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종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덕여왕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비담(선덕여왕) 문서
비담(선덕여왕)번 문단을
비담(선덕여왕)# 부분을
, 키움 히어로즈의 야구선수 이형종에 대한 내용은 이형종 문서
이형종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이형종#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소개
2. 작품에서
3. 무공
4. 신물
5. 소속 인물


形宗


1. 소개[편집]


신지의 8종파 중 하나로, 인간의 육신에 대한 연구를 한다.


2. 작품에서[편집]


무공 자체는 그리 강하지 않지만 신체 능력은 웬만한 초인들도 능가하며, 맨손으로 검을 으스러뜨리기도 한다. 팔이 늘어나는 기술을 선보이기도 한다. 달심


3. 무공[편집]


  • 불파공(不破功) - 회복력을 극대화 시킨 무공으로서 백강에게 한 대 맞고 일그러진 얼굴이 회복되었다.
  • 파형귀원(破形歸元) - 또 다른 회복력 관련 무공으로서 자하마신에게 맞고 구멍이 난 가슴이 회복되었다.


4. 신물[편집]


한옥신장이 신물이다. 미칠듯한 회복력을 보여주며 또한 죽기 직전인 사람을 회복시켜 다시 일으키게 해준다.


5. 소속 인물[편집]


  • 형존 - 형종의 지도자로 검마와 자의로 폐관 수련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실상 자하마신의 섭백술에 사로잡혀 기운이 빨려서 사망한 상태였다.

  • 웅영 - 현 형종의 지도자로 지존은 아니고 형종 존사. 탈출하려는 한비광 일행을 가로막고 복면남과 싸운다. 검을 들고 다니지만 기술을 보면 검술이 아니라 곤술로 보인다.[2] 몇 합이 되기도 전에 강하게 한 대 맞고 얼굴이 일그러졌는데 저절로 회복된다. 이후 심설로의 도움을 받아 주인공 일행을 몰아붙이지만 담화린의 기습에 당한다. 이후에 나벽과 금구연이 마령검을 각성한 담화린과 싸우는 곳에 도착하여 힘을 모아 담화린을 쓰러뜨리지만, 곧바로 담화린이 귀면갑마저 각성하는 장면을 목격한다. 이후 도착한 자하마신이 담화린을 상대하는 모습을 다른 종사들과 지켜보다가 신지 앞마당에서 분혼마인과 무림인들이 혈투를 벌이는 장면까지 목격하게 된다. 결국 지금의 상황은 그동안 신지가 추구해 왔던 무(武)의 길과는 완전히 어긋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다른 종사들과 함께 철수한다. 하지만 지주의 흡기공으로 사망한 채 534화에 다시 등장한다.

  • 가짜 웅영 - 진짜 웅영은 자하마신의 손에 숙청당했다. 이어 자하마신이 만들고 가르친 가짜 웅영이 등장하는데, 자하마신의 교육을 받아 진짜 웅영의 기량을 능가한다. 나중에 음종, 창종, 궁종의 가짜 존사들과 함께 한비광을 압박한다. 팔이 늘어나는 체술로 한비광의 발목을 잡지만, 한비광은 한 팔을 화룡도로 찍어버린다. 그리고 알 수 없는 이유로, 부상이 회복되지 않는다.

  • 관음명 - 신지 검종으로 개종한 인물. 모든 무공을 지켜보면 검술에 형종의 신체적 기능이 추가된 인물로 보인다. 확실한것은 아니지만 신지의 무공을 비유해볼때 가장 형종에 가까운 '지신각 무사'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7:06:00에 나무위키 형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대부분의 신지 고수들은 사실상 포로로 잡은 것이라고 인지한 상황.[2] 딱히 어떤 초식이나 무공이라기 보다는 신지가 검종으로 통일된 이후 자신들의 무공을 두고 검을 써야 하는 바람에 생긴 어정쩡한 기술일 것이다. 작중에서는 검을 쓰다 말고 확 내팽개치며 불편하다며 성질을 부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