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박나무

덤프버전 :

1. 개요
2. 후박엿
3. 효능



1. 개요[편집]


후박나무
The silver magnolia
이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녹나무목(Laurales)

녹나무과(Lauraceae)

후박나무속(Machilus)

후박나무

파일:z8jYORr.jpg

= 후박나무 박[1]

중국과 일본, 한국이 원산지인 녹나무과의 상록활엽수로,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과 서해안, 울릉도에 분포한다. 10-20m 정도로 자라며, 꽃은 5월 초에 자잘하게 연한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7월말이나 8월 초에 검게 익는다.

본디 중국에서 후박이라고 불리는 식물은 중국목련(Magnolia officinalis Rehder & Wilson)이며, 한약재로 사용되는 것도 이 식물이다. 그러나 정약용의 아언각비 등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조선 후기에 후박나무의 수피를 진짜 후박의 대체제로 쓰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중국과는 전혀 다른 식물을 후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중국목련과 같은 아절(subsection)로 분류될 정도로 매우 근연한 종인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Thunb.)이라는 종을 후박이라고 부르면서 후박의 대체제로 사용해왔는데, 일제강점기에 후박이라는 이름으로 일본목련이 도입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이 종을 후박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사람들이 생기게 되어 혼동이 더욱 심해졌다. 일본목련과 중국목련은 후박나무와 달리 낙엽교목으로 내한성이 강해 중부내륙지방에서도 잘 월동하고 꽃이 매우 크고 향기가 짙은데다 잎도 매우 넓어 후박나무와 쉽게 구분 가능하다.

후박나무의 잎을 찢거나 가지를 꺽으면 녹나무과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데, 청띠제비나비 등 후박나무를 식초로 삼는 인시류의 유충은 이러한 정유성분을 축적하여 천적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도 한다.

내음성은 강한 편이다. 내한성은 -15도 정도로 인천 앞바다의 몇몇 섬에도 분포하지만, 상록활엽수들이 으레 그렇듯이 내건성이 약하여 바람이 많고 뿌리뻗을 공간이 협소한 가로변같은 곳에 심으면 그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월동이 어렵다.

2. 후박엿[편집]


후박나무가 많이 자생하던 울릉도에서는 위장병이나 천식을 치료하는 한약재로도 애용되던 후박나무의 진액과 열매로 엿을 만들었으며, 그런 엿을 후박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울릉도의 후박엿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대중화되는 과정에서 발음 혼동으로 인하여 호박엿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후박나무가 귀해지면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하여 이제는 울릉도에서도 후박나무의 진액이나 열매가 아니라, 진짜로 호박으로 엿을 만들게 되었다.


3. 효능[편집]


잇몸 질환에 특효약이라고도 하나, 이는 중국목련의 효능이다. 후박차로도 우려먹기도 한다.

일본도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호노키는 후박나무가 아니라 일본목련이다. 목질이 부드러워 충격 흡수에 뛰어나고 칼날을 보호하기에도 유리하지만 칼자루 자체의 내구도는 떨어진다고 한다.

이는 일본도의 설계 사상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검은 칼날과 칼자루, 그 외 기타 모든 외장품들을 하나의 덩어리로 보지만, 일본도는 오직 칼날만을 일본도로 간주하고 그 외의 외장품들은 모두 일종의 장식품 내지는 소모품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본체'인 칼날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소모품'인 칼자루의 내구성을 희생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설계인 것이다.

이 문서의 r31 버전에 국립중앙과학관 식물정보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저작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버전으로 문서를 되돌리거나 링크하는 행위는 금지됩니다. 만일 되돌리거나 링크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6:55:36에 나무위키 후박나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의 성씨인 이 바로 이 한자다.