처음으로 데뷔조에서 떨어지고, 최종 데뷔조에 들지 못한 참가자가 있다.

대신 48에는 3차 순위발표시까지도 데뷔권에 있다가 파이널에서 처음으로 데뷔권에서 벗어나며 방출된, 안타까운 경우가 있다.

데뷔권 커트라인으로 데뷔한 참가자는 파이널 무대에서 메인보컬을 맡았다.

해당 곡
SEASON 1SEASON 248
유연정
김세정
김재환
하성운
타케우치 미유
권은비

1차 순위발표식에서만 데뷔조에 진입하고, 2, 3차 순위발표식에서 데뷔조에 들지 못한 참가자는 최종 데뷔조에 들지 못한다.

1차 순위 발표식에서만 데뷔권에 진입하고 리셋 후 데뷔권 밖으로 밀려난 연습생들은 끝내 반등을 하지 못하고 데뷔조 재입성에 실패했으나 48에서 최예나가 1차 순위 발표식 이후에 최종 평가에서 데뷔에 성공하며 깨졌다. 거기다 자체 최고 순위에 랭크되었다.

그룹 배틀 평가에서 가장 마지막에 만들어진 팀은 상대 팀에게 패배하며 해당 조에서는 데뷔조를 배출하지 못한다.

해당 곡
SEASON 1SEASON 248
<Break It 1조>
김나영
방준희
오한아름
윤유담
윤서형
Break It 2조에 패배
<만세 2조>
조규민
김용진
김찬율
정중지
조성욱
최하돈
만세 1조에 패배
<붐바야 2조>
강혜원
한초원
아사이 나나미
치바 에리이
사토 미나미
아사이 유우카
붐바야 1조에 승리

참고로 화제성 면에서도 48의 붐바야 2조는 어벤져스 조라고 불린 너무너무너무 1&2조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 중에서 단연 압도적인 화제성을 자랑했다. 4화 최고 논란거리가 붐바야 2조의 승리였을 정도.

여기서 끝난 게 아니라 이 화제성으로 제일 큰 수혜이자 피해를 얻은 강혜원, 한초원 중에서 강혜원이 데뷔조에 골인했고, 한초원파이널에 진출해서 13위로 떨어졌다. 나머지 아사이 나나미, 치바 에리이, 사토 미나미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인지도가 올라갔고, 팀 내에서 유일한 1차 방출자인 아사이 유우카도 "공기갑(...)" 별명을 얻고 갔다.

데뷔권 커트라인으로 데뷔한 참가자가 속한 팀은 파이널에서 상대팀보다 데뷔조 멤버가 적다.

해당 등급
SEASON 1SEASON 248
유연정 (Crush 2조)(4명)
(Crush 1조)(7명
하성운 (Super Hot)(3명)
(Hands On Me)(8명)
이채연 (앞으로 잘 부탁해)(7명)
(반해버리잖아?)(5명)

파이널에 진출한 멤버가 있는 콘셉트 평가곡 중 3차에서 탈락하지 않고 파이널에서 데뷔조에 들지 못한 참가자가 1명 이상씩 나온다.

경연 프로그램경연곡파이널에 진출했으나
데뷔조에 들지 못한 참가자
SEASON 124시간김나영
Fingertips기희현 정은우
Don't matter이수현 이해인 전소연
Yum-Yum박소연
같은 곳에서한혜리 김소희 윤채경 강시라
SEASON 2Show Time김사무엘
열어줘강동호 임영민 유선호 주학년
Oh Little Girl정세운 안형섭 최민기
NEVER김종현
481000%미야자키 미호 시타오 미우
너에게 닿기를없음
I AM이가은 타카하시 쥬리
Rollin Rollin시로마 미루
Rumor한초원
다시 만나타케우치 미유 박해윤

  • I Know you Know는 파이널 진출 멤버가 없어서 성립하지 않아 제외한다.

데뷔조 멤버들의 1차 순위발표식 최저 등수는 24등이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임나영박우진김채원

임나영, 박우진은 1차 24등으로 데뷔조 중 최저 순위였으나 김채원은 28등으로 데뷔조에 들어가며 깨졌다. 마츠이 쥬리나를 제외해도 27등.

데뷔조에 들어간 멤버들은 기획사 평가에서 모두 분량을 받았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야부키 나코
혼다 히토미

48의 야부키 나코혼다 히토미는 기획사 평가 통편집에도 불구하고(심지어 나코의 경우 네이버에 올라오는 기획사 퍼포먼스 무편집곡에서도 잘렸다.) 데뷔조에 들어간 시리즈 사상 첫 번째 연습생들이 되었다. 대신 이 두명은 기획사 평가가 통편집되는 대신 3화에서(나코는 귀를 기울이면 경연, 히토미는 너무너무너무 연습 과정) 많은 분량을 받으며 데뷔권까지 갔다.

최종 데뷔조에 든 참가자는 최소 한 회차 이상 한자리 순위를 달성한 적 있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해당 연습생 전원해당 연습생 전원김채원

경연 중 실수를 한 연습생은 데뷔에 실패한다.


위 징크스의 연장선으로 음이탈뿐 만 아니라 음이 안 올라가거나 랩의 경우 가사를 저는 등의 실수까지 포함된다. 시즌 2까지 해당 연습생은 데뷔에 실패했으나, Rumor 무대에서 미세한 가사 실수[24]를 했던 권은비가 데뷔에 성공하면서 깨졌다. 다만, 이 실수가 워낙 미세하여 대부분이 알아차리지 못했다.



4. 애매한 경우[편집]


최다 연령층은 데뷔멤버가 가장 많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1999년
김소혜
유연정
최유정
강미나
김도연
1995년
황민현
옹성우
1996년
김재환
강다니엘
1999년
박지훈
박우진
2001년
이대휘
라이관린
2001년
김민주
야부키 나코
혼다 히토미
조유리

시즌 2에서 최다 연령층인 1995년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낸 건 사실이다. 다만, 다른 연령층에서도 동률을 냈다는 점이 애매하다.

데뷔조에 인원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컨셉 평가 곡은 음원 성적이 가장 좋다 .

해당 곡
SEASON 1SEASON 248
Yum Yum
fingertips
같은 곳에서
3명
NEVER
6명
너에게 닿기를
3명

어차피 깨진 징크스라 별 의미는 없지만, 시즌 1 때 같은 곳에서에서 3명을 배출해서 가장 많은 인원을 낸 건 사실이다. 다만, 다른 조에서도 동률을 냈다는 점이 애매하다. 참고로 48 음원성적 최고인 Rumor에서는 단 1명만이 데뷔조에 들어갔다.

첫 번째 순위 발표식 24위를 한 연습생은 데뷔에 성공한다.

해당 참가자
SEASON 1SEASON 248
임나영박우진치바 에리이
강혜원

프로듀스 48에서 첫 번째 순위 발표식 24위는 치바 에리이였으나, 13위인 마츠이 쥬리나가 하차하면서 25위였던 강혜원이 사실상 24등이 된다며 깨지지 않은 징크스로 보기도 하나, 국민프로듀서도 마츠이 쥬리나 하차를 예견하지 못하고 투표했고, 방송상으로도 여지를 남겨 둔 상태여서 억지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편집과는 무관하게 쥬리나의 하차는 이미 5화 방송 전에 알려진 상태였다. 따라서 강혜원이 사실상 24위인 게 맞기 때문에 깨지지 않은 징크스로 보는 게 타당하기도 하다.

어찌 됐든 중위권 연습생들이 희망을 놓지 않게 되는 징크스다. 25위나 24위나 데뷔조에 든다는 게 대단한 일이기 때문.
데뷔조에는 김씨가 포함된다.


위의 강씨 연습생 징크스처럼 김씨 연습생들의 3연속 데뷔도 이루어지기는 했다. 하지만 김씨가 한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인 걸 감안한다면 징크스로 보기에는 애매하다.

[1] 프로듀스 101의 4번째 시즌. 2019년 상반기에 첫방송 예정[2] 여담으로, 창조 101에서는 이 법칙이 깨졌다.[3] 오죽하면 내꺼야 센터 선발을 할때 PICK ME나야나의 센터인 최유정이대휘를 예로들어 센터가 중요하다고 할정도...[4] 단, 3차 순위 발표식에서는 26위를 했다.[5] 3차 순위 발표식에서는 25위.[6] 이 징크스는 위의 징크스와 연계된다[7] 시즌2까지는 3차에서 방출되었으나, 이번 시즌에서는 1단계 아래에서 방출되었다.[8] 하지만,아직까지 콘셉트 평가에서 고음실수로 악마의 편집을 당한 연습생은 없다. 허찬미,장규리는 그룹 배틀 평가에서 이우진은 포지션 평가에서 고음실수를 했다. 다만 악편은 당하지 않았지만 콘셉트 평가에서 고음 실수를 한 연습생은 한 명 있다. [9] 시즌 1에서는 플레디스 연습생이 1위를 차지한 적이 없다. 1위를 차지한적이 있는 전소미와 김세정은 JYP와 젤리피쉬 소속이다.[10] 다행히 1차 순위발표식 여자 1위였던 양지원은 데뷔에 성공했다.[11] 다만 현재 지금 데뷔조에 기존 소속 그룹이 있는 한국 참가자는 없다.(애초에 소속 그룹의 본체를 소속으로 한 일본 참가자는 예외)[12] 김나영, 주학년[13] 이전 최고 순위는 3차 순발식 5위[14] 이전 최고 순위는 2차 순발식 7위[15] 이전 최고 순위는 2회차 6위[16] 김세정, 김청하, 김소혜, 김도연 [17] 박지훈, 박우진 [18] 김채원, 김민주 [19] PICK ME, 나야나, 내꺼야[20] 사실 위에 첫 타이틀곡 센터가 3위로 데뷔한다는 징크스와 파이널 타이틀곡 센터가 1위로 데뷔한다는 징크스가 결합해 3위와 1위의 중간인 2위로 데뷔한거라고 볼수있다.[21] PICK ME, 나야나, 내꺼야[22] 3차 순발식 1위, 2위, 3위, 4위, 9위, 10위, 11위는 두 시즌 연속으로 데뷔 멤버를 배출하였고, 5위는 김청하, 6위는 박우진, 8위는 옹성우가 데뷔조에 들었다. 이 중 볼드체는 세 시즌 연속 데뷔 멤버 배출. 12위(정채연)까지 포함해도 유일하다.[23] 대신 이쪽은 2차 미션인 포지션 평가에서 전원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하고 탈락한 사례가 있다. <Instruction> 팀 (멤버 : 손은채, 나카니시 치요리, 이하은, 왕크어, 김수윤, 김현아) 그러나 시즌 2의 "리듬 타"조도 전원탈락했다. [24] "멈출 수 없는 내 맘"을 "어쩔 수 없는 내 맘"으로 실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